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이야기/수사모

[스크랩] 불교상식 21~30

淸潭 2006. 9. 17. 18:53

 

21. 불교용어    (좌선(坐禪)화두(話頭)...)

22. 백팔(108) 번뇌  (# 6*6*3=108...)

23. 업(業)이란 ?  (삼업(三嶪)...)

24. 자비심은 무엇을 말하는가?  (자(慈)이고, ...)

25. 스님의호칭 및 출가과정  (사미, 사미니,...)

26. 5대 보궁(五大寶宮)  (상원사 보궁,..)

27. 金剛經 四句揭   (卽見如來니라.)

28. 대승과 소승의 차이는?  (이타중심(利他中心)...)

29. 계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5계 10선계...)

30. 선정과 지혜는 어떻게 형성됩니까?

21. 불교용어

 1. 성불(成佛)

     인사할 때 하는 말로서

    "성불하십시요'하고 인사합니다.

    成佛이란  말은 부처님처럼 진리를 깨달아

    거룩한 성인이 되라는 뜻이 있으며,

    또는 모든 소원이 이루어지라는 뜻이 있습니다.

2. 법우(法友)란 무슨 뜻

   법우란 같은 불법을 배우는 친구라는 뜻입니다.

3.불자(佛子)란 어떤 뜻

   부처님의 제자란 뜻으로,

   부처님을  믿는 사람은 앞으로 부처님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4. "부처님"이란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진리를 밝게 깨달아

   온갖 복과 덕을 모두 갖추신 분이라는 뜻입니다.

5. 염불(念佛)이란?

   거룩하신 부처님을 고요한 마음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부처님의 크신 공덕을 기리며,

   부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입니다.

6. 기도(祈禱)란?

   바라는 것이 이루어지기를  부처님께 간절히  비는 믿음이며,

   참되고 올바른 마음으로 열심히 노력하려는  스스로의 다짐입니다.

7. 독경(讀經)이란?

    불경을 외우거나 읽는 것이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리는 것입니다.

8. 공양(供養)이란?

    깨끗한 마음으로 음식꽃,  향, 촛불, 쌀, 물  등을

   부처님께 올리는 것이며

   또한 우리 이웃의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어떤 물건이나

   참다운 가르침을 베풀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9. 참회(懺悔)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탓으로 지은 잘못을

   자신이 뉘우치는 것으로

   다시는 그러한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는 마음의 다짐입니다.

10. 발원(發願)

   부처님께 올리는 서원으로 나쁜  마음을 모두 버리고  

   부처님처럼 크고, 넓고, 맑은 마음으로 살아가려고  다짐하는 것입니다.

  11.좌선(坐禪)


     고요한 곳에 가부좌(반가부좌)를 틀고 단정히 앉아 호흡을

     고른 뒤에 화두를 보면서 참선하면 간화선(看話禪)이 되고 고요히

     스스로 그 흘러가는 마음을 관찰하면 묵조선(默照禪)이 된다.

  12.화두(話頭)


     문제의식이다. 예를 들면 옛날 조주 스님께서 어떤 스님이 묻기를

     '개도 불성이 있습니까?'하니 '없다' 하였는데,

     그러면 왜 부처님은 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 하였는가

     의심을 제기하여 풀어가는 것이다.

 

  13.보리수는?


     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 의 깨달음을 상징하고 있다.
 

  14.서사란 ?


     서사는 경전을 써서 길히 보존하고 널리 펴는 것이다.
 

  15.승가(僧伽)란?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4부대중 즉, 불교단체를 총칭한 말이다.
 

  16.조사(祖師)란 ?


     부처님과 그이 제자의 법을 이어 내려온 훌륭한 스님들을 말한다.
 

  17.식차마나(式叉摩那)란?


      식차마나니(式叉摩那尼)라고도 하며

      학법녀(學法女), 학계녀(學戒女), 정학녀(正學女) 등으로 불린다.

      사미니가 되기 직전 단계의 출가 여자 수행자로서,

      18세 이상 20세 미만이 해당된다. 특히 그 기간에는

      불음(不淫), 부도(不盜), 불살(不殺), 불허광어(不虛語), 불음주(不飮酒),

      불비시식(不非時食) 등의 6법을 수행한다.

