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話] 쌀 뒤주 설화 쌀 뒤주 설화 남편이 있는 여자와 간통하려던 남자가 본남편을 피하여 쌀뒤주에 숨었다가 망신당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미궤설화(米櫃說話)’라고도 한다. 풍자적인 성격을 지닌 소화(笑話)에 속한다. 문헌설화로는 ≪동야휘집 東野彙輯≫에 〈차관출궤수라단 差官出櫃羞裸袒〉이라..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6.01.01
[野談] 오늘이 동아일보 [최원오의 우리 신화이야기]‘오늘이’의 여정 《 그리스·로마신화는 신화의 대명사로 꼽힌다. 하지만 우리 땅에도 그에 버금가는 신화와 설화, 전설이 곳곳에 존재한다. 입에서 입을 타고 전해진 이야기, 우리 민족의 혼과 정신이 담긴 이야기, 그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격주..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30
[說話] 쌍녀분 설화(雙女墳 說話) 쌍녀분 설화(雙女墳 說話) 최치원(崔致遠)이 무덤에서 나온 두 여자와 시를 주고받고 하룻밤 정을 나누었다는 내용의 설화. 시애설화(屍愛說話)의 하나이다. 신라 ≪수이전≫에 있으며, ≪태평통재 太平通載≫ 권68에 실려 전한다. ≪대동운부군옥≫에 전하는 〈선녀홍대 仙女紅袋〉는 ..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30
[說話] 설씨녀(薛氏女)와 가실(嘉實) 설씨녀(薛氏女)와 가실(嘉實) 설씨녀(薛氏女)는 신라 경주의 민가 여자로 비록 평범한 가문과 가난한 집안 사람이었으나, 안색이 단정하고 행실이 바르므로 보는 사람마다 곱다고 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아무도 그녀를 함부로 대하지 못하였다. 진평왕(眞平王) 때 설씨녀의 아..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30
[野談] 백가지 나물과 세 가지 쌈 백가지 나물과 세 가지 쌈 옛날에 찢어지게 가난한 시골처자가 더 가난한 산골총각에게 시집을 갔더란다. 그때 처자의 나이는 겨우 열여섯이었는데, 워낙 가난하니 입을 하나 덜기 위해 서둘러 시집을 보낸 것이란다. 그런데 그 박복한 사람이 그만 시집온 지 네 해 만에 덜컥 신랑이 죽고..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29
[說話] 감생설화(感生 說話) 감생설화(感生 說話) 성교(性交)에 의하지 않고 어떤 사물에 감응됨으로써 잉태하여 아기를 분만한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세계 각국의 여러 민족 사이에 널리 전승되어 왔는데, 그 유형으로는 ① 암석 ·수목 등에 접촉하여 잉태하는 유형, ② 몸에 햇빛을 받고 잉태하는 유형, ③ 해 ·달..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29
[野談] 상삼요(桑三搖) 상삼요(桑三搖) [桑: 뽕나무 상. 三: 석 삼. 搖: 흔들릴 요] (뽕나무가 세 번 흔들렸다) [이야기] 중국 명태조 주원장(朱元璋)이 드디어 천하를 평정하여 황제가 되고 그 부인 마씨(馬氏)가 황후로 되고 신변을 좌우하던 신하 상우춘(常遇春; 明太祖 때의 名相)이 정승이 된 때의 일이었다. 세 ..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28
[野談] 방자구이란? 방자구이란? 房子는 관청에 소속된 심부름하는 하인 또는 하녀 궁녀에도 방자가 있었고 이몽룡에게도 방자가 있었으니 이몽룡이 한양으로 떠날 때 방자는 관청에 남아 춘향이가 옥살이 할 때 이몽룡에게 달려가서 주저리주저리 아뢰니 입이 싼 방자놈의 암행어사 발설이 두려워 이몽룡..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28
[說話] 강감찬 설화 강감찬 설화 인헌공 강감찬은 대평 7년 임오에 갑과에 장원 급제하고 현종 통화 27년 기유에 한림학사가되었다. 이해 11월에 거란의 성종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침략해 왔다. 임금은 금성으로 피난하고 하공진으로 하여금 그들을 돌아가도록 강화하게 하였다. 성종은 군사를 거두어 돌아..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28
[說話] 의견(義犬)설화 의견(義犬)설화 개가 사람에게 도움을 주거나 은혜를 갚은 것을 주제로 한 설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가장 오랜 기록은 고려시대 최자(崔滋)가 지은 ≪보한집≫에 나타난다. 전라도의 개 이야기가 중앙인 개성까지 전파되기까지의 과정을 생각하면, 최자가 살던 당시 이미 세상에.. 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2015.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