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故事成語

伯牙絶絃(백아절현

淸潭 2019. 9. 17. 20:19

伯牙絶絃(백아절현)

백아(伯牙)가 거문고 줄을 끊다.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을 잃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백아는 거문고를 잘 연주했고 종자기(鍾子期)는 (백아의 연주를) 잘 감상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탈 때 그 뜻이 높은 산에 있으면 종자기는 “훌륭하다. 우뚝 솟은 그 느낌이 태산 같구나.”라고 했고, 그 뜻이 흐르는 물에 있으면 종자기는 “멋있다. 넘칠 듯이 흘러가는 그 느낌은 마치 강과 같군.”이라고 했다. 백아가 뜻하는 바를 종자기는 다 알아맞혔다.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더 이상 세상에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知音)이 없다고 말하고 거문고를 부수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연주하지 않았다.(伯牙善鼓琴, 鍾子期善聽. 伯牙鼓琴, 志在高山, 鍾子期曰, 善哉. 峨峨兮若泰山. 志在流水. 鍾子期曰, 善哉. 洋洋兮若江河. 伯牙所念, 鍾子期必得之. 子期死, 伯牙謂世再無知音, 乃破琴絶絃, 終身不復鼓.)」

이 이야기는 《열자(列子) 〈탕문(湯問)〉》에 나오는데, 종자기가 죽은 후 백아가 거문고를 부수고 줄을 끊은 데서 ‘백아절현’이 유래했다. 그리고 여기에서 ‘서로 마음을 알아주는 막역한 친구’를 뜻하는 ‘지음(知音)’도 유래했다. 백아와 종자기의 이야기는 《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本味)〉》에도 나온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는 그것을 들었다. 거문고를 타는데 뜻이 높은 산에 있으면 종자기는 “훌륭하도다, 거문고 연주는. 우뚝 솟은 것이 태산과 같구나.”라고 말했다. 잠시 후 그 뜻이 흐르는 물에 있으면 종자기는 이렇게 말했다. “훌륭하도다, 거문고 연주는. 넘칠 듯이 흘러가는 것이 물과 같구나.”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거문고를 던져 버리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다시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다. 세상에 거문고 연주를 들려줄 사람이 다시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伯牙鼓琴, 鍾子期聽之, 方鼓琴而志在泰山. 鍾子期曰, 善哉乎鼓琴, 巍巍乎若泰山. 少時而志在流水, 鍾子期曰, 善哉鼓琴, 洋洋乎若流水. 鍾子期死, 伯牙摔琴絶絃, 終身不復鼓琴, 以爲世無足復爲鼓琴者.)」


젊을 때는 몰랐는데 나이가 들수록 친구의 죽음은 때로는 ‘백아절현’의 슬픔과 절망감을 가져다주는 것 같다. 남자가 늙으면 남는 것은 아내와 친구밖에 없다고 했는데······.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事成語  (0) 2024.01.01
입춘첩(立春帖)  (0) 2020.02.03
사불급설(駟不及舌)  (0) 2017.08.05
일야만리성(一夜萬里城)   (0) 2017.05.13
오늘이 경칩(驚蟄)입니다.  (0) 2017.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