德崇禪學 3집 學術 모임에 즈음하여 德崇禪學 學術 모임에 즈음하여 한국불교선학연구원장 박 선 영 현대는 역사상 인류의 문명사적 전환기라고 합니다. 한편에서는 정보화 사회를 논하는가 하면, 이러한 정보화사회에서는 국경이나 정부의 역할 내지 기능이 본질적으로 축소되며, 거리와 공간 그리고 시간, 내지 지식이나 기술은 물론..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제3집 차례 德崇禪學 제3집 차례 인사말씀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이사장 법장) 德崇禪學 學術 모임에 즈음하여 (한국불교선학연구원장 박 선 영) 만공과 한국선 제1주제 발표:만공의 불교사적 위치 김종명(동국대) 제2주제 발표:만 공의 선사상 효 탄(동국대) 제3주제 발표:만공선사와 독립운동 이재헌(강남대..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5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연구위원 2-5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연구위원 韓國佛敎禪學硏究院 硏究委員 1. 禪思想 강 건 기(전북대학교) 고 영 섭(동국대학교) 권 기 종(동국대학교) 길 희 성(서강대학교) 김 영 욱(고려대학교) 김 용 표(동국대학교) 김 지 견(전 정신문화연구원) 김 호 성(동국대학교) 목 정 배..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4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조직 2-4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조직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조직 ∙증 명:원 담 ∙수 좌:설 정 ∙유 나:우 송 ∙이 사 장:법 장 ∙이 사:법 장, 법 안, 법 현, 법 광, 현 광, 법 용, 월 송, 자 인, 박선영, 서준거사, ∙감 사:응 관, 지 운 &#8729..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3 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연혁 2-3 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연혁 연 혁 ∙1997 덕숭총림 수덕사 주지 법장스님을 중심으로 경허․만공선사의 가풍을 계승하고 선의 대중화․생활화․세계화를 선양하고자 뜻을 함께하는 스님들과 불자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모임을 갖고 무불선원․한국불교선학..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2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회칙 2-2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회칙 韓國佛敎禪學硏究院 會則 第1條 (名稱)本院은 韓國佛敎禪學硏究院이라 칭한다. 第2條 (所在)本院은 韓國禪의 根本道場인 德崇叢林 修德寺內에 두고 국내외에 分院을 둘 수 있다. 第3條 (目的)本院은 佛祖의 慧命을 계승하고 근대 韓國禪佛敎의 중흥조인 鏡虛&#125..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1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설립취지문 2-1부록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설립취지문 불기 2543(1999)년 1월 덕숭총림 수덕사 부설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이사장 金 法 長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후 2500여 년 동안 佛敎는 인류에게 人生과 宇宙, 人間과 歷史 및 인류 보편의 근원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밝은 해답을 제시해 주었으며, 이 땅에 부..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집 제5주제 논평:「만공의 선세계와 미래문명의 비전」에 대한 논평 2집 제5주제 논평:&#65378;만공의 선세계와 미래문명의 비전&#65379;에 대한 논평 권기종(동국대학교 교수) <滿空의 禪世界와 미래문명의 비전>이란 이은윤 원장의 논문을 논평하기 전에 두 가지 변명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첫째, 본인은 남의 논문에 대해 논평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2-5 제5주제:滿空의 禪世界와 미래문명의 비전 德崇禪學 2-5 제5주제:滿空의 禪世界와 미래문명의 비전 이은윤(한국불교선학연구원 원장) Ⅰ. 서 언 만공월면선사(1871~1946)는 현대 한국 불교의 우뚝한 禪匠이다. 그의 선장 다운 진면목은 祖師禪林의 각 가풍을 폭넓게 傳燈하고 있는 광활한 禪旨와 살활 자재한 大機大用의 喝로써 日帝 미나미총..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2집 제4주제 논평:눈 먼 방석불교와 다리 저는 책상불교를 넘어서 2집 제4주제 논평:눈 먼 방석불교와 다리 저는 책상불교를 넘어서 고영섭(동국대학교 강사) 한 사람의 삶과 생각을 한 편의 논문으로 다 담아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선법’이라는 역사와 초역사의 긴장과 탄력 위에서 펼쳐진 한 인간의 살림살이를 언어 문자로 표현해내는 것은 지극..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