 

  18.사미니(沙彌尼)란?


      근책녀(勤策女)라고도 하며, 18세 미만의 출가 여자 수행자이다.

      비구니가 되기 전인 식차마나 직전 단계이다.

      사미와 같이 10계(戒)를 지켜야 한다.

 

  19.사미(沙彌)란?


      식악(息惡), 행자(行者), 근책남(勤策男) 등이라 하며,

      20세 미만으로서 비구가 되기 전 단계에 있는 출가 수행자이다.

      사미는 사미계(沙彌戒)를 받고 10계(戒)를 지켜야 한다.


      사미의 나이에 따라 응법(應法) 사미와 명자(名字) 사미로 각각 구별하기도 한다.


      응법사미란, 사미로서 수행할 수 있는 14세부터 19세까지의 사미를 가리키며,

      명자사미는 20세가 넘어서 출가한 자로서 비구계를 받기 전까지의 사미를 말한다.

 

    20.비구니(比丘尼)란?


      출가 수행하는 20세 이상의 여자 스님을 비구니라 하며,

      348계를 지켜야 한다. 석가모니의 생존 당시에 시자였던

      아난의 청을 받아들여서 부처님의 이모인 마하파자파티(大愛道)에게

      출가를 허락했던 것이 비구니의 시초이다.

      필추니(苾芻尼)라고도 하며, 비구에 대한 칭호와 동일한 예로서,

      걸사녀(乞士女)라는 별칭이 있다.
 

    21.비구(比丘)란?


      출가 수행자로서 20세 이상의 남자 스님을 비구라 하며,

      250종의 계(戒)를 지켜야 한다. 흔히 걸사(乞士)라고도 하는데,

      출가한 비구는 위로는 부처님에게 법을 구하여 지혜의 목숨을 기르고,

      아래로는 일반 사람들에게 음식을 구하여 몸을 기르기 때문이라 한다.

      또한 비구는 마왕과 그 권속들에게 두려움을 준다고 하여 ‘

      포마’(怖魔)라고도 하며, 계(戒) 정(定) 혜(慧) 3학(學)을 닦아서

      모든 악(惡)을 없앤다는 뜻에서 ‘파악’(破惡)이라 하고,

      비구로서 지키는 계행(戒行)은 능히 좋은 복전(福田)이 되므로

      인과(因果)의 흉년을 없앤다는 뜻에서 ‘제근’(除饉)이라고 한다

    
 
 22.우바이(優婆夷)란?

      3보를 받들어 섬기는 여자 재가 신도를 말한다.

      근사녀(近事女), 근선녀(近善女), 청신녀(淸信女) 등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사찰에서는 ‘보살’이라고 부른다.

      우바새와 마찬가지로 삼보에 귀의하고, 5계와 8재계 등을 지켜야 된다.

 

   23.우바새(優婆塞)란?


     불, 법, 승 삼보를 가까이서 받들어 섬기는 남자 재가 신도를 말한다.

     근사남(近事男), 근선남(近善男), 청신사(淸信士)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거사(居士) 또는 처사(處士)라 부른다.

     우바새는 삼보에 귀의하고 5계(戒), 8재계(齋戒) 등을 지켜야 한다.

 

   24.아미타불이란 ?


      48원으로 극락세계를 장엄하여 고통중생을 구제하시는 분이다

.

   25.염주는 무엇을 상징하나?


      마음에 구슬을 상징하고 염불의 숫자를 헤아리기 위해서 가진다.

   26.불공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

    27.미륵부처

       미륵부처님(彌勒佛)은 먼 훗날 이 땅에 출현하셔서

       중생들을 제도하실 미래세의 부처님으로,

       지금은 도솔천에서 천인들을 위해 설법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그러므로 미륵부처님이라고도 하고

       아직은 부처님이 아니므로 미륵보살이라고도 하는데,

       미륵이란 인도의 옛말 마이트레야를 소리나는대로 옮긴 것으로

       본래는 사랑, 우정, 자애 등을 의미하던 말이었습니다.
 

