鵬程萬里(붕정만리) 鵬程萬里(붕정만리) 이 말은 장자(莊子) '逍遙遊篇' 첫머리에 나오는 에피소드에서 나온 것이다. 莊子(장자)는 허무맹랑한 말을 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하도 허풍이 세서 도무지 종잡을 수가 없다.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하면 「차원이 다르다」고 일축해 버린다. 마치 하루살이에게 내..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7
燈火可親(등화가친) 燈火可親(등화가친) '등화가친(燈火可親)'은 한유(韓愈)가 아들의 독서를 권장하기 위해 지은 시 《부독서성남(符讀書城南)》 중의 한 구절이다. 흔히 '등화가친의 계절'이라고 쓰고 가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가을이 날씨가 서늘하고 하늘이 맑으며, 수확이 풍성해 마음이 안정되어 ..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7
穀擊肩摩(곡격견마) 穀擊肩摩(곡격견마) 전국시대에는 각 나라마다 부국강병에 힘썼다. 그 결과 고대 중국의 도시 번영은 이때가 정점이 되었다. 그중에서도 제나라 도읍인 임치의 번영은 대단한 것이었다고 한다. 소진의 설명을 빌리자면 임치의 성안의 가호수는 7만이었다고 하니 그 안에서 살고있었던 인..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6
단 장(斷 腸) 단 장(斷 腸) 진나라의 환온이 촉땅을 정벌하기 위해 여러 척의 배에 군사를 나누어 싣고 양자강 중류의 협곡인 삼협을 통과할 때 있었던 일이다. 환온의 부하 하나가 원숭이 새끼 한 마리를 붙잡아서 배에 실었다. 어미 원숭이가 뒤따라 왔으나 물 때문에 배에는 오르지 못하고 강가에서 ..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6
장야지음(長夜之飮) 장야지음(長夜之飮) 은나라 마지막 군주인 주왕(탕왕으로부터 28대째)의 마음을 사로잡은 '달기'는 주왕이 정벌한 오랑캐의 유소씨국(有蘇氏國)에서 공물로 보내온 희대의 독부였다. 주왕은 그녀의 끝없는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가렴주구를 일삼았다.그래서 창고에는 백성들로부터 수..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5
靑雲之志(청운지지) 靑雲之志(청운지지) 唐(당)나라 초기의 시인 王勃(왕발)의 藤王閣詩序(등왕각시서)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곤궁한 때에는 더욱 더 뜻을 굳게 가져 청운의 뜻을 버리지 않는다(窮且益堅 不墜靑雲之志·궁차익견 불추청운지지)" 여기서 靑雲之志는 입신 출세하려는 야망을 뜻한다. 같은 당..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5
불초(不肖) 불초(不肖) “요(堯) 임금의 아들 단주는 불초하고, 순(舜) 임금의 아들 역시 불초하며, 순 임금이 요 임금을 도운 것과 우 임금이 순 임금을 도운 것은 오래되었으며, 요와 순 임금이 백성들에게 오랫동안 은혜를 베푸셨다. 불초는 부모를 닮지 않았다는 뜻인데, 요 임금과 순 임금이 각각 ..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4
季布一諾(계포일락) 季布一諾(계포일락) 초(楚)나라 사람 ‘계포(季布)’는 젊었을 때부터 의협심(義俠心)이 강한 사나이로 한번 '좋다'라고 약속한 이상 그 약속은 반드시 지키는 사람이었다. 서초(西楚)의 패왕 항우가 한(漢)나라의 장수로서 몇 번이나 유방을 괴롭혔으나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게 되자 천금..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4
伯兪泣杖(백유읍장) 伯兪泣杖(백유읍장) 漢(한)나라 때, 韓伯兪(한백유)는 효성이 매우 지극하여, 어머니에게 종아리를 맞고도 아프다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한 번은 백유가 나이 들어서 어머니로부터 종아리를 맞게 되었는데, 매를 맞고 매우 슬피 우는 것이었다. 전에는 그 어머니에게 매를 맞아도 우는 ..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3
多岐亡羊(다기망양) 多岐亡羊(다기망양) 전국시대의 사상가로 극단적인 개인주의를 주장했던 양자[楊子:이름은 주(朱)]의 옆집에서 양 한 마리가 도망쳤다. 그래서 옆집 사람들은 물론이고 양자의 집 하인들까지 모두 동원해서 양을 찾으러 나섰다. 그것을 보고 양자가 물었다. "양 한 마리 찾는데 왜 그리 많..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