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 3868

어머님들이 쓰시던 옛물건들

어머님들이 쓰시던 옛물건들부엌 아궁이에 불 지필 때 쓰던 풍로...할머니 어머님이 쓰시던 다리미와 인두...되 와 말(곡식을 사고 팔 때 쓰던 되와 말)...양은 도시락과 나무 도시락..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똥장군과 지게. 싸리나무다래끼 와 바구니.화장대 위의 목침...나무로 만든 나막신...물레(무명과 삼베의 실을 뽑는 기구)...베틀과 장구...병풍 ...먹과 벼루 ...남포등... ..등잔과 호롱(석유를 부어 쓰던 등)...요강(놋쇠요강)... ...결혼식 때 쓰던 꽃병과 바둑알집.그리고 초롱등.죽부인..여름밤에 껴안고 잠자든....그때 그 밀가루빵틀(1)... ...그때 그 빵틀(2)... .돗자리 짜는 틀...가마니 틀 .목 절구통과 다양한 절구...광주리 .새끼..

냉천(冷泉) / 김천령(金千齡)

냉천(冷泉) / 김천령(金千齡) 졸졸 흐르는 한 움큼 물이 / 涓涓一勺水맑고 깨끗해 빙옥을 담은 듯 / 瑩瑩涵冰玉비록 관개의 공에는 부끄러움 있지만 / 雖慚灌漑功손으로 움켜 떠서 먹을 만하다 / 庶可資挹掬 십삼산 도중(十三山道中) / 김천령(金千齡) 푸른 옥 깎아 올망졸망 벌였으니 / 削成蒼玉列參差일말의 비낀 양지 보기에 더욱 기이해라 / 一抹斜陽看更奇스스로 산을 사랑하여 갈 길을 잊었거늘 / 自是愛山忘去路곁 사람 길을 그릇 알고 말 걸음이 더디다네 / 傍人錯道馬行遲 영제 도중(永濟道中) /김천령(金千齡)여윈 말 더디가니 역마을 멀어지고 / 羸馬凌兢驛路賒숲 넘어 삽살개 짖는 건 그 뉘 집이냐 / 隔林庬吠是誰家황혼에 달이 지고 교원이 검었으나 / 黃昏月落郊原黑앞마을 메밀꽃만 내 알괴라 / 認得前村蕎麥花 ...

어머님들이 쓰시던 옛물건들

어머님들이 쓰시던 옛물건들 부엌 아궁이에 불 지필 때 쓰던 풍로... 할머니 어머님이 쓰시던 다리미와 인두... 되 와 말(곡식을 사고 팔 때 쓰던 되와 말)... 양은 도시락과 나무 도시락.. 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 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 똥장군과 지게. 싸리나무다래끼 와 바구니. 화장대 위의 목침... 나무로 만든 나막신... 물레(무명과 삼베의 실을 뽑는 기구)... 베틀과 장구...병풍 ... 먹과 벼루 ... 남포등... .. 등잔과 호롱(석유를 부어 쓰던 등)... 요강(놋쇠요강)... ... 결혼식 때 쓰던 꽃병과 바둑알집.그리고 초롱등. 죽부인..여름밤에 껴안고 잠자든.... 그때 그 밀가루빵틀(1)... ... 그때 그 빵틀(2)... . 돗자리 짜는 틀...가마니 틀 . 목 ..

김은열의 묘지〔金殷說墓誌〕

고운당필기 제2권 김은열의 묘지〔金殷說墓誌〕 [DCI]ITKC_BT_1550A_0020_000_0200_2021_001_XML DCI복사 URL복사 을사년(1785, 정조9)에 장단부(長湍府) 사람이 산골짜기에서 비석 한 조각을 발견했는데, 이렇게 새겨 있었다. “신라 경순왕 김부(金溥)의 넷째 아들인 시중시랑 고려 평장사(侍中侍郞高麗平章事) 김은열(金殷說)이 무진년(968, 고려 광종19) 3월 4일 기축일에 졸해서 도성 북쪽 10리 되는 종암(鍾巖) 아래 오룡산(五龍山) 남쪽 산록의 쌍룡이 어우러진 임좌(壬坐)의 언덕에 장사 지냈다. 형은 김일(金鎰), 다음은 김황(金湟), 그다음은 김명종(金鳴鍾)이며, 아우는 김중석(金重錫), 김건(金鍵), 김겸(金鎌), 김추(金錘)이고, 아들은 강릉군(江陵君) 김..

김은열의 묘지〔金殷說墓誌〕

고운당필기 제2권 김은열의 묘지〔金殷說墓誌〕 [DCI]ITKC_BT_1550A_0020_000_0200_2021_001_XML DCI복사 URL복사 을사년(1785, 정조9)에 장단부(長湍府) 사람이 산골짜기에서 비석 한 조각을 발견했는데, 이렇게 새겨 있었다. “신라 경순왕 김부(金溥)의 넷째 아들인 시중시랑 고려 평장사(侍中侍郞高麗平章事) 김은열(金殷說)이 무진년(968, 고려 광종19) 3월 4일 기축일에 졸해서 도성 북쪽 10리 되는 종암(鍾巖) 아래 오룡산(五龍山) 남쪽 산록의 쌍룡이 어우러진 임좌(壬坐)의 언덕에 장사 지냈다. 형은 김일(金鎰), 다음은 김황(金湟), 그다음은 김명종(金鳴鍾)이며, 아우는 김중석(金重錫), 김건(金鍵), 김겸(金鎌), 김추(金錘)이고, 아들은 강릉군(江陵君) 김..