   

 

22. 백팔(108) 번뇌~1


안, 이, 비, 설, 신, 의 이 여섯가지 감각 기관으로 =6

색, 성, 향, 미, 촉, 법, 이 여섯가지 경계를 각각 접하게 되니=6

 6 * 6 = 36 가지의 번뇌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36가지 번뇌가
과거, 현재, 미래,를 합하니=3

(36*3=108) 백팔번뇌라 한답니다.

#  6*6*3=108


여기서 주의 할것은 과거 현재 미래라 해서

그 옛날 과거가 아니고, 아득한 미래가 아니라...

방금 지나간 시간 과거와

지금 순간의현재와

잠시후의 미래가

포함된다는 것을 염두해 두시면 이해하기가 쉬울겁니다.(진리여행)

 

 108번뇌~2

    몸과 마음의 108가지 번뇌

 

사찰에 가 보면 ‘108 계단’을 비롯해, 108과 관련된 숫자가 많다.

염주의 숫자도 108개가 있고, 절을 할 때도 108을 기본 숫자로 한다.

일천배를 한다는 것은 108배를 열번 한다는 것임으로 정확하게 세면,

1000배가 아닌 1080배가 되는 셈이고,

삼천배는 3000번이 아니라 3240번 절을 하는 것이 된다.



특히 108 이란 숫자와 관련해서는 ‘108번뇌(百八煩惱)’를 자주 듣게된다.

 그렇다면 과연 108번뇌란 무엇인가.

 번뇌의 가짓수가 108가지란 의미인 듯 싶은데,

 그렇다면 108가지 번뇌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원래 불교에서 108 이란 숫자는 매우 많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108번뇌란 사람이 끊어야 할 번뇌가 그만큼 많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불교 교학이 발달하면서 이 108 이란 숫자의 의미도

더욱 정확하게 산출하게 됐다.

대체로 두 가지 설이 유력하다.



두 가지 설은 모두 ‘36’을 기본 숫자로 본다.

모든 번뇌를 36가지로 나누고 이것이 과거(전생), 현재(금생), 미래(내생)에

모두 있다고 해서 3을 곱해 108가지로 설명하는 것이다.



기본숫자가 되는 ‘36’에 대해서는

첫째, 사람의 감각(六根)과 감각의 대상(六塵)이 결합해 여섯 가지 작용,

즉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분별작용 등을 하고,

이것이 각각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은(平)

세 가지로 느껴 18가지의 번뇌가 있으며,

또 이 18가지 번뇌는 각각 더러움(染)과 깨끗함(淨)이 있어

36가지(18×2)의 번뇌가 있다고 보는 견해다.

또 다른 설명은 여섯 가지의 작용들이

각각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고(平),

괴롭고(苦), 즐겁고(樂), 괴로움도 아니고 즐겁지도 않은(捨)은

여섯 가지가 있어 모든 번뇌를 36(6×6)으로 보는 설명이다.(불교신문)
 

 

번뇌란 무엇입니까?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악한 견해와 습기(習氣)를 말한다.

32) 번뇌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탐욕, 성냄, 어리석음, 거만한 마음, 의심하는 마음의 미사혹(迷事惑)이 있고

신견. 변경. 사견. 견취견. 계금취견등

이치를 흐리게 하는 미리혹(迷理惑) 10가지가 있다.


 

23.  업(業)이란 ?

업(業)이란 범어로 Karma라 하는데,

행동 조작 등의 뜻으로 모든 행위가 시작되어

선악이 결정되고 그 결과 업이 생기게 한다.

업에는 삼업(三嶪)이 있으며,

십악(十惡)과 십선(十善)으로 나뉩다.

 

삼업(三嶪)

1)신업(身業): 몸으로 짓는 업을 말한다.

 

- 살생(殺生):살아있는 생명을 죽이는 것.

 

- 투도(偸盜):남의 물건을 도적질하는 것.

 

- 사음(邪淫):삿된 음행을 하는 것으로

 

   아내나 남편 이외의 타인과 음행을 하는 것.

