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충보국(盡忠報國)
그 아들 정제(靜帝)가 뒤를 계승하게 되었다. 그런데 정제의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조정에서는 어린 황제의 후견인을 세우는 일로 의견 대립이 일어났다. 유방(劉昉) 등 많은 신하들이 수(隋)나라의 양견(楊堅)을 재상으로 맞아들여 어린 황제의 후견인으로 하자고 주장했다. 그 당시 수나라는 군소 왕조 중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양견은 문제(文帝)를 칭하고 있었다. 기왕 기댈 바엔 큰 나무 밑이 안전하다는 것이 유방 등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안지의(顔之儀)등은 그건 나라를 파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이 의견에 반대하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지금까지 조정의 은혜를 입어 왔으니, 지금이야말로 진충보국(盡忠報國)해야 할 때다. 타국 사람에게 국운을 맡기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니 이제 죽어서 나라에 보답하는 수밖에 없다." 결국 양건이 재상으로 맞아들여지고 정제를 보좌하게 되고 급기야는 양을 무너뜨리고 수나라를 세우게 된다. |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고마비(天高馬肥) (0) | 2013.05.12 |
---|---|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0) | 2013.05.12 |
교외별전(敎外別傳) (0) | 2013.05.11 |
교우이신 [交友以信] (0) | 2013.05.10 |
배수지진(背水之陣) (0) | 201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