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제 25품 관세음보살보문품 묘법연화경 제 25품 관세음보살보문품 그 때, 무진의(無盡意)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합장하고 부처님을 향하여 이렇게 부처님을 향하여 이렇게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무슨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이름하나이까." 부처님이 무진의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3.17
약사여래본원경(藥師如來本願經) 해설 약사여래본원경(藥師如來本願經) 이 경전의 정식 명칭은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인데 줄여서 《약사여래본원경》 또는 《약사경》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 설법의 인연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여러 나라를 다니시며 교화하시다가, 비사리(毘..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22
약사유리광여래 본원공덕경 출처;진리여행 글쓴이;청하 권대욱 약사유리광여래 본원공덕경 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 나무 약사유리광여래불! 나무 약사유리광여래불! 나무 약사유리광여래불!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3)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나무 사만다 못다..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22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8회<32.응화비진분>-2(회향편)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8회<32.응화비진분>-2(회향편) 32.應化非眞分 須菩提 若有人 以滿無量阿僧祗世界七寶 持用布施 若有善男子善女人 發菩薩心者 持於此經 乃至四句偈等 受持讀誦 爲人演說 其福勝彼云何爲人演說 不取於相 如如不動 何以故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佛說..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7회 <32.응화비진분>-1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7회 <32.응화비진분>-1 금강경 마지막 장으로 회향할 차례다. 그 동안 힘들었다. 잘 모르는 것 공부해서 한 것도 많았다. 생각해 보면 스님들 비난도 많이 했고 불교 집안의 답답한 현실을 꼬집기도 했다. 정확하지 않은 비난으로 속 상했던 분들도 많이 계셨을 것이다. 마지막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6회 <30.일합이상분 31.지견불생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6회 <30.일합이상분 31.지견불생분> 저만 해도 부처님 법을 너무 늦게 알았다.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공부 시작했다. 조선시대 때 불교는 허무적멸지도라 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고 1960년대부터 청담스님 성철스님 등 많은 스님들이 불교는 무가 아니라고 설하셨다. 고등학..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5회 <마음의 실체>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5회 <마음의 실체> 오늘은 법신비상분 할 차례다.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로 유명한 분이다. 지난 시간 수심결 할 때 거울에 비유해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와 실제 우리는 다르다고 말씀드렸다. 법신과 화신을 통해서도 말씀드렸지만 다 같은 내용이다..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4회 <29.위의적정분(법성게) 30.일합이상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4회 <29.위의적정분(법성게) 30.일합이상분> 오늘은 금강경 위의적정분 일합이상분 할 차례다. 부처님이 있다 없다 개도 불성이 있다 없다 말들 많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부처님 세존 여래 이런 분들은 어떤 형태로 우주법계에 존재하는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면..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3회 <26.법신비상분 27.무단무멸분 28.불수불탐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3회 <26.법신비상분 27.무단무멸분 28.불수불탐분> 금강경과 반야심경의 핵심용어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거울 그 바탕이고 법신이고 向心임만 알면 예전과 다르게 금강경이 읽히게 될 것이다. 法身非相分 법신은 상이 없다. 법신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 거울 바탕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2회 <25.화무소화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2회 <25.화무소화분> 오늘은 화무소화분 할 차례다. 교화하되 교화함이 없다. 누가? 부처님과 관세음보살 특히 보살님이. 이 금강경은 소승법을 대표하는 수보리존자나 우리 같은 맨땅 중생들에게 부처님이 너희들도 보살의 삶을 살아라 가르쳐주시는 대목이다. 그래서 무아..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