德崇禪學 4-7 제7주제 발표; 知訥 ‘마음철학’에 대한 硏究 德崇禪學 4-7 제7주제 발표; 知訥 ‘마음철학’에 대한 硏究 이덕진 (고려대학교) Ⅰ. 들어가는 말 일반적으로 原始佛敎에서 붓다가 ‘마음’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후대의 大乘佛敎에서처럼 ‘마음’을 거의 絶對者와 버금가는 것으로, 그러한 설명 방식이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간에, 설명하였다고 ..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4-6 제6주제 발표; 선학과 논증 德崇禪學 4-6 제6주제 발표; 선학과 논증 박영록 (충주대학교) I. 머리말 화두 해설은 ‘禪’에서 異端에 속하지만 화두 해설은 일종의 풍조가 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화두를 해설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黑白의 논쟁이 아니라 그 발생 원인, 기존 화두 해설들의 방법론, 화두 해설의 일정한 필요성 및..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4-5 제5주제 발표; [黙照銘] 考察 德崇禪學 4-5 제5주제 발표; [黙照銘] 考察 김호귀 9 (동국대학교) 1. 서 언 당대에 본격적으로 형성된 선종은 唐 五代 宋을 거치면서 가장 세력있는 불교 종파로 등장하였다. 특히 송대에는 소위 5가 7종으로 대변되는 많은 종파와 걸출한 인물이 출현하여 선종의 진면목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4-4 제4주제 발표; 道生의 頓悟成佛論 批判 德崇禪學 4-4 제4주제 발표; 道生의 頓悟成佛論 批判 차차석 (동국대학교) 1. 緖 言 道生(372-434)은 위진 시기의 대표적 불교사상가 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처음 여산혜원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그러나 구마라집이 장안에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가 그의 문하에서 공부를 했으며, 僧肇와 더불어 구마..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4-3 제3주제 발표; 六祖慧能大師의 蘇軾에 대한 영향 德崇禪學 4-3 제3주제 발표; 六祖慧能大師의 蘇軾에 대한 영향 송인성 (고려대학교) 1. 머리말 여기에서는 唐宋 禪宗 語錄의 言語 특징을 간략히 소개하고 또한 본문의 연구 범위. 목적 등을 제시하기로 한다. 禪宗은 “不立文字”를 표방하였으나, 장기간의 발전 과정 중에 의외로 적지 않은 文獻 예를 ..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4-2 제2주제 발표; 六祖慧能大師의 蘇軾에 대한 영향 德崇禪學 4-2 제2주제 발표; 六祖慧能大師의 蘇軾에 대한 영향 박영환 (동국대) Ⅰ. 서 론 六祖慧能(638-713)의 俗姓은 盧씨이며, 본적은 河北范陽(지금의 河北꟔縣)이다. 그는 中國禪宗史에 있어서 가장 기념비적인 인물로 만약 그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선종도 없었다고 할 정도로 선종사상 가장 ..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4-1 제1주제 발표; 馬祖禪의 心性論 연구 德崇禪學 4-1 제1주제 발표; 馬祖禪의 心性論 연구 김태완 (부산대) 1. 서 론 오늘날 우리나라 불교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조사선(祖師禪)이며, 이 조사선을 행하는 종파를 선종(禪宗)이라고 한다. 조사선은 흔히 인도의 28대 조사이자 중국의 제1대 조사인 보리달마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해온 것..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제4집 인사말씀 德崇禪學 제4집 인사말씀 불기 2546(2002)년 4월 13일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이사장 덕숭총림 수덕사 주 지 법장 오늘 대덕스님들과 저명하신 석학 여러분을 모시고 제4회 韓國禪學 學術會議를 동국대학교 학술문화관 덕암세미나실에서 개최하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고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뜻 깊은 자리..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德崇禪學 제4집 차례 德崇禪學 제4집 차례 ▷ 차 례 ◁ ■ 인사말씀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이사장 법 장 ∙한국불교선학연구원 원 장 박선영 ■ 제1부 (오전 9시 30분) 사회 : 김 상 영(중앙승가대 교수) ∙제 1주제 : 馬祖禪의 心性論 연구 / 김태완 ∙제 2주제 : 六祖慧能大師의 蘇軾에 대한 영향 / 박..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
3집 제5주제 논평:만공이 현대 한국선에 미친 영향 3집 제5주제 논평:만공이 현대 한국선에 미친 영향 김태완(부산대) 우선 이런 좋은 논문을 통하여 만공 스님의 선법(禪法)을 자세히 소개해 주신 이덕진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더구나 선행 연구가 일천하고 자료도 극히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만한 논문을 만들어내신 노고가 새삼 짐작이 .. 불교이야기/인곡당(법장스님) 200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