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見은 부처님이 보는 세상 正見은 부처님이 보는 세상 [크게][작게] 실상사 화엄학림 학장 재 연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11월 15일 화요일] 분석과 객관의 눈으로 꿰뚫어 보며 생생히 깨어서 열반 향한 선업 지어야 <사진설명>이 법문은 11월6일 홍법사에서 열린 '대중논강'에서 재연 스님이 '팔정도'를 주제로 한 내용을 요약 ..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내 스스로 존귀한 사람이니... 내 스스로 존귀한 사람이니 나에서 출발해 나로 회향해야 [크게][작게] 전 해인사 승가대 학감 오 성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11월 07일 월요일] 코끼리 발자국이 모든 짐승들의 발자국을 덮어버리듯이 부처님의 가르침은 사성제로 귀결. 이른 봄 찬 바람에 새 순 다치게 하지 않으려 죽어서도 서 있는 갈..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금강경 말뚝 삼아 번뇌-망상 조복 받으라 금강경 말뚝 삼아 번뇌-망상 조복 받으라 [크게][작게] 언양 화장사 주지 덕 도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11월 01일 화요일] 금강경은 한 구절 한 구절이 모두 부처님의 마음이자 깨달음의 말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한 구절이라도 확실히 깨우치면 다 부처님의 경지에 이를 수 있습니다. 혹자는 금..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三處傳心 확연히 꿰뚫어야 무애자재한 대 선지식 三處傳心 확연히 꿰뚫어야 무애자재한 대 선지식 [크게][작게] 통도사 취운선원장 약 산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10월 24일 월요일] “주장자를 이렇게 들어 보이는 도리에서 깨달으면 인간의 스승이 될 것이고, 주장자를 이렇게 내려놓는 도리를 알면 부처님과 모든 조사 스님들의 스승이 될 것입니다. ..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지장보살 부르지 않아도 희망이..... 영명사 지장산림 대법회 신라문화원 이사장 진 철 스님 [크게][작게] 지장보살 부르지 않아도 희망이 용솟음칠 때까지 정진하고 정진해야 기사등록일 [2005년 10월 17일 월요일] 정토에 왕생하고 싶다는 생각은 참으로 많이 하지만 노력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지장경에 등장하는 마야부인..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한 번의 지극정성 칭명 생사 끊고 해탈할 수 있어 한 번의 지극정성 칭명 생사 끊고 해탈할 수 있어 [크게][작게] 영명사 지장산림 대법회 중앙승가대 총장 종 범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10월 10일 월요일] 지장보살의 대원 첫째는 중생들을 모두 제도하고 난후 깨딜음을 이루겠다는 것이며 둘째는 지옥이 텅 비지 않으면 결코 성불하지 않겟다는 것. ‘..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당당하게 깨달음의 길을 걸어라 [크게][작게] 영명사 지장산림 대법회 제주 약천사 회주 혜 인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10월 04일 화요일] 입적하신 법장 총무원장 스님이 영명사 기도입재 법문을 설하기로 예정 됐었는데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도량에 들어서며 법장 원장 ..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불교는 나-여기-지금의 종교 “불교는 나-여기-지금의 종교” [크게][작게] 보림회 회장 성 상 현 법사 기사등록일 [2005년 09월 26일 월요일] <사진설명>성상현 법사는 욕조단경에서 혜능 스님을 국사로 모시려 하는 장면을 설명하며 “참선을 해야만 선정에 든다는 고정관념이 병을 일으킨다”고 강조했다. 사진=권오영 기자 오..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맑고 고요한 마음에 계정혜 있으니 ..... 맑고 고요한 마음에 계정혜 있으니 중생의 마음에서 불심을 찾아라 [크게][작게] 범어사 선덕 대 정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09월 20일 화요일] <사진설명>범어사 선덕 대정 스님은 “미혹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진정한 마음의 빛을 볼 수 없다”며 “인욕과 정진을 통해 불성을 드러내야 한다”고 ..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
집중-고요함을 도반 삼아 불보살의 삶을 향유해야 집중-고요함을 도반 삼아 불보살의 삶을 향유해야 [크게][작게] 조계사 주지 원 담 스님 기사등록일 [2005년 09월 13일 화요일] 선이란 사유하는 것 선(禪)이란 팔리어 자나의 음역어로, 완전한 음사인 선나(禪那)의 준말입니다. 산스크리트의 디야나는 타연나(馱衍那)로 음역합니다. 이를 정려(靜慮), 사유.. 불교이야기/명법문 명강의 2007.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