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 1. 懷耽守護恩(회탐수호은) 나를 잉태하시고 지켜 주신 은혜 여러 겁을 내려오며 인연이 중하여서 어머니의 태를 빌어 금생에 태어날 때 날이 가고 달이 져서 오장이 생겨나고 일곱 달에 접어드니 육정이 열렸어라 한몸이 무겁기는 산악과 한가지요 가나오나 서고 안고 바람결..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7.01.06
[스크랩] 부처의 눈으로 부처를 보라 부처의 눈으로 부처를 보라. 촛불을 보면서 어둠을 밝히는 빛은 보지 못하고 초의 모양과 색깔에 집착하는 것이 바로 우리들 중생의 마음입니다. 초는 여러 가지 모양을 갖고 있습니다.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고, 둥근 것도 있고, 네모난 것도 있습니다. 굵은 것도 있고, 가는 것도 있고, 빨간 색도 ..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2.11
저승세계의 상상 [저승문답] 저승 세계의 생활 모습 이 글은 1945년경 중국의 유명한 재판관인 여주선생이 구술하고 임유양이 기록한 것으로, 여주선생이 실제 살아서 저승에 가서 명부 재판관을 지냈다는 믿기 어려운 실화입니다. -원제 : 유명문답록(幽冥問答錄)- ⊙ 저승에서는 어떻게 이승 사람을 써서 저승으로 데려..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2.07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대자대비를 근본 서원으로 하는 보살의 명호. '관음'은 산스크리트어 아발로키테슈바라(Avalokitesvara)를 번역한 말로 관세음(觀世音). 관자재(觀自在)라고도 번역하며 무량수경에 의하면 이 보살은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의 왼쪽 보처..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2.07
부처님 향기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부처님 향기 부처란 그 이름 더없이 좋은 향기 세상 만사 내 인생을 향기 속에 묻어 놓고 성불이란 귀걸이에 허영 속을 헤매면서 바람위에 촛불 놓고 오락 가락하는구나. 본대로 느낀대로 정말로 좋은 거야 영원한 빛 그대로가 부처님의 그마음 선이란 좋..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2.01
인연이 모이는 때 인연이 모이는 때 스스로 지은 업 저절로 없어지지 않아 ‘인연시절’ 살피는 여유와 지혜 필요 ‘인(因)’은 원인, 그리고 ‘연(緣)’은 조건을 말한다. 이 세상만사는 원인과 조건이 결합하여, 즉 인연이 모여 이루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인연은 시도 때도 없이 모이는 것은 아니다. 그..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1.26
달마도 달마도의 힘을 빌어 봅니다. 氣 달마도 (황인창) 은행나무 침대 THEME 김영국의 달마도. ..end. 여기까지는 정상적인 달마도. ( 밑에는 상태 안좋은 달마도. ) 뷁 달마도. 울트라 달마도.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1.23
덕 숭 산 덕 숭 산 수덕사가 있는 산 산림청선정 100대 명산중 하나 높이 495 m 위치 충남 예산군 덕산면 소개 특징 ♣ 덕산도립공원은 덕산면의 시량리, 사천리, 둔리, 상가리, 광천리 등을 포함하여 1973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덕숭산은 충남 예산군 덕산면에 위치한 명산으로, 백제 때의 명사찰인 수덕사..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1.17
부모 은중경 부모 은중경 낳으시고 기르신 은혜 첫째는, 아기를 배어서 수호해 주신 은혜 둘째는, 해산에 임하여 고통을 받으신 은혜 셋째는, 자식을 낳고서 근심을 잊으신 은혜 넷째는, 입에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이면 뱉어서 먹이시던 은혜 다섯째, 마른 자리는 아기에게 돌리시고 스스로는 젖은 자리로 나아가신..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1.11
연기법(緣起法) 이란? 연기법(緣起法)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此有故彼有)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此起故彼起)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고 (此無故彼無) 이것이 사라짐으로 저것이 사라진다. (此滅故彼滅) <잡아함> 연기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pratitya-samutpada`를 번역한 것이다.‘pratitya’는 ‘… 때..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0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