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도원도 7-신숙주 편 몽유도원도 7-신숙주 편 몽유도원도에는 38.6X106.2cm 크기의 그림이 있고, 그 다음에 안평대군의 발문(跋文)이 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세종조의 대표적인 인물들 21명의 찬시가 있다. 그러므로 [몽유도원도] 두루마리에는 두편의 안평대군의 글을 포함하여 모두 22명, 23편의 글이 실려 있다. 시문들의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6- 안평대군과 안견 몽유도원도 6- 안평대군과 안견 세종대왕의 3째 아들인 용(瑢)은 특히 부친의 사랑을 듬뿍 받으면서 예술활동에 전념을 할 수가 있었다. 하루는 세종께서 <安平>이란 호에 대하여 말씀을 하셨다. <安平>이란 뜻은 "그 이름이 안일하고 안이한 의미를 띠고 있다" 그리고는 증민지시(蒸民之詩)를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5-"도화원기"와 "몽유도원도"비교 몽유도원도 5-"도화원기"와 "몽유도원도"비교 [몽유도원도]를 이해하려면 먼저 참고로 도잠(陶潛)(= 陶淵明. 365~427년)의 [桃花源記]부터 알고 나면 훨씬 이해가 쉽다. " 東晉의 太元연간(376~396년)에 武陵의 어떤 사람이 고기를 잡아 생활을 했는데 어느날,내를 따라 가다가 길을 잃게 되었다. 이때 갑자기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4-부분설명 몽유도원도 4-부분설명 [몽유도원도]의 일부 모습입니다. 좌측에는 <안평대군의 발문 서두>의 모습이고, "몽유도원도"의 1.2.3.4의 그림 중에서 1.2.3의 모습으로 좌측부터 꿈의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몽유도원도]중 1의 모습입니다. { 잠자리에 누워 잠을 자는데 박팽년과 더불어 한 곳을 당도..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3-안견의 그림과 안평대군의 발문(拔文) 몽유도원도 3-안견의 그림과 안평대군의 발문(拔文) 몽유도원도의 그림 부분의 현재 크기는 38.6 x 106.2cm이나 원래에는 더 컸을 것으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상하좌우변이 표구를 하면서 잘려 나갔기 때문이다. [몽유도원도]의 구성은 우측부터 <안평대군>이 쓴 "몽유도원도"라는 글씨와 찬시가 있으..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2-안평대군의 찬시 몽유도원도 2-안평대군의 찬시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이 세종 29년(1447년) 4월 20일에 꿈속에서 도원을 여행하고 그 속에서 본 바를 안견에게 설명해 주고 그리게 한 것으로 3일만인 4월 23일에 완성을 본 것이다. 이 글씨는 안평대군이 1450년 즉, [몽유도원도]가 완성된 3년뒤에 쓴 것으로 푸른색 비단에 ..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몽유도원도 1-안평대군 몽유도원도 1-안평대군 안평대군(安平大君) : 태종18년(1418년) - 단종1년(1453년)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 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났다. 첫째가 문종이고, 둘째가 수양대군(후에 세조)이며, 셋째가 안평대군으로 이름은 용(瑢), 자는 청지(淸之), 호는 비해당(匪懈堂), 낭간거사, 매죽헌(梅竹軒)이다. 세종.. 문화,예술/서예실 2007.09.08
일본에서 건너온 이순신 장군의 친필 일본에서 건너온 이순신 장군의 친필 지난 2006.10.6.충주박물관에서 충주문화원이 일본 구마모도 국제문화교류회와 충주-구마모도 국제학술대회를 가졌는데 여기에서 확인,공개된 것이라함.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일본군 장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개인사찰인 혼묘지(本妙寺)에서 .. 문화,예술/서예실 2007.08.04
낙관 낙관 후한(後漢)의 서화가 채옹은 영제(靈帝)의 명에 의하여 "적가후오대장상도(赤家侯五代將相 圖)"를 그렸고,여기에 찬문(撰文)까지 쓰게 되었는데 이 찬문은 곧 현대 동양화에 있어서 화 제(畵題) 또는 제시(題詩)의 시초가 된다. 또한, 서화 작품에 낙관(落款)이라는 일종의 풍류지사(風流之事)를 즐.. 문화,예술/서예실 2007.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