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인물초대석

독도연구보존協 이사 / 한송본

淸潭 2010. 2. 1. 15:49

[초대석]한송본 독도연구보존協 이사




스스로를 ‘독도에 미친 사람’이라 부르는 한송본 씨는 “독도를 개발해 실효적 지배를 확실히 해야만 독도 문제가 해결된다”고 강조했다. 신원건 기자

《“독도다, 과거사다 문제가 생길 때마다 일본에 큰소리만 치지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하나도 달라지지 않는 것입니다.” 한송본(韓松本·63) 독도연구보존협회 이사는 한일 양국 간 갈등과 관련해 목청만 높일 게 아니라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년 전부터 ‘독도개발특별법’의 제정을 요구하고 있는 민간인 ‘독도전문가’.》

그는 자신을 만나러 간 기자에게 대뜸 한 국내 타블로이드판 무료 신문의 1면을 보여주며 “이게 언제 신문으로 보이느냐”고 물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사진과 함께 ‘고이즈미, 말조심하시오’라는 큼지막한 헤드라인을 단 기사였다.

기자는 “일본은 과거의 진실을 규명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배상할 일이 있으면 배상해야 한다”고 한 노 대통령의 올 3·1절 기념사가 떠올랐다.

하지만 그 신문은 올해가 아닌 지난해 3월 2일자였다. 지난해에도 노 대통령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를 향해 “한국민에게 상처를 주는 발언은 안 된다”고 지적했던 것.

독도 접안시설 보강공사 모습. 1997년 건설된 접안시설은 일부 구간에 균열이 생겨 2002년 5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보강공사를 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한 대표가 말하는 독도 문제의 근본 대책의 하나는 바로 독도 개발이다. 독도를 개발해 어민이 상주하면서 조업할 수 있고 관광객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을 때, 즉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확실히 할 때만 독도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지금은 시설이 미비해 일반인은 독도에 가고 싶어도 못 간다”며 “접안시설을 확충하고, 동도와 서도 사이의 다리를 포함해 해안관광도로를 건설해 사람들이 편하게 찾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시설을 10여 년에 걸쳐 조금씩 건설해 가자는 게 그의 제언이다.

“이를테면, 일본이 과거사나 독도 문제에 대해 망언을 할 때마다 50m씩 도로를 건설해 나가는 겁니다. 일본이 논란을 야기할수록 독도에 대한 우리의 실리(實利)는 점점 확고해지는 거죠. 그렇게 한 10년이 지나 기본시설이 완성되면 어민과 관광객이 밀려들어 독도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될 겁니다.”

그러나 얼마 전 경찰청장이 독도를 방문하겠다고 했다가 외교통상부의 반대로 못 갔던 일이 있었다.

“정부의 입장이 껄끄럽다면 묵인만 해주면 됩니다. 독도 개발은 경제성이 있기 때문에 민간자본으로도 얼마든지 추진이 가능합니다. 일본을 보세요. 시마네(島根) 현이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을 정한 데 대해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서 하는 걸 어쩌란 말이냐’는 논리로 책임을 피하지 않습니까. 우리의 독도 개발도 마찬가지 논리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겁니다.”

국회가 ‘독도개발특별법’에 대해 미온적이고, 환경단체들이 독도 개발을 반대하는 데 대해서도 그는 할 말이 많다고 했다.

“16대 국회에서 특별법이 발의됐으나 처리되지 못했습니다. 의원들이 정쟁에 몰두하느라 정작 중요한 일을 놓쳐버린 것이죠. 개탄할 일입니다. 환경단체와 환경부 등이 반대하는 것도 논리적으로는 맞습니다. 독도의 자연생태를 보전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것입니다. 영토를 확고히 한 다음에 보전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의 본래 직업은 발명가다. 42년간 발명을 하며 해양구조물 및 환경 관련 특허를 여러 개 받았다. 그러던 그가 독도를 포함한 해양 및 도서 개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92년 근해에 인공어초를 투입하는 회사와 관계를 맺으면서부터.

“우리의 해양생태와 지형에 대한 연구가 안 돼 있다 보니 인공어초조차도 일본 것을 들여오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더군요. 자존심이 상했습니다. 그때부터 해양생태와 해양법 등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1996년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이케다 망언’이 터졌고, 이에 항의하는 일을 하다가 독도 개발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이죠.”

그는 독도 개발에 앞서 정부가 시급하게 해야 할 일을 몇 가지 제시했다.

1953년 6·25전쟁 종전을 앞두고 일본이 독도를 차지하려 하자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해 독도를 지켜낸 홍순칠 대장(1929∼1986)을 비롯한 수비대원들의 명예회복이다. 이들은 당시 일본과 30여 차례 전투를 치르며 독도를 사수했다. 이들에게 확실한 보상을 하고 울릉도에 있는 독도박물관에 이들을 위한 기념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첫째다.

둘째는 유일한 독도 주민인 김성도 씨를 독도의 어민숙소 관리자로 정식 선임해 정부 차원의 관리를 하는 것이고, 셋째는 훼손된 독도 표석을 다시 세우는 일이다.

그는 “노무현 정부는 이런 일을 할 수 있다고 본다”며 독도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거듭 주문했다.

“일본에 대해 ‘배상하라’는 얘기까지 과감하게 하지 않았습니까. 이제 말뿐 아니라 행동도 과감하게 한다면 위업이 역사에 기록될 겁니다.”

윤승모 기자 ysmo@donga.com

정재윤 기자 jaeyuna@donga.com

▼한송본 이사는▼

△1942년 함북 명천 출생

△42년간 발명가로 활동

△해양구조물 및 환경 터널 관련 발명 특허 다수

△1980년∼현재 아이디어개발연구소 대표

△1997년∼현재 독도연구보존협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