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金)씨는 왜 금씨가 아닌가..삼국시대 땐 '금'춘추? 김(金)씨는 왜 금씨가 아닌가..삼국시대 땐 '금'춘추? 유성운 입력 2019.03.24. 05:00 수정 2019.03.24. 07:17 댓글 64개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版权归内容原作者所有。机器翻译结果可能存在错误。 原文の著作権は原著著作者にあり.. 참고실/慶州金氏 2019.03.24
신라김씨 역대왕 연대표 신라김씨 역대왕 연대표 . 金氏는 신라왕실의 三性(박,석,김) 가운데 하나로 시조 김알지의 7세손 미추왕(신라13대)부터 왕위에 오르기 시작하여 신라 마지막왕인 경순왕(알지의 28세손)때 까지 총 38왕이 재위하셨다. 신라를 상대(上代), 중대(中代), 하대(下代)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대는 .. 참고실/慶州金氏 2019.02.15
[스크랩] 경주.....역사유적지구(첨성대, 월성, 석빙고, 안압지) [경주] 역사유적지구(첨성대, 월성, 석빙고, 안압지) < 2018. 10. 16 > 첨성대 해자 발궁 중인 월성터 석빙고 안압지(월지) 참고실/慶州金氏 2018.11.06
경주 원성왕릉(元聖王陵) 〔괘릉(掛陵)〕 경주 원성왕릉(元聖王陵) 〔괘릉(掛陵)〕 이 능은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王, 김경신,785~798)을 모신 곳으로, 밑 둘레 70m, 지름 21.9m, 높이 7.7m이며, 능 둘레에 있는 호석(護石)에는 십이지신상이 돋을새김 되어있고, 그 주위로 돌난간이 에워싸고 있습니다. 괘릉(掛陵)이라 부르는 것은 왕릉.. 참고실/慶州金氏 2017.08.05
경주 성덕왕릉 (聖德王陵) 신라왕조 통일 대위업 이후 최고 전성기 때의 왕릉으로, 봉분 높이 4,5 m, 직경 14.7 m의 원형 봉토분이며, 내부 구조는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으로, 삼국사기, 동경 잡기 등의 기록도 현재의 경주시 조양동 도지리(道只里)의 왕릉 위치와 일치하며, 사적28호로 지정되어 보호 관리되고 .. 참고실/慶州金氏 2017.06.18
경주 감은사지(感恩寺址) 경주 감은사지(感恩寺址) <!--[if !supportEmptyParas]--> <!--[endif]--> 문무대왕(文武大王)은 평소 유언하기를 “ 죽은 후 나라를 지키는 동해의 용이 되어 불법을 받들어 나라를 수호 하리라.” 라고 했으며, 또한 동해변(경주시 양북면)에 가람을 세워 부처님의 힘으로 왜구를 격퇴시키려 .. 참고실/慶州金氏 2017.05.15
칠세입춘(七歲立春)/金正熙 칠세입춘(七歲立春) [요약] (七:일곱 칠, 歲:해 세, 立:설 립, 春:봄 춘) 일곱 살에 입춘방을 쓰다는 말로. 즉,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섰다는 뜻. 글씨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에게서 유래함. [문헌] 대동기문(大東奇聞) ​ [내용]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는 조선 말기의 서예가로서 .. 참고실/慶州金氏 2017.05.13
경주 월지 - 안압지 2/2 )| 연못가의 호안은 다듬은 돌로 쌓았는데 동쪽과 북쪽은 절묘한 굴곡으로 만들었고, 서쪽과 남쪽의 호안은 직선으로 쌓았으며, 서쪽 호안은 몇 번 직각으로 꺾기도 하고 못 속으로 돌출시키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못가 어느 곳에서나 바라보아도 못 전체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아, 못이 .. 참고실/慶州金氏 2017.04.24
월지 (月池) - 안압지 (雁鴨池) 월지 (月池) - 안압지 (雁鴨池) <!--[if !supportEmptyParas]--> <!--[endif]--> 삼국을 통일하여 국력이 강해진 문무왕 14년(AD674)에 월지를 조성하였으며, 그 뒤 동궁(東宮)을 건립(AD679) 하였는데 임해전(臨海殿)은 동궁 속에 속했던 건물 중의 한곳으로서, 용도는 나라의 경사스런 일이나 귀한 .. 참고실/慶州金氏 2017.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