亡羊補牢(망양보뢰) 亡羊補牢(망양보뢰) 전국(戰國) 시대, 초(楚)나라의 군주 경양왕(頃襄王)은 귀족들을 맹신하고 간신들을 중용하여 정치는 부패하였다. 그가 날마다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자, 국세(國勢)는 날로 쇠약해졌다. 이에 대신(大臣) 장신(莊辛)은 경양왕에게 간언을 하였다. "왕..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2
米珠薪桂(미주신계) 米珠薪桂(미주신계) 전국 시대, 종횡가(縱橫家)로 유명했던 소진(蘇秦)은 각국으로 유세(遊說)를 다녔다. 그는 남북의 제(齊), 초(楚), 연(燕), 한(韓), 조(趙), 위(魏) 등의 여섯나라가 연합하여 서쪽의 진(秦)나라에 대항하여야한다는 이른바 합종책(合從策)을 주장하였다. 그가 초나라의 회..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2
倚閭之情(의려지정) 倚閭之情(의려지정) 전국시대, 제(齊)나라 민왕(민王)은 연(燕)나라와 진(秦)나라 등의 분노를 일으켜서, 그들의 연합 군대의 공격을 받았다. 연나라의 대장인 악의(樂毅)는 군대를 이끌고 제나라의 수도인 임치(臨淄)로 진공하여, 제나라의 보물을 모두 빼앗아 가버렸다. 제나라 민왕 또한.. 글,문학/故事成語 2013.06.01
선즉제인(先則制人) 선즉제인(先則制人) '선수를 쓰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 진나라 시황제가 죽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진승과 오광이 난을 일으켜 진나라 도읍 함양에 진격한다는 소문이 퍼졌다. 곧 천하는 진승과 오광의 천하가 될 것 같았다. 이에 강동의 군수인 은통이 항량을 불러 제안했다. "내.. 글,문학/故事成語 2013.05.31
捲土重來(권토중래) 捲土重來(권토중래) 이 말은 晩唐(만당)의 거장, 두목(杜牧 : 803-852)의 詩 '제오강정(題烏江亭)' 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이다. 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으니 수치를 싸고 부끄럼을 참음이 남아로다 강동의 자제 중에는 준재가 많으니 '권토중래'는 아직 알 수 없네 전쟁에서 승패의 향방은.. 글,문학/故事成語 2013.05.31
乾坤一擲(건곤일척) 乾坤一擲(건곤일척) 이 말은, 당나라의 대문장가(大文章家)인 한유가 하남성(河南省) 내의 홍구(鴻溝)를 지나다가 그 옛날(B.C 203),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건곤일척 (乾坤一擲)' 을 촉구한 장량(張良), 진평(陳平)을 기리며 읊은 회고시 <과홍구(過鴻溝)>에 나오는 마지막 구절에 있.. 글,문학/故事成語 2013.05.31
明鏡高懸(명경고현) 明鏡高懸(명경고현) 서경잡기 권3에는 진(秦)나라 때의 신기한 거울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한나라 고조 유방은 처음 함양궁(咸陽宮)에 입성하여, 궁의 창고를 둘러보았는데, 금은 보화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그중 매우 놀라운 것은 네모난 거울이었는데, 이 거울은 너비가 4척.. 글,문학/故事成語 2013.05.31
鑿壁偸光(착벽투광) 鑿壁偸光(착벽투광) 한(漢)나라 때, 광형(匡衡)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책 읽기를 좋아하고, 매우 열심히 공부하였다. 그러나 양초를 살 수 없을 만큼 집안이 가난하였기 때문에 밤에는 책을 읽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 이웃집의 형편은 훨씬 좋았기 때문에, 매일 저녁 촛불을 환하게 밝.. 글,문학/故事成語 2013.05.31
해로동혈(偕老同穴) 해로동혈(偕老同穴) 「擊鼓(격고-북을 침)」란 시에 전쟁터에 나간 군인이 고향에 돌아갈 기약도 없이 愛馬와도 사별하고 고향의 아내를 그리워하면서 읊은 작품으로 죽고 살고 만나고 헤어짐을(死生契闊/사생계활) 함께 하자고 그대와 맹세했었지(與子成說/여자성실) 나 그대의 손을 잡.. 글,문학/故事成語 2013.05.29
伯仲之勢(백중지세) 伯仲之勢(백중지세) 아버지의 형을 백부라 하고, 동생을 숙부라고 부르는 것은, 옛날부터 중국의 관습에 따른 것이다. 《예기(禮記)》'단궁(壇弓)' 상편(上篇)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어려서 이름을 짓고, 관례(冠禮)를 하고서 자(字)를 붙이고, 50에 백중(伯仲)으로써 하고, 죽으면 .. 글,문학/故事成語 201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