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춘추 시대, 노(魯)나라 목공(穆公)은 아들들에게도 진(晉)나라와 형(荊)나라를 섬기게 했다. 그 무렵 노나라는 이웃 나라인 강국 제(齊)나라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래서 위급할 때 진나라와 형나라 같은 강국의 도움을 받으려는 속셈에서 였다. 목공의 그런 .. 글,문학/故事成語 2013.05.12
진충보국(盡忠報國) 진충보국(盡忠報國) 기원전 582년, 양(梁)나라의 선제(宣제)가 죽고, 그 아들 정제(靜帝)가 뒤를 계승하게 되었다. 그런데 정제의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조정에서는 어린 황제의 후견인을 세우는 일로 의견 대립이 일어났다. 유방(劉昉) 등 많은 신하들이 수(隋)나라의 양견(楊堅)을 재상으.. 글,문학/故事成語 2013.05.11
교외별전(敎外別傳) 교외별전(敎外別傳) 경전(經典) 바깥의 특별한 전승(傳承)을 말함, 언어나 문자에는 근거하지 않고,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켜 본성을 뚫어보고 불경을 얻는다.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에서“성(聖)을 절(絶)하고 지(智)를 버리면 민리(民利)가 백배(百倍)하리 라.”고 하여, 지식이.. 글,문학/故事成語 2013.05.11
교우이신 [交友以信] 교우이신 [交友以信] 사귈 교, 벗 우, 써 이, 믿을 신 믿음으로써 벗을 사귄다는 뜻으로 신라 진평왕 때 원광국사(圓光國師)가 화랑 귀산(貴山)과 추항이 일생을 두고 경계할 금언을 청하자,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주었다고 하며, 交友以信(교우이신)은 그 세번째 계(戒)이다. <世俗五戒(.. 글,문학/故事成語 2013.05.10
배수지진(背水之陣) 배수지진(背水之陣) 한신이 조나라 대군과 싸울 때 배수지진을 썼다. 배수진을 쳐야만 했던 이유가 있었다. 한신의 군은 각지에서 끌어 모은 민병(民兵), 그러나 조나라는 체계적인 훈련을 쌓은 강병이었다. 보통의 정상적인 전법으로는 승산이 없었던 것이다. "1만여 기병은 '물을 등지고.. 글,문학/故事成語 2013.05.10
철부지급( 轍부之急) 철부지급( 轍부之急) 장주는 집안이 매우 가난하여 어느 날 먹을 쌀을 꾸러 감하후에게 갔다. 그러나 감하후는 장주가 쌀을 빌려가 언제 가져올지 몰라 거절하고자 마음을 정하고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빌려 주지요. 며칠 후에 영지에서 세금이 걷히면 당신에게 3백금을 빌려 주겠소.".. 글,문학/故事成語 2013.05.10
배반낭자(杯盤狼藉) 배반낭자(杯盤狼藉) 제나라 위왕(威王)이 주연의 자리에서 언변이 좋은 순우곤에게 '얼마의 술이면 취하느냐'고 물었다.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어려운 사람이 지켜보는 자리에서 마시면 얼마 마시지 않아 취하게 됩니다. 그러나 친한 사람과 마시면 쉽게 취하지 않습니다. 여덟 되쯤 마.. 글,문학/故事成語 2013.05.09
방약무인(傍若無人) 방약무인(傍若無人) 진왕 정(政)이 천하를 통일하기 직전의 일이었다. 포악무도한 정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자객 중에 형가(荊軻)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고국 위나라를 등지고 여러 나라를 전전하다가 연나라에 발이 닿게 되었다. 여기서 축(筑: 거문고의 일종)의 명수인 고점리(高漸離).. 글,문학/故事成語 2013.05.09
반식재상(伴食宰相) 반식재상(伴食宰相) 당나라 현종 때 노회신(盧懷愼)은 청렴결백하기로 소문난 신하였다. 그러나 유능함으론 재상 요숭(姚崇)을 따르지 못했다. 현종이 이뤄낸 '개원의 치[開元之治]' 도 다 요숭의 부국강병책에 근거해 이루어진 일이었던 것이다. 요숭이 휴가를 가자 노회신은 직무를 대.. 글,문학/故事成語 2013.05.09
작법자폐(作法自斃) 작법자폐(作法自斃) 전국시대 秦(진)나라 孝公(효공)은 진나라가 中原(중원)의 여러 나라로부터 오랑캐로 대우받을 정도로 전락한 것을 한탄했다. 춘추시대 때는 목공이 春秋五覇(춘추오패)의 한사람으로 불릴 정도로 진의 국력이 강성하지 않았던가. 효공은 오늘날의 이 치욕을 씻고 목.. 글,문학/故事成語 201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