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롱중물(藥籠中物) 약롱중물(藥籠中物) 당나라 3대 황제인 고종(高宗:628∼683)의 황후였던 즉천무후(則天武后)때의 이야기이다. 14세 때 2대 황제인 태종(太宗)의 후궁이 된 그녀(무후)는 26세 때 태종이 죽자 여승이 되었으나 재색(才色)을 탐낸 고종의 명예 따라 환속(還俗), 그의 후궁으로 있다가 고종 6년(655).. 글,문학/故事成語 2013.06.20
포호빙하(暴虎馮河) 포호빙하(暴虎馮河) 공자의 3,000여 제자 중 특히 안회(顔回)는 학재(學才)가 뛰어나고 덕행이 높아 공자가 가장 아끼던 제자라고 한다. 그는 가난하고 불우했지만 이를 전혀 괴로워하지 않았으며 또한 32세의 젊은 나이로 죽을 때까지 노하거나 실수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 안회..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9
신출귀몰( 神出鬼沒 ) 신출귀몰( 神出鬼沒 ) //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엮은《회남자(淮南子)》'병략훈(兵 略訓)'은 도가 사상(道家思想)을 기본 이론으로 한 전략론(戰略論)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아군의 계략과 진(陣)치는 일과 군대의 세력과 병기가 겉으로 보아서 적군이 대..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8
금상첨화(錦上添花) 금상첨화(錦上添花) 왕안석(王安石-1021∼1086)은 북송(北宋) 중기의 군사비 팽창에 의한 경제적 파탄을 구하려고, 획기적인 신법(新法)을 실시한 정치사상 귀재(鬼才)일 뿐 아니라, 宋代의 시풍(詩 風)을 대표하는 시인(詩人)이기도 하다. 다음의 시는 필시 그가 만년에 南京에서 은둔생활을..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8
兎死狗烹(토사구팽) 兎死狗烹(토사구팽) 근자에 '패왕별희(覇王別姬)'라는 영화로 인해 중국의 전통 가극(歌劇)인 경극(京劇)을 간접적으로 접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 영화의 배경이야기인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와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싸움을 그린 《초한지(楚漢志)》역시 인구(人口)에 회자(膾..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6
截髮易酒(절발역주) 截髮易酒(절발역주) 東晉 때 陶侃(도간)이라는 가난한 선비집에 친구가 찾아 왔으나, 창졸간에 차려낼 음식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래서 도간의 어머니는 자신의 머리털을 잘라 판 돈으로 술을 사서 아들 친구를 접대했다는 고사에서, 어머니가 되는 사람이 '賓客을 歡待함'을 이르는 말. [..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6
行不由徑(행불유경) 行不由徑(행불유경) 자유(子游)는 공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하며,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가 노(魯)나라에서 벼슬하여 무성(武城)이라는 작은 도시의 장관으로 임명되었을 때의 일이다. 공자는 사랑하는 제자가 벼슬을 하게 되자, 일하는 모습..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6
연비어약(鳶飛魚躍) 연비어약(鳶飛魚躍) 연비어약은 ≪시경 대아≫<한록편>에 나오는 말이다. 瑟彼玉瓚(슬피옥찬) 산뜻한 구슬잔엔 黃流在中(황류재중) 황금 잎이 가운데 붙었네 豈弟君子(기제군자) 점잖은 군자님께 福祿攸降(복록유강) 복과 녹이 내리네 鳶飛戾天(연비려천) 솔개는 하늘 위를 날고 漁..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6
온고지신 溫故知新 온고지신 溫故知新 溫(익힐 온) 故(옛 고) 知(알 지) 新(새 신) 옛 것을 온양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 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서 공자는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라고 하였는데, 우리가 한문을 공부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이보다 좋은 말은 많지 않을듯 하다... 강조가 溫故라는 ..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5
亢龍有悔(항룡유회) 亢龍有悔(항룡유회) 중국 사람들이 끔직이 섬기는 동물에 '사령(四靈)'이란 것이 있다. 용(龍)·봉황(鳳凰)·기린(麒麟)·거북[龜]이다. 각기 상징성을 부여했는데 용은 황제, 봉황은 길상의 상징이다. 기린은 자손과 행복, 거북은 건강과 장수의 상징이다. 사령 중 으뜸인 용은 그 생김새.. 글,문학/故事成語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