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개와 고양이 구슬 다툼

淸潭 2024. 12. 13. 17:45

개와 고양이 구슬 다툼

 

가난한 어부가 어렵게 생계를 잇고 있었다. 어느 날 물고기를 잡으러 갔으나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겨우 큰 잉어 한 마리를 잡았지만, 잉어가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보고는 놓아주었다. 다음 날 어부가 바닷가에 가니, 한 소년이 나타나 절을 하면서 자신은 전날 구해 준 은혜를 입었던 잉어로, 용왕의 아들이라고 하였다. 소년은 은혜에 감사하면서, 어부를 용궁으로 초대하였다. 어부는 용왕의 대접을 받고 보배 구슬을 얻어 큰 부자가 되었다. 소식을 들은 이웃 마을 노파가 찾아와서, 다른 구슬과 바꿔치기하여 보배 구슬을 가져갔다. 그 후 어부의 집은 다시 가난해졌다. 어부가 기르던 개와 고양이는 은혜를 갚으려고 노파의 집에 찾아가서, 그 집에 사는 쥐를 위협해 구슬을 되찾았다. 돌아오면서 강을 건널 때 개는 헤엄을 치고 고양이는 개에 업혀 구슬을 물고 있었는데, 개가 구슬을 잘 간수하고 있느냐고 자꾸 묻자, 고양이는 대답하다가 구슬을 물에 빠뜨린다. 이 일로 서로 다투다 개는 먼저 집으로 가고, 고양이는 강에서 물고기를 잡아 먹다가 그 속에서 구슬을 찾아 주인에게 돌아갔다. 주인이 고양이를 우대하고 개를 박대하여 그 뒤로 둘의 사이가 나빠지게 되었다.

이 설화는 어부가 잉어를 살려 주고 구슬을 얻는 과정과, 구슬을 잃어버리는 과정, 그리고 구슬을 다시 되찾게 되는 과정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특히 첫째 과정인 ‘구슬 획득’ 부분은 ‘잉어(용왕 아들)에게 보은의 선물을 받는다’는 내용의 설화가 결합하고 있는데, 이 유형은 대개 <방이득보(放鯉得寶)>로 불린다. 또한 <꿩과 이시미> 유형이 결합되어 ‘부자가 된 부부의 구슬을 친구가 찾아와 빌려 가나 돌려주지 않는다’는 구슬 분실 과정이 전개되는 예도 있다. 각편에 따라 <방이득보>가 결합된 것에는 구슬 외에 여의주나 연적이, <꿩과 이시미>에는 네모 또는 세모난 구슬, 연적 등이 등장한다. 또 구슬을 훔치는 사람으로 방물장수, 친구가 나오며, 구슬을 빌려 갔다가 돌려주지 않기도 한다. 결말에 개와 고양이 사이가 나빠진 유래를 생략한 각편도 있다.

잉어, 개와 고양이 같은 동물의 보은은 사람이 먼저 동물을 살려 주거나, 길러 주는 일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리고 보은의 대가로 얻은 보물 덕분에 부자가 된다. 이처럼 <방이득보>가 결합된 설화는 인간의 선행과 그에 따른 동물의 보은으로 인간의 고난이 해결된 것이다. <꿩과 이시미>가 결합된 설화를 보면, 보물의 획득은 신부의 지혜 덕에 가능했는데, 이 유형은 인간의 지혜로 운명을 주체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방이득보>가 결합된 각편들이 <꿩과 이시미>가 결합된 각편들보다 선행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잉어가 목숨을 살려준 대가로 용궁의 보물을 주고, 개와 고양이가 주인의 은혜를 갚으려고 보물을 되찾아 온다는 점에서 ‘동물보은담’의 성격을 지닌다. 또한 개와 고양이가 사이가 나빠진 유래를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동물유래담’의 성격도 지닌다.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1-6, 636; 1-7, 292; 2-7, 243; 4-3, 491.

.............................................................................

견묘쟁주형 설화의 유형결합양상과 그 의미(강진옥, 한국문화연구논총5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7),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47).

'글,문학 > 野談,傳說,說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龜旨歌  (1) 2024.12.28
온달전(溫達傳)  (0) 2024.12.27
기사 와사 (起死 臥死)  (1) 2024.12.10
개가해서 유복자 키운 열녀  (0) 2024.12.03
列女傳補注 (宋나라 鮑蘇의 아내) 女宗  (0) 202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