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와 김진익 ( 謙窩 金振益 ) 겸와 김진익 ( 謙窩 金振益 ) 국립현대미술관 초대작가 대한민국서예대전 심사위원 역임 대한민국서예전람회 심사위원, 운영위원 역임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초대출품 한국서예 100인전 출품 서울서예대전 초대출품 예술의전당, 홍대 미술교육원 강사 현 한국서가협회 상임이사 현주소 : 서울시 강남.. 문화,예술/서예실 2007.11.19
초정 권창륜 (艸丁 權昌倫) 초정 권창륜 (艸丁 權昌倫) 1943~ 예천 용문면 능천리 (2006現). 예천군은 용문면 능천리에 ‘전통서예 체험관’을 건립. 한국서예 학술원장인 초정 권창륜 선생 등 지역출신 서예가들의 업적을 계승, 발전하고 후학 양성을 위해 지어진 이 서예체험관은 1518평의 터에 연면적 261평,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 문화,예술/서예실 2007.11.18
추사 김정희 (秋史 金正喜) 추사 김정희 (秋史 金正喜) 1786~1856 자:元春. 호:추사 외 200~300課의 관지로 추정. 추사(秋史) ·완당 ·노완(老阮). 金正喜印,소봉래학인(小蓬萊學人),염(髥,丙午老人, 추사심정(秋史審正),예당(禮堂),천보재(天寶齋),대한천상(大閒天上), 추사진장(秋史珍藏). 완당(阮堂).승련노인(勝蓮老人).즉과(卽果).과.. 문화,예술/서예실 2007.11.18
‘한글자에 억만금’ 왕희지 서첩 희귀본 경매 ‘한글자에 억만금’ 왕희지 서첩 희귀본 경매 중국의 고대 서예대가 왕희지(王羲之.307-365)의 작은 서첩 하나가 50억원에 팔릴 전망이다. 국제 경매회사 크리스티는 이달말 홍콩에서 왕희지의 `매지첩(妹之帖)' 모사본을 3천만∼4천만위안(약 37억-50억원)의 예상가에 경매할 예정이라고 홍콩 언론이 14.. 문화,예술/서예실 2007.11.14
고려초 삼필 -이환추·구족달·장단열 고려초 삼필 -이환추·구족달·장단열 그림 1. 이환추(李桓樞),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명’(廣照寺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銘) 부분, 937년 그림 2. ‘정토사법경대사탑비’(淨土寺法境大師塔碑) 전경, 934년, 보물 17호, 충북 중원. 그림 3. 백현례(白玄禮), ‘봉선홍경사갈기’(奉先弘慶寺碣記) 전.. 문화,예술/서예실 2007.10.31
500여년 한글서예 역사와 과제 500여년 한글서예 역사와 과제 그림 4) 서희환(1934~1995), ‘훈민정음서’, 1988년, 개인 소장. 우리나라는 처음 말과 글이 달라 뜻글자인 한자(漢字)를 사용해왔다. 690년경 통일신라에서 이두(吏讀)를 만들어 우리말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1446년 세종대왕이 언문일치(言文一致)의 한글을 만들어 내면.. 문화,예술/서예실 2007.10.31
3년 제작 120m ‘법화경’ 병풍 3년 제작 120m ‘법화경’ 병풍 서예가 이성조, 23~28일 고희전 병풍 제작으로 이름난 서예가 남석 이성조(70) 선생의 고희전(古稀展)이 10월 23일부터 28일까지 대구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열렸다. 23일 개막식에서는 3년여의 작업 기간을 거쳐 2003년 완성해 한 사찰에서 보존해오던 168폭(120m)짜리 초대형 .. 문화,예술/서예실 2007.10.26
500여년 한글서예 역사와 과제 [서예가 열전]500여년 한글서예 역사와 과제 그림 4) 서희환(1934~1995), ‘훈민정음서’, 1988년, 개인 소장. 우리나라는 처음 말과 글이 달라 뜻글자인 한자(漢字)를 사용해왔다. 690년경 통일신라에서 이두(吏讀)를 만들어 우리말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1446년 세종대왕이 언문일치(言文一致)의 한글을 .. 문화,예술/서예실 2007.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