장용순(진중음) 진중음 장용순 시제(詩題)는 ‘진중에서 읊다’ 라는 뜻의 오언율시(五言律詩)로 분류되는 정형시로서, 전8구, 4연으로 이루어졌다.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임진왜란이며, 주제는 우국충정(憂國衷情)이라고 할 수 있다. 왜적의 침입으로 어려워진 조국의 앞날을 걱정하며, 죽음을 불사하고 조국을 구하..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이곤순(룡호) 용호 이곤순 예로부터 상서롭고 자유자재한 신비불멸의 본성으로 천하만물에 생기를 불어넣고 우리 인간에게는 이상적 꿈 실현의 힘을 갖게 한다는 12간지의 하나인 용(龍)자와 용맹스럽고 지혜로우며 모든 사람에게 용기와 신령스러운 힘을 가져다 준다는 우리 민족의 수호동물인 호랑이(虎)를 역동..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윤학상(사랑) 사랑 윤학상 성경의 말씀이면서도 익숙한 내용으로 대중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있는 고린도전서 13장 4~7절을 한글고체와 한문행서를 혼합하여 작품화 한다. 특히 전서로 사랑애(愛)자를 보라색으로 처리하여 단순함을 피하고 감상자에게 신선함을 주려고 노력한다. 한글 고체는 탄탄한 필력으로 ..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선주석(왕사신의 영매 시) 왕사신의 영매시 선주석 청나라 때 양주팔괴 중의 한사람인 왕사신 화백이 어느 날 아침에 뜰 안에 매화나무가 강풍에 부러진 것을 보고 시 한 수를 남겼는데, 나 역시 마당에 고매(늙은 매화)가 시들어 톱으로 베고 나니 마음이 우울하여 왕사신의 시경을 스며내 우울한 감정을 달랬다는 내용이다.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박영현(매요신 시) 매요신시 박영현 자연을 사랑하는 내 마음에 높고 낮은 수많은 산들 아름다운 봉우리는 곳에 따라 바뀌고 그윽한 오솔길은 홀로 가다 잃겠네 서리 내린 나무 위로 곰이 기어오르고 고요한 숲에서 사슴은 개울물을 마신다. 인가는 어디쯤 있는 것일까? 구름 처편에서 닭 울음소리 들린다.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김희정(김극기 시) 김극기 선생 시 김희정 서예는 문자라는 매체의 특성을 가지고 빈 공간을 적적히 나누어 감상자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공간의 예술(시각예술)인 동시에 음악이나 시의 특성과 유사한 시간의 예술이다. 즉 조형적으로 말하면 글자를 쓰는데 있어서는 어느 정도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장법으로 말하..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김동진(신위 시) 자하 신위선생 시 김동진 본 작품은 조선후기 시서화 삼절로 익히 알려진 자하 신위의 시를 제재로 체택하였다. 이 시는 자하의 예술정신이 가장 명료하게 함축되었다고 할 만한 것으로 우선 그 내용이 시사하는 바가 자못 크다. 기법적으로 담묵을 폭넓게 운용하여 자하 시의 명징한 격조에 충실하고..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김재일(강우규 시) 강우규 시 김재일 본 작품은 원광서주동인전에 출품하였다. 광복 60주년을 맞이하여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 전시하였고 서대문 형무소 형장에서 처형당한 강우규 열사의 순국 직전의 유시를 전서체로 썼다. 바탕 처리는 치자 열매를 이용하여 착색하였고, 유인을 이용하여 공간의 미를 살려 보았다. ..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이길원(운행우시) 운행우시(雲行雨施) 이길원 雲行雨施 구름이 일고 비가 내리다. 原文 舜曰 天德而出寧月照而四時行 若晝夜之有經雲行雨施矣. 解釋 순(舜)임금이 말하였다. “자연의 덕을 따른다면 무슨 일을 해도 편안할 수 있다. 일월(日月)이 비치고 사시(四時)가 옮아가며 밤 낮의 구분이 정해져 있는 것같이, 또는..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