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21회 <16.능정업장분>-2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21회 <16.능정업장분>-2 절에 가면 항상 하는 독송이 천수경이다. 구절을 보면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3번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나무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지미사바하 주문 3번 한 다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20회 <16.능정업장분>-1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20회 <16.능정업장분>-1 지난 번 반야심경 하다 말았다. 지난 번 사실과 진실 말했다. 14분 이상적멸분은 실상을 말한다. 우린 지금 다 허상에 속아 사는 사람들이다. 반야심경도 실상을 보라는 글이다. 實相寺 어디 있나? 남원 지리산 자락에 있다. 부처님은 지금 여러분과 제가..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9회 <15.지경공덕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9회 <15.지경공덕분> 15분은 지경공덕분이다. 경을 지님으로 생기는 공덕에 대한 분이다. 15분 16분은 붙여서 같이 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왜냐하면 16분은 업장을 다 소멸시킨다는 능정업장분이기 때문이다. 선업과 악업은 절대 상쇄되는 것이 아니다. 나쁜 짓 많이 했으면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8회 <14.이상적멸분>-2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8회 <14.이상적멸분>-2 지금 종합주가지수가 1500 넘는다. 경제는 크게 설비투자와 경제성장율 2가지다. 경제성장율 지난 분기 대비 좀 올랐기 때문에 1500까지 왔지만 설비투자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경제성장은 한계가 있다. 1500 넘어서는 상당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14분..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7회 <관심론>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7회 <관심론> 중간평가 1.금강경은 부처님이 누구에게 가르침을 준 것인가? <부처님이 1250 비구들에게. 부처님이 보살들에게. 부처님이 선남자 선여인에게. 부처님이 재가불자에게>1250비구 2.수보리는 누구를 위해서 질문을 계속하는가? <1250비구. 재가불자. 선남자 선..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6회 <14.이상적멸분>-1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6회 <14.이상적멸분>-1 실패를 자산으로 – 우붕잡억 지난 시간 중국의 덩샤오핑 북경대 총장도 하시고 중국의 지성인 지셴린 KFC치킨 할아버지 커넬 샌더스 말했다. 지금까지 우린 업식에만 끌려 살아왔다. 반야가 있다지만 어떻게 활용하는지 모르고 살아 왔다. 그런데 이 3..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5회 <13.여법수지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5회 <13.여법수지분> 13분 이제 처음 반야란 말이 나온다. 12분에서 말한 대로 일체 세간 천인 아수라 신장님들이 일단 도와주시는 것이다. 아직 반야가 감이 안 잡힌다고 해서 속상해 할 필요 없다. 왜냐하면 이 책 금강경의 수보리 존자도 12분까지 감을 못 잡았기 때문이다.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4회 <12.존중정교분(반야심경)>-2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4회 <12.존중정교분(반야심경)>-2 반야에 들어가기 전 재가불자들이 꼭 알아야 될 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존중정교분 한 번 더 한다. 첫째 깨달음을 위해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있다. 부처님 법이 도대체 뭐야 그런 분들이 금강경 공부한다. 정말 금강경 나온 대로 최..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3회 <12.존중정교분>-1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3회 <12.존중정교분>-1 오늘은 존중정교분 차례다. 개인적으로 존중정교분은 제가 힘들고 어려웠을 때 희망을 준 분이다. 나란 존재는 몸과 마음으로 돼 있고 그 마음은 또 업식과 반야로 돼 있다고 6분부터 말씀드렸다. 반야를 얻어 사용하려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2회 <11.무위복승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2회 <11.무위복승분> 무위복승분 차례다. 7분 무등무설분과 32분 응화비진분에도 일체유위법 할 때 무위법이 나온다. 무위를 설명하기 위해 저울을 하나씩 드렸다. 저울에 법성원융무이상 제법부동본래적 법성게 첫 구절을 썼다. 부동심이 반야다. 부동이 반야고 평상심시도..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