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中摸索(암중모색) 暗中摸索(암중모색) //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女帝)인 측전무후(則天武后)때 허경종(許敬宗)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대대로 벼슬을 한 명문가의 후손으로 후에 재상까지 역임한 인물이었으나, 경망스러운데다가 건망증이 아주 심해 방금 만난 사람도 잊어버릴 정도였다. 어느날 그..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7
금의야행(錦衣夜行) 금의야행(錦衣夜行) 유방(劉邦)에 이어 진(秦)나라의 도읍 함양(咸陽)에 입성한 항우(項羽)는 유방과는 대조적인 행동을 취했다. 우선 유방이 살려 둔 3세 황제 자영(子孀)을 죽여 버렸다(B.C. 206). 또 아방궁(阿房宮)에 불을 지르고 석 달 동안 불타는 그 불을 안주 삼아 미녀들을 끼고 승리..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7
대우탄금(對牛彈琴) 대우탄금(對牛彈琴) 후한(後漢)시대 말기 모융(牟融)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불교학에 밝았는데, 유학자에게 불교를 설명할 때는 불전(佛典)이 아니라 유학의 시경,서경등의 경서를 인용했다. 유학자가 이를 책하자 모융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들은 불전을 읽은 적이 없을 것이..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6
叱石成羊(질석성양) 叱石成羊(질석성양) // 옛날 황씨 성을 가진 형제가 있었다. 형의 이름은 황초기(黃初起)이고, 동생은 황초평(黃初平)이었다. 황초평이 14세 되던 해, 하루는 산에서 양을 먹이고 있는데, 갑자기 한 도사(道士)가 나타났다. 도사는 초평을 제자로 삼고자 금화산의 한 동굴로 그를 데리고 갔..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6
握髮吐哺(악발토포) 握髮吐哺(악발토포) 주공(周公)은 서주(西周)시대의 유명한 정치가로서 그의 이름은 희단(姬旦)이다. 그는 주나리 문왕(文王) 희창(姬昌)의 아들이자, 무왕(武王) 희발(姬發)의 동생이었다. 문왕이 왕위에 있을 때에도, 그는 효성이 강하고 인자하여 다른 아들들과는 같지 않았다. 무왕이 ..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5
道不拾遺(도불습유) 道不拾遺(도불습유) <사기> 상군열전에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상군(商君)은 위(衛)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앙(앙), 성은 공손(公孫)이다. 젊었을 때 형명학(形名學)을 좋아하여 정승 공숙좌(公叔座)를 섬겼다. 그가 죽고 위나라에서 중용하지 않자, 천하의 영재를 구한다는 진(秦..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5
向壁虛造(향벽허조) 向壁虛造(향벽허조) 《상서(尙書)》는 중국 최고의 역사서로서 서경(書經) 또는 서(書)라고도 하며, 춘추 시대 이전의 당우(唐虞), 하(夏), 상(商), 주(周)나라 무왕(武王) 때의 중요한 역사 기록이 실려있다. 그러나 한(漢)나라 때에 이르러 이 책은 실전(失傳)되고 말았다. 진시황 때의 분서(..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5
威武不屈(위무불굴) 威武不屈(위무불굴) 경춘(景春)이라는 사람이 종횡가(縱橫家)로 유명한 공손연(公孫衍)과 장의(張儀)를 진정한 대장부라고 추켜 세우자, 맹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천하라는 넓은 집에 살고, 천하의 바른 자리에 서고, 천하의 대도(大道)를 행하며, 뜻을 이루면 백성들과 더불어 그것을 ..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5
老益壯(노익장) 老益壯(노익장) 서한(西漢)말년 부풍군(扶風郡)에 마원(馬援)이라는 장수가 있었다. 어려서부터 큰 뜻을 품고 글을 배우고 예절을 익혔으며 무예에도 정통하여 그의 형은 그를 대기만성(大器晩成)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의 형이 젊은 나이에 죽자 마원이 상례(喪禮)를 정중..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3
斅學半(효학반) 斅學半(효학반) // 은나라의 재상 부열(傅說)이 말했다. "모든 일을 배우는 데 있어서, 스스로 지혜가 뛰어나다든가 스스로 분별이 바르다고 하는 생각을 버리고 현자의 가르침을 들어 그 실행을 민첩하게 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덕이 뛰어나게 되는데, 뛰어난 것을 언제나 생각하여 왕으.. 글,문학/故事成語 201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