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1회 <10.장엄정토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1회 <10.장엄정토분> 사실 10분까지 하면 금강경 다 한 셈이다. 10분은 득력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 차이다. 우리의 정체는 몸과 마음으로 돼 있는 데 이 마음을 또 나눠보면 정식<업식>과 반야로 돼 있다. 그런데 대부분 사람들이 반야로 돼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사는..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0회 <9.일상무상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10회 <9.일상무상분> ○ 一相無相分 第九 일상무상분 - 하나의 상도 사실은 상이 없는 것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 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須菩提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9회 <8.의법출생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9회 <8.의법출생분> 8분 의법출생분 들어가기 전 우리 모두 죽어야 한다 말했다.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이 죽었다. 자살에대한 부처님 입장이 어땠는지 궁금하다. 경전 보기 전까지 자살은 절대 나쁜 짓인 줄 알았다.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잡아함경에서 자살에 대해 달리 말씀..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8회 <7.무득무설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8회 <7.무득무설분> ○ 正信希有分 第六 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得聞如是言說章句 生實信不 佛 告須菩提 莫作是說 如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章句 能生信心 以此爲實 當知是人 不於一佛二佛三四五佛 而種善根 已於無量千萬佛所種諸善根 聞是章句 乃至一..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7회 <6.정신희유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7회 <6.정신희유분> 여리실견분 5분까지 부처님 하실 말씀 다하셨다. 왜냐하면 相에 대해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항상 뭔가 잘못 됐다는 생각이 들었다. 딱 하나 相 하나 제대로 보지 못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으로 하면 의타기성의 실체에 대해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6회 <5.여리실견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6회 <5.여리실견분> 相 그렇다고 알고 있는 것.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 ○ 妙行無住分 第四 오른 손이 한 일을 왼 손도 모르게 하라. 復次須菩提 菩薩 於法 應無所住行於布施 所謂不住色布施 不住聲香味觸法布施 須菩提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5회 <4.묘행무주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5회 <4.묘행무주분> ○ 大乘正宗分 第三 조건이 갖춰지면 명색이 일어나고 조건이 무너지면 명색도 사라진다. 佛 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非無想 我皆令入無餘涅槃 而滅..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4회 <3.대승정종분>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4회 <3.대승정종분> 금강경의 핵심은 대승정종분에 있다. 대승정종분을 이해하면 금강경 전반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게 머리 속으로 정립이 안 되면 귀신이 있는 거야 영혼이 있는 거야 나는 뭐야 이런 문제들을 쉽게 해결하지 못하지만 알면 쉽게 넘어갈 수 있다...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회 <1.법회인유분 2.선회기청분>-2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3회 <1.법회인유분 2.선회기청분>-2 금강경이 총 32분으로 돼 있지만 어떤 스님은 5분이면 끝이다 또는 17분까지 가면 끝이다 또 어떤 스님은 아예 1분이 끝이라 말씀하신다. 부처님께서 핵심적인 내용은 첫 장에 다 말씀하신 다음 중생들이 모르니 계속 부연 설명하신 것이다.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2회 <1.법회인유분 2.선현기청분>-1 우승택 금강경 해설 제2회 <1.법회인유분 2.선현기청분>-1 謀事在人 成事在天 일을 도모하는 것은 사람에 달려 있지만 일을 성사시킴은 하늘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와룡 제갈선생을 폄하하는 것이 아니다. 이분 일생 모사재인 성사재천이었다. 謀事在人= 변계소집성. 成事在天=맡기는 任病. 부처님..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1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