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說] 虎壓寺 虎壓寺 또 무너졌구나.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짓는데 하룻밤을 자고 나면 전날에 지은 건물이 무너지니 전국에서 몰려든 대목수들 아연실색이라 무사들을 모아서 한밤중에 내다 보니 호랑이 모습을 한 괴물이 나타나 지어 놓은 궁궐을 허물고 도망을 합니다. 다음 날 밤에..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3
[說話] 선계 설화(仙界 說話) 선계 설화(仙界 說話) 신선 설화의 하나. 남추라는 사람이 아이에게 선경에 다녀오게 한 이야기로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권18 외도부(外道部)에 실려 전한다. 남추는 곡성사람으로 어려서 공부를 하는데 배우지 않아도 모든 것을 통하였다. 하루는 안개가 개이더니 몇 사람과 바..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3
[說話] 선덕왕지기 삼사 설화 선덕왕지기 삼사 설화 신라 선덕여왕의 지혜로움에 얽힌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1 기이편(紀異篇)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 가지 설화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첫째는 향기 없는 모란꽃 이야기로, 당나라 태종이 붉은색·자주색·흰색의 세 가지 색으로 그린 모..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3
[野談] 서얼(庶孼)은 슬프다 양사언의 모(楊士彦母) **1) 양사언(楊士彦)과 양사기(楊士奇)형제는 양사준의 동생인데, 모두 양희수의 아들이다. 양희수가 사냥을 갔다가 비바람을 만나 한 시골집에 들어갔다. 그 집에는 노인과 어린 딸이 있어서, 노인이 양희수를 맞아 술을 대접하는데, 어린 딸이 돕고 있었다. 이때 양..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2
[說話] 선도산성모 설화 선도산성모 설화 경주의 서산 선도산성모가 불사(佛事)를 도와준 감응(感應)의 이적에 관한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5 감통편(感通篇)에 ‘선도성모수희불사(仙桃聖母隨喜佛事)’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진평왕 때 안흥사(安興寺 : ..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2
[說話] 선류몽 설화 선류몽 설화 높은 곳에 올라서 소변을 보았더니 그 물이 나라에 혹은 천하에 가득 찬 꿈을 꾸었다는 내용의 설화. ≪동국여지승람≫ 권31에 경종비(景宗妃)에 관한 내용이, ≪고려사≫의 세계(世系) 및 ≪동국여지승람≫ 권12에 보육(寶育)과 진의(辰義)에 관한 내용이, ≪삼국유사≫ 권2와..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2
[野談]양사언의 모(楊士彦母) 양사언의 모(楊士彦母) **1) 양사언(楊士彦)과 양사기(楊士奇)형제는 양사준의 동생인데, 모두 양희수의 아들이다. 양희수가 사냥을 갔다가 비바람을 만나 한 시골집에 들어갔다. 그 집에는 노인과 어린 딸이 있어서, 노인이 양희수를 맞아 술을 대접하는데, 어린 딸이 돕고 있었다. 이때 양..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1
[野談] 月下情人 月下情人 月下情人 신윤복의 그림 타이틀입니다. 개미새끼 한 마리 다니지 않는 한밤중 두 남녀가 담벼락에 붙어 사랑을 속삭입니다. 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 兩人知 그림 속에 쓰여 있는 그림의 해설입니다. 달은 기울어 밤 깊은 삼경이면 밤 11시부터 1시 사이 통금시간인데 어이 여인이..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1
[說話] 선문대할망 설화 선문대할망 설화 제주도의 거녀(巨女)인 선문대할망의 모습과 창조 업적·죽음 등에 얽힌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한다. 거녀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선문대할망·설문대할망·설명두할망·세명뒤할망 등으로 나타나고, 담수계(淡水契)편 ≪탐라지 耽羅誌≫ 등 문헌..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1
[野談] 득세(得勢)에 따라 바뀌는 노비 문제 득세(得勢)에 따라 바뀌는 노비 문제 사내종 노(奴)와 계집종 비(婢)가 그 어미의 신분을 따르는 것은 고려 정종(靖宗) 때 시작되었으나, 양산(良産)까지 모두 추쇄(推刷)하여 노비로 만든 것은 어느 때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다. 현종 기유년(1669, 현종 10)에는 종량법(從良法)을 시행하였고,..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