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故事成語

구화양비(救火揚沸)

淸潭 2016. 11. 11. 11:50

구화양비(救火揚沸)

[요약] (: 건질 구. : 불 화. : 오를 양. : 끓을 비)


불에 타고 있는 자를 구하려고 끓는 물을 퍼 올림. 방법이 잘못되어 괴로운 자를 더욱 괴롭힘. ()의 다스림이 과격하고 어수선함을 비유하는 말.

[출전]사기(史記) 혹리전(酷吏傳)

) --> 

[내용] 이 성어는 사기(史記) 122 혹리열전(酷吏列傳)에서 태사공(사마천)이 한 말에서 유래한다.

) --> 

혹리열전의 서두는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 -->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법령으로 인도하고 형벌로 바로잡으면 백성은 형벌을 피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덕으로 이끌고 예로 바로잡으면 부끄러움을 알고 바르게 살아간다.”

노씨(老氏=노자) 또 이렇게 말했다.

상덕(上德)은 덕을 의식하지 않으므로 덕을 지니게 되고, 하덕(下德)은 덕을 잃지 않으려 하므로 덕을 지니지 못한다. 법령이 늘수록 도둑은 많아진다.”

) --> 

태사공은 말한다.

진실로 옳구나! 법령이란 다스림의 도구일 뿐(백성의) 맑고 탁함을 다스리는 근원은 아니다. 옛날 진()나라에는 천하의 법망(法網)이 치밀했으나, 간사함과 거짓은 싹이 움트듯 일어나 극도에 이르러 법에 저촉시키려는 관리와 법망을 빠져나가려는 백성의 혼란이 구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당시 관리들은 불을 그대로 둔 채 끓는 물만 식히려는 것처럼 정치를 조급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하고 준엄하며 혹독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그 임무를 기쁘게 감당할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도덕(道德)을 말하는 사람도 자기가 맡은 일을 감당하지 못했던 것이다.

) --> 

공자는 송사를 처리하는 일은 나도 남과 다를 것이 없지만, 나는 송사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라고 했고, 노자도 하찮은 인간은 도를 듣고 크게 웃기만 할 뿐이다.’라고 했는데 이는 허튼 소리가 아니다. ...... ”

) --> 

孔子曰:「導之以政齊之以刑民免而無恥導之以德齊之以禮有恥且格。」老氏稱:「上德不德是以有德下德不失德是以無德法令滋章盜賊多有。」太史公曰信哉是言也法令者治之具而非制治清濁之源也昔天下之網嘗密矣然奸偽萌起其極也上下相遁至於不振當是之時吏治若救火揚沸非武健嚴酷惡能勝其任而愉快乎言道德者溺其職矣故曰聽訟吾猶人也必也使無訟乎」。「下士楣大笑之」。非虛言也史記/122酷吏列傳

) -->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립엄천(以笠掩天)  (0) 2016.11.13
양속현어(羊續懸魚)  (0) 2016.11.12
종신지우(終身之憂)  (0) 2016.11.10
자후박인(自厚薄人)  (0) 2016.11.09
권권복응(拳拳服膺)   (0) 2016.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