 

2)구업(口業):입으로 짓는 죄를 말한다.

 

- 양설(兩舌):이간질하는 말.

 

- 악구(惡口):남을 성내게 하는 나쁜 말.

 

- 기어(綺語):겉만 좋아 보이고 실속 없는 말.

 

- 망어(妄語):망녕되고 이치에 맞지 않는 말.

 

3)의업(意業):마음으로 짓는 업을 말한다.

 

- 탐심(貪心):마음속으로 남의 물건을 탐하거나 음탕한 마음.

 

- 진심(瞋心):성을 낸다든가, 화로써 타인을 괴롭히는 불쾌한 마음.

 

- 치심(痴心):어리석은 마음.

 

1.10악(十惡)

살생(殺牲),

투도(偸盜),

사음(邪淫),

양설(兩舌),

악구(惡口),

기어(綺語),

망어(妄語),

탐심(貪心),

진심(瞋心),

치심(痴心)

 

2.10선(十善);10악의 반대 개념임

불살생(不殺牲),

 

불투도(不偸盜),

 

불사음(不邪淫),

 

불양설(不兩舌),

 

불악구(不惡口),

 

불기어(不綺語),

 

불망어(不妄語),

 

불탐심(不貪心),

 

불진심(不瞋心),

 

불치심(不痴心)

 

위와 같이 십선을 행하며 우리 불자들이 살아간다면

 

성불을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교리를 배우는 모든 불자들은

 

이 십선을 수행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24. 자비심은 무엇을 말하는가?~1


자비란 자기 이외의 사람들을 고뇌에서 자유롭게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자(慈)란 적극적으로 상대방에게 이익과 안락을 보태주는 것이고,

비(悲)란 고통받는 사람의 불이익과 괴로움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자비심은 무엇을 말하는가?~2


모든 중생은 본질적으로 일심 동체이다.

세상 만물이 인연법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남이라고 하여도 사실은 남이 아니다.


어떤 사람이 좋은 일을 하면 그것을 자기 일처럼 기뻐하는 것이
자(慈)이고,

어떤 사람이 나쁜 짓을 하면 그것이 내 일처럼 아파하여

그것을 없애 주려고 하는 것이 비(悲)이다.


따라서 모든 중생에 대해서 자애와 연민의 마음을 내는 것이 바로 자비심이다.
 

25.스님의호칭 및 출가과정

가.스님의 호칭


남자스님                      : 비구스님
여자스님                       : 비구니스님
사미계를 받은 예비남자스님     : 사미(행자)
사미니계를 받은 예비 여자스님   : 사미니
남자신도                       : 거사, 처사 . 우바새
여자신도                       : 보살. 우바이

 나. 스님이 되는 과정(조계종 기준)


 처음 출가를 하게 되면 2년정도 행자생활을 한다.

절의 허드렛일을 하면서 승려가 될 자격이 있는 가를 테스트 받고 나면

사미계(사미니)를 받고 사미, 치문, 사집, 사교를 거치고  나면

정식으로 비구계를 받고  

포교 활동을 하든가 아니면 선방에서 선을 닦게 된다.

출가스님들(出僧)과 재가스님들(在家僧 )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 출가스님들이란 어떤 분을 말합니까?


 세속적인 가정과 성씨. 족벌 국적을 버리고 출가수도하며

세계일화(世界一花) 만민동체(萬民同體)의 의식속에

세계를 한집안 삼고 만민을 한 가족으로 생각하고 사는 사람들이다.

 
라. 출가승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사미, 사미니, 식차마나, 비구, 비구니, 다섯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처음 출가하여 5계 10계를 받고 비구가 되고저 수행하는

    남자 수행자를 사미승(沙彌僧)이라 하고,


  2. 처음 출가하여 5계 10계를 받고 비구니가 되고저 수행하는

    여자수행자를 사미니승(沙彌尼僧)이라 하고,


  3. 10세이상 20세 미만의 정학녀(正學女)로서 6법계를 지키며

    비구니가 되기 희망하는 예비비구니를 식차마나승(式叉摩那僧)이라 하고,


  4. 250계를 받고 걸사수행으로 교단의 기강을

    확립해가는 스님을 비구승(比丘僧)이라 하고,


  5. 348계를 받고 걸사수행으로 교단의 기강을

    확립해가는 스님을 비구니승(比丘尼僧)이라 한다.

