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說話] 원효불기설화

淸潭 2015. 10. 26. 10:21

원효불기설화

 

 삼국유사 권4 원효불기(元曉不羈)에 실려 있는 설화. 신라 십성(十聖)의 한 사람인 원효가 도인으로서 도달했던 매이지 않는 높은 경지에 관한 설화이다. 삼국유사행장 行狀〉·〈당승전 唐僧傳〉·〈향전 鄕傳 등을 인용하여 원효의 설화 7편을 소개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효의 어머니가 원효를 잉태하여 만삭이 되었을 때 불지촌(佛地村) 북쪽 율곡(栗谷)의 밤나무 아래를 지나다가 홀연 산기를 일으켜 남편의 옷을 나무에 걸고 그 안에 자리를 마련하여 해산하였다. 그래서 그 밤나무를 사라수(裟羅樹)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나무의 열매가 보통과 달랐으므로 사라밤裟羅栗〕’
이라 불렀다.
옛날 절을 주관하는 이가 절의 종 한 사람에게 하룻저녁에 밤 두 개씩을 끼니로 주었는데, 이에 종이 불만을 품고 관가에 송사하였다. 관가에서 그 밤을 가져다가 살펴보았더니, 한 개가 바리 하나에 가득 찼다.
이를 보고 관리는 도리어 종 한 사람에게 밤 한 개씩만을 주도록 판결을 내렸다. 그 밤나무가 있는 골짜기를 율곡이라 부르게 되었다.
원효의 어머니가 일찍이 유성(流星
)이 품안에 들어오는 꿈을 꾸고 원효를 잉태하였다. 해산할 때가 되자 오색 구름이 땅을 덮었다. 원효는 천성이 남달리 총명하여 스승 없이 스스로 학문을 깨쳤다.
어느 날 원효가 미친 듯이 거리에서 노래를 불렀다.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주랴? 하늘 받칠 기둥감을 내 찍으련다(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 태종무열왕이 이 노래를 듣고 대사께서 귀부인을 만나 어진 자식을 낳고 싶어하신다. 나라에 어진 이가 있게 된다면 그보다 더 큰 유익이 없다.
고 말하고 궁리(宮吏)를 보내어 원효를 데려오게 하였다. 궁리가 원효를 찾으니 때마침 문천교(蚊川橋)를 지나고 있었다.
원효가 일부러 물 가운데 떨어져 옷을 적시니 요석궁(瑤石宮)으로 인도하여 옷을 벗어 말리게 하였다. 요석궁에는 과부가 된 공주가 거처하고 있었다. 원효가 요석궁에 머무르게 된 뒤, 공주는 잉태하여
설총(薛聰
)을 낳았다. 설총은 나면서부터 총명하여 경서와 역사책을 널리 통달하였다. 그는 신라 십현(十賢)의 한 사람으로 꼽혔다.
원효는 파계하여 설총을 낳은 뒤로는 세속의 복장으로 갈아입고, 소성거사(小姓居士)라 이름하였다. 광대가 춤추며 노는 큰 표주박을 우연히 얻어서 도구로 삼고 이름하여 무애(無)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화엄경
의 게구(偈句)에서 따온 이름이다.
원효는 무애를 가지고
무애가
를 부르며, 천촌만락(千村萬落)을 노래하고 춤추면서 교화음영(敎化吟詠)하고 다녔다. 이에 가난하고 몽매한 무리들까지 모두 부처의 이름을 알고 염불 한마디는 다 하게끔 되었으니, 원효가 끼친 교화는 참으로 컸다.
원효는 바닷룡의 권유에 따라 노상(路上)에서 조서(詔書)를 받고 금강삼매경소 金剛三昧經疏를 소의 두 뿔 위에 놓고 썼다. 이것을 각승(角乘)
이라고 불렀는데 본각(本覺)과 시각(始覺), 두 가지 깨달음의 미묘한 뜻을 나타내고 있다.
원효가 입적하자 아들 설총은 그 유해를 부수어 진용(眞容)을 빚어 분황사(芬皇寺
)에 안치하였다. 설총이 절을 하니 원효 상이 문득 돌아보았다. 소상은 그 이후 돌아보던 그대로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글,문학 > 野談,傳說,說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徐羅伐의 傳說   (0) 2015.10.27
[說話] 원효대사  (0) 2015.10.27
[說話] 유이태설화  (0) 2015.10.26
[說話] 은도끼 금도끼  (0) 2015.10.25
[說話] 은혜 모르는 인간  (0) 2015.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