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而不實(화이부실) 華而不實(화이부실) 춘추시대, 진(晉)나라 대신(大臣) 양처보는 위(衛)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노(魯)나라 영성(지금의 하남 획가현)의 한 집에 묵게 되었다. 집주인 영(盈)은 양처보의 당당한 모습과 비범한 행동거지를 보고 매우 기뻐하며 아내에게 말했다. "몇 년 동안 인품이 훌..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3
附和雷同(부화뇌동) 附和雷同(부화뇌동) <예기> 곡례 상(上)에 이런 말이 있다. "다른 사람의 말을 자기 말처럼 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지 마라. 옛 성현을 모범으로 삼고 선왕의 가르침에 따라 이야기하라." 이 것은 손윗사람에게 아랫사람이 지켜야 할 에절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또 논어 ..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3
琴瑟相和(금슬상화) 琴瑟相和(금슬상화) 금(琴)은 거문고, 슬(瑟)은 비파로 이 둘을 탈 때 음률이 잘 어울려 양자의 울림이 잘 화합한다는 뜻으로, 흔히 부부간의 의좋음을 일컽는다. 소아 상체편은 한 집안의 화합함을 노래한 8장으로 된 시로, 이 시의 제 7장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처자가 좋게 합하는..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2
矯枉過直(교왕과직) 矯枉過直(교왕과직) 은(殷)나라를 멸망시킨 주(周)나라의 우왕(武王)은 하(夏)와 은나라가 멸망한 원인을 거울삼아 제후에게 작위와 토지를 주어 800여국으로 만들었다. 그 중에 왕족인 자가 50여명이나 있어 강력한 울타리로서 주 왕실을 떠받쳤다. 그러나 시대가 흐름에 따라 제후들간의 ..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2
德威相濟 란?| 德威相濟 란?| 일전 부산에사는 어떤 분이 내게 이메일을 보내왔다. 어떤 사무실에 갔더니 거기에 붓글씨가 걸려 있는데, [德威相濟]란 뜻을 알려 줄 수 있느냐는 부탁이었다. 처음 듣는 말이었지만 뜻을 새겨보니 참 좋았다. 글자대로 풀면 “덕과 위엄으로 서로 건진다”가 된다. 다시 ..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2
狗尾續貂(구미속초) 狗尾續貂(구미속초) 삼국 시대 말기, 진(晉)나라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은 전국을 통일하고 진나라를 세웠다. 그는 한(漢)나라 고조(高祖)를 모방하여, 제후들을 봉하고 중앙 집권 통치를 공고히 하려 했다. 그러나 제후들의 권력다툼 등으로 내분이 발생하고 결국 팔왕지란(八王之亂)..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1
口耳之學(구이지학) 口耳之學(구이지학) // 군자의 학문은 귀에 들어가면 그대로 마음에 말하고, 신체에 정착하여 인격을 높이고,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난다. 그러한 과정을 거쳣기 때문에 사소한 말이나 동작도 많은 사람의 거울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가면 곧바로 입으로 나..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1
三顧草廬(삼고초려) 三顧草廬 후한말엽 유비는 관우,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한실 부흥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군기를 잡고 계책을 세워 전군을 통솔할 군사(軍師)가 없어 늘 조조군사에게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어느날 유비가 은사인 사마 휘에게 군사를 천거해 달라고 청을 하자 그는 이렇게 말햇다..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0
各得其所(각득기소) 各得其所(각득기소) 전한(前漢)의 무제(武帝)때의 일이다. 무제의 여동생이 병으로 몸져 누웠을때, 자기가 죽은 뒤에 아들 소평군(昭平君)이 죄를 범하여 사형당할 것을 걱정하여, 황제에게 돈을 바쳐 미리 그 죄를 대속(代贖)할 것을 청원했다. 황제는 그것을 받아들였고, 여동생은 머지..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0
傾國之色(경국지색) 傾國之色(경국지색) 한무제(漢武帝)를 모시고 있는 가수(歌手)중에 이연년(李延年)이란 자가 있었다. 음악적 재능이 풍부하고 노래와 춤도 유명하며 신곡을 만들거나 편곡을 할때마다 사람들을 감동시켰으므로 무제의 총애를 한몸에 받고 있었다. 그는 황제 앞에서 춤을 추며 노래했다. .. 글,문학/故事成語 201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