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의 진실/줄기세포 263

소아당뇨, 어머니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

소아당뇨, 어머니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 나중에 제1형(소아)당뇨병을 가져올 수 있는 태아의 췌장조직 결함을 고치기 위해 모체의 줄기세포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로 건너가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고 영국의 BBC인터넷판이 23일 보도했다. 영국 브리..

[스크랩] 황우석박사님 줄기세포논란 일지

1997 영국에서 복제 양 돌리 탄생 1999년 황교수팀 국내 최초의 복제 소 영롱이 탄생 2000년 8월 박세필교수팀 세계 세 번째로 폐기 수정란에서 인간배아줄기 추출 배양에 성공 2000년 8월 9일 황교수팀 배반포단계 체세포 복제 성공 2000년 10월 18일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생명과학 인권, 윤리법” 입법 ..

탯줄 성체줄기세포를 당뇨 치료세포로 전환 성공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earch.ytn.co.kr/NEW/view.php?s_mcd=0103&key=200701231302068256 탯줄 성체줄기세포를 당뇨 치료세포로 전환 성공 [앵커멘트] 서울대학교 강경선 교수 연구팀이 제대혈에서 성체줄기세포를 분리해 당뇨병 치료세포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비교적 윤리논란이..

줄기세포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여론을 보며

줄기세포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여론을 보며 황우석 교수 줄기세포에 관하여 MBC PD수첩에서 취재를 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처음 취재방향은 연구자체가 허위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일로 황교수가 매우 힘들어 한다는 것이었다. 참으로 황당한 일이었다. 수십 명의 교수, 박사들이 황교수와 짜고 사..

줄기세포 파문에 묻혔던 ‘복제 늑대’도 뒤늦게 빛

줄기세포 파문에 묻혔던 ‘복제 늑대’도 뒤늦게 빛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팀은 한국 늑대 복제<사진>에 성공해 논문까지 작성했으나 줄기세포 파문 탓에 세계적인 저널에 게재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팀은 어른 암컷 늑대의 피부세포를 핵이 제거된 일반 개의 난자와 융합시켜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