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야지음(長夜之飮)
은나라 마지막 군주인 주왕(탕왕으로부터 28대째)의 마음을 사로잡은 '달기'는 주왕이 정벌한 오랑캐의 유소씨국(有蘇氏國)에서 공물로 보내온 희대의 독부였다.
주왕은 그녀의 끝없는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가렴주구를 일삼았다.그래서 창고에는 백성들로부터 수탈한 전백(錢帛)과 곡식이 산처럼 쌓였고, 국내의 온갖 진수기물(珍獸奇物)은 속속 궁중으로 징발되었다.또 국력을 기울여 호화찬란한 궁정을 짓고 미주와 포육으로 '주지육림'을 만들었다.
그 못 둘레에서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젊은 남녀의 한 무리가 음란한 북리무악(北里舞樂)에 맞추어 광란의 춤을 추면 주왕의 가슴에 안긴 달기는 몰아(沒我)의 황홀경에서 음탕한 미소를 짓곤 했다.
때로는 낮에도 장막을 드리운 방에서 촛불을 밝히고 벌이는 광연(狂宴)이 주야장천(晝夜長川) 120일간이나 계속되기도 했는데 은나라 사람들은 이를 장야지음(長夜之飮)이라 일컬었다.
이같이 상궤(常軌)를 벗어난 광태(狂態)를 보다못해 충신들이 간하면 주왕은 도리어 그들을 제왕의 행동을 비방하는 불충자로 몰아 가차없이 포락지형(暑烙之刑)에 처하곤 했다.
포락지형이란 기름칠한 구리 기둥[銅柱]을 숯불 위에 걸쳐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는 일종의 잔인무도한 사형방법인데, 미끄러운 구리 기둥에서 숯불 속으로 떨어져 타 죽은 희생자들의 아비규환(阿鼻叫喚)의 모습까지도 잔인한 달기의 음욕(淫慾)을 돋우는 재료가 되었다. 이렇듯 폭군 음주로 악명을 떨치던 주왕도 결국 걸왕의 전철을 밟아 주(周)나라 시조인 무왕(武王)에게 멸망하고 말았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穀擊肩摩(곡격견마) (0) | 2013.06.06 |
---|---|
단 장(斷 腸) (0) | 2013.06.06 |
靑雲之志(청운지지) (0) | 2013.06.05 |
불초(不肖) (0) | 2013.06.04 |
季布一諾(계포일락) (0)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