 
마. 재가승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우바새 우바이 두가지가 있다.


 1. 신도 5계를 받고 위로는 불승을 공경하고 밑으로는

   자기수행을 열심히 하며 중생을 구제하는 남자신도를 우파샤가(優婆塞)라 하고,


 2. 시도 5계를 받고 위로 불승을 공경하고 밑으로

   자기수행에 열심하며 중생을 구제하는 여자신도를 우바이(優婆夷)라고 한다.

 
바. 보살승(菩薩僧)이란 어떤 것입니까?


  출가. 재가를 논하지 않고 위로는 불도를 구하면서 밑으로

중생구제에 노력하는 대심중생(大心衆生)을 말한다.


출가수행자가 되려면 어떻게 하여야 합니까?


먼저 부모님께 승낙을 받고 스승을 선택하여,

5계, 10계, 250계 등을 받고 비구니는 348계를 받아야 하고 스님의 수행을 닦아야 한다.

 

26. 5대 보궁(五大寶宮)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전각을 적멸보궁이라 한다.

우리나라에는 신라의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와 정골을 나눠서 봉안한 5대 적멸보궁이 있다.

양산 통도사,

강원도 오대산 중대에 있는 상원사 보궁,

설악산 봉정암,

태백산 정암사,

사자산 법흥사 적멸보궁이

바로 성지로 꼽히는 5대 보궁이다.
 

27. 金剛經 四句揭

 

凡所有相 皆是虛妄이고

若見諸相非相이니 卽見如來니라.

 

무릇 있는 바 모든 현상은 다 허망한 것 이니

만약 모든 상이 상이 아님을 알면 곧 여래를 볼 수 있느니라.

 

不應住色生心하며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이니

應無所住하여 而生其心이니라

 

색에 머물지 않는 마음을 내야하며 성 향 미 촉 법에 머물지 않는 마음을 내어

마땅히 아무데도 집착하지 말고 마음을 내야 할 것이니라.

 

若以色見我하거나 以音聲求我한다면

是人行邪道이므로 不能見如來이니라.

 

만일 모습으로 나를 보려 하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려 하면

이런 사람은 삿 된 도를 행하는 자라 능히 여래를 볼 수 없느니라.

 

28. 대승과 소승의 차이는 어디에 있습니까?


     마음을 크게 쓰고 적게 쓰는데 있다.

     오직 나만을 위해 수행하고 사회에 봉사하지 못하는

     자리중심(自利中心)의 불자를 소승이라 하고

     나를 위하면서 남도 위하는 이타중심(利他中心)의 불자를 대승이라 한다.

     그러나 만일 자리이타에 충만한 자각각타 각행원만의

     보살도를 실천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를 불승(佛僧)이라고 부른다.

 

29. 계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일반적으로는 3귀 5계 10선계가 있고

     전문적으로는

     사미 10계와

     비구 250계

     비구니 348계

    보살 10중 대계와

    48경계가 있다.

 

30. 선정과 지혜는 어떻게 형성됩니까?

 

     듣고(聞) 생각하고(思) 닦아(修) 무명의 바람이 가라앉으면

     번뇌의 파도가 쉬어 밝은 바다가 천지만물을 비추듯

     마음의 거울 가운데 온갖 것을 그림자처럼 마음대로 비추어 보게 된다.

 

출처 : 수덕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글쓴이 : banya 원글보기
메모 :

'불교이야기 > 수사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교상식 51~60  (0) 2006.09.17
[스크랩] 불교상식 41~50  (0) 2006.09.17
[스크랩] 불교상식 31~40  (0) 2006.09.17
[스크랩] 불교상식 11~20  (0) 2006.09.17
[스크랩] 불교상식 1~10  (0) 2006.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