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도원도 27 - 崔 ? (최종편) 몽유도원도 27 - 崔 ? (최종편) 최 ? : 작가의 성명을 알 수가 없어서 현재까지 ??? [ 작품 설명 ] 옥 베개로 구슬 침상에 잠든 신선 한 분, 우연히 맑은 꿈결 속에 산 좋고 물 맑은 곳에 떨어졌었네. 깨어나니 여전히 옛집 그 자리에 엎드려 있으니, 그야말로 화서(華胥)의 태고적 시절이로다. 품에 가득한 풍..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26 - 천봉 만우(千峰 卍雨) 몽유도원도 26 - 천봉 만우(千峰 卍雨) 천봉 만우(千峰 卍雨): 공민왕 6년(1357 ~ ?) 승려 호는 千峰이며 유암(幼庵)의 제자.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탐구하지 않은 경전이 없으며, 시를 잘하여 시사(詩思)가 청절(淸絶)하였다. 이색(李穡), 이숭인(李崇仁)등과 교유하였고, 문명이 높아 사방에서 배우고자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25 - 괴애 김수온(乖崖 金守溫) 몽유도원도 25 - 괴애 김수온(乖崖 金守溫) 괴애 김수온(乖崖 金守溫) : 태종 9년~성종 12년(1409 - 1481) 자는 文良, 호는 괴애(乖崖). 식우(拭우). 본관은 永同. 訓의 아들로 세종 20년(1438)진사가 되고, 세종 23년에는 式年文科에 급제하여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로 집현전에서 치평요람(治平要覽)을 편찬하..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24-근보 성삼문(謹甫 成三問)편 몽유도원도24-근보 성삼문(謹甫 成三問)편 성삼문(成三問) : 태종18년~세조 2년(1418 - 1456)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 자는 근보(謹甫). 눌옹(訥翁)이며 본관은 창녕(昌寧). 도총관(都摠官) 승(勝)의 아들로 태어나 세종 20년(1438) 식년문과(式年文科)에 하위지(河緯地)와 함께 급제하여 집현전학사(集賢殿學..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 도원도 23 - 四佳亭, 서거정 (徐居正) 편 몽유 도원도 23 - 四佳亭, 서거정 (徐居正) 편 서거정(徐居正) : 세종 2년 ~ 성종 19년 ( 1420 - 1488 ) 자는 강중(剛中), 초자(初字)는 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정정정(亭亭亭). 본관은 달성. 목사 미성(彌性)의 아들이자 권근(權近)의 외손자로서 세종 26년(1444)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세조 2년(1456)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22 - 강흥 이현로 (李賢老) 몽유도원도 22 - 강흥 이현로 (李賢老) 이현로(이현로) : ? ~ 단종 1년 ( ? ~ 1453) 初名은 善老, 본관은 江興. 光後의 아들로 세종 20년(1438) 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집현전교리(集賢殿校理)를 거쳐 세종 29년(1447) 병조정랑(兵曹正郞)이 되었으나, 이 해에 뇌물을 받은 죄로 남평에 유배되었다. 문종 1년(1451) 유..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21 - 이예 (李芮) 편 몽유도원도 21 - 이예 (李芮) 편 이예(李芮) : 세종 1년 ~ 성종 11년(1419 - 1480) 자는 可成, 萬成,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陽城 증판서(贈判書) 全之의 아들로 세종 20년(1438) 진사가 되고 세종 23년(1441) 式年文科에 급제했다. 軍器寺直長을 거쳐 세종 25년(1443)에는 집현전박사로 [의방류취(醫方類聚)] 의 편찬..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20- 무송 윤자운(茂松 尹子雲) 몽유도원도20- 무송 윤자운(茂松 尹子雲) 윤자운(尹子雲) : 태종 16년 ~ 성종 9년 (1416 - 1478) 자는 망지(望之), 호는 락한재(樂閒齋), 본관은 茂松. 판서 회(淮)의 아들로 세종 20년(1438) 진사가 되고, 세종 26년(1444)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여 검열(檢閱)이 되었다. 문종 즉위년(1450)에 수사관(修史官)이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19 - 인수 박팽년( 朴彭年)편 몽유도원도19 - 인수 박팽년( 朴彭年)편 박팽년 : 태종 17년 ~ 세조 2년(1417 - 1456) 사육신의 한 사람. 자는 인수, 호는 취금헌(醉琴軒). 본관은 순천, 판서 중림(仲林)의 아들로 세종 16년(1434)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여 成三問 등과 함께 집현전학사로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세종 29년(1447)에는 문과..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18- 최항 (崔恒)편 몽유도원도 18- 최항 (崔恒)편 최항(崔恒) : 태종 9년 ~ 성종 5년(1409 - 1474) 자는 貞父, 호는 太虛亭, 동량, 본관은 朔寧. 贈領議政 士柔의 아들로 세종 16년(1434) 謁聖文科에 급제하여 集賢殿副修撰이 되었다. 세종의 명으로 훈민정음의 창제와 [龍飛御天歌]의 창제에 참여했으며, [東國正韻]과 [訓民正音解..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