김은열의 묘지〔金殷說墓誌〕

고운당필기 제2권 김은열의 묘지〔金殷說墓誌〕 [DCI]ITKC_BT_1550A_0020_000_0200_2021_001_XML DCI복사 URL복사 을사년(1785, 정조9)에 장단부(長湍府) 사람이 산골짜기에서 비석 한 조각을 발견했는데, 이렇게 새겨 있었다 . “신라 경순왕 김부(金溥)의 넷째 아들인 시중시랑 고려 평장사(侍中侍郞高麗平章事) 김은열(金殷說)이 무진년(968, 고려 광 종19) 3월 4일 기축일에 졸해서 도성 북쪽 10리 되는 종암(鍾巖) 아래 오룡산(五龍山) 남쪽 산록의 쌍룡이 어우러진 임좌 (壬坐)의 언덕에 장사 지냈다. 형은 김일(金鎰), 다음은 김황(金湟), 그다음은 김명종(金鳴鍾)이며, 아우는 김중석(金重錫), 김건(金鍵), 김겸(金鎌), 김추(金錘)이고, 아들은 강릉군(江陵君..

우리나라 의 歷史와 文,物.

우리나라 의 歷史와 文,物. 임하필기(林下筆記) 李裕元 임하필기 제11권 문헌지장편(文獻指掌編) [문헌지장편(文獻指掌編) 서(序)]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은(殷)나라는 하(夏)나라 예절을 따랐으니 빼거나 보탠 바를 알 수 있고, 주(周)나라는 은(殷)나라 예절을 따랐으니 빼거나 보탠 바를 알 수 있다.” 하였는데, 뺀 것과 보탠 것은 오직 문헌이 그 증거가 된다. 우리나라의 예악 문물은 중국과 맞먹어서 단군(檀君)이 나라를 세운 때로부터 현 임금 원년에 이르기까지 4261년이다. 세상에 나타난 문헌만 해도 수천 질이고 그 요점만 간추려도 또 수백 권이니, 아무리 두레박줄이 길어도 진실로 그 깊은 물을 길을 수 없다. 내가 임하(林下)의 초려(草廬)에 거하면서 22대사(代史)에서 뽑고 남은 먹으..

十二雜歌(십이잡가)

十二雜歌(십이잡가) 槪要 12雜歌란? 12 잡가는 조선 후기에 전문 가객들이 구비전승되는 민요나 가사 중에서 선택하여 부르기 좋게 가다듬은 것으로, 세련된 어구와 고사성어가 많이 들어 있다. 원래는 「유산가」·「적벽가(赤壁歌)」·「연자가」[또는「제비가」]·「소춘향가(小春香歌)」·「선유가(船遊歌)」·「집장가(執杖歌)」·「형장가(刑杖歌)」·「평양가(平壤歌)」 등 8곡이던 것을, 정가(正歌)인 12가사에 준하기 위하여, 나중에 「월령가(月令歌)」[또는「달거리」]·「십장가(十杖歌)」·「출인가(出引歌)」·「방물가(房物歌)」 등 4곡을 더해 12곡으로 만든 것이다. 1.遊山歌(유산가) 「유산가(遊山歌)」는 진천 지역에서 불리던 12잡가의 하나이다. 「유산가」는 봄날의 산천경개를 중국의 명승지에 견주어 읊으면서 대부..

十二雜歌(십이잡가)

十二雜歌(십이잡가) 槪要 12雜歌란? 12 잡가는 조선 후기에 전문 가객들이 구비전승되는 민요나 가사 중에서 선택하여 부르기 좋게 가다듬은 것으로, 세련된 어구와 고사성어가 많이 들어 있다. 원래는 「유산가」·「적벽가(赤壁歌)」·「연자가」[또는「제비가」]·「소춘향가(小春香歌)」·「선유가(船遊歌)」·「집장가(執杖歌)」·「형장가(刑杖歌)」·「평양가(平壤歌)」 등 8곡이던 것을, 정가(正歌)인 12가사에 준하기 위하여, 나중에 「월령가(月令歌)」[또는「달거리」]·「십장가(十杖歌)」·「출인가(出引歌)」·「방물가(房物歌)」 등 4곡을 더해 12곡으로 만든 것이다. 1.遊山歌(유산가) 「유산가(遊山歌)」는 진천 지역에서 불리던 12잡가의 하나이다. 「유산가」는 봄날의 산천경개를 중국의 명승지에 견주어 읊으면서 대부..

왕궁수문장과 함께

◆ [펼쳐ZOOM] 왕궁수문장과 함께... 과거로의 시간여행 ▷ 본, 'Netizen Photo News' 는 가입 필요없이 손님께서도 연결에 넣어두고 날마다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 있음 '한국 네티즌본부' ○··· 10일 오전 서울 덕수궁 중화문 앞에서 수문장 교대식 출연진들이 복장과 장비를 펼친 후 바닥에 누워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 수문장 교대식 출연진이 복장과 장비를 펼친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 ‘둥둥둥~’ 북소리에 맞춰 ‘착착착~’ 덕수궁 수문장 교대의식이 시작됐다. 수문군과 교대군의 다채로운 전통복장, 절도 있는 동작을 보고 있자면 나도 모르게 조선시대로의 시간여행에 빠져든다 “초엄!” 하급 관리인 참하의 외침을 따라 수문군들이 복창하자 교대의식 시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