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 복제' 논문을 게재했던 저널측이 해당 논문을 인터넷에서 삭제하고 서울대의 공식 조사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하겠다는입장을 밝혔다.
'클로닝 앤드 스템 셀즈(Cloning and Stem Cells)'지는 11일 (http://www.liebertonline.com/doi/pdf/10.1089/clo.2006.0034)에서 이 저널 3월호에 실렸던 이병천 교수팀의 `늑대 복제' 논문을 삭제했다.
게다가 서울대 연구처가 이번 연구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는 안내문을 게시했다. 이 저널의 편집장인 이언 윌머트(Ian Wilmut)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는 "만일 조작으로 드러날 경우 논문 취소나 철회 등 조치를 고려할 것인가"라는 연합뉴스의 이메일 질문에 "우리 저널은 서울대의 조사 결과가 나오는 것을 기다린 뒤 조치 내용을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그러나 "(서울대의 공식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더 이상의 코멘트를 하지 않겠다"며 말을 아꼈다. 과학계 일각에서는 저널 편집장인 윌머트 교수가 과거의 친분에 영향을 받아 `옛 황우석팀'의 논문을 실어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윌머트 교수는 2005년 말 `황우석 논문조작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 수년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이병천, 강성근 교수 등을 공ㆍ사석에서 자주 만나 친분을 쌓아왔으며 공동연구를 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적도 있다. 해당 논문의 저자 명단에는 황우석 전 교수, 이병천, 강성근 교수 등 `옛 황우석팀 1ㆍ2ㆍ3인자'의 이름이 모두 포함돼 있다. 연합뉴스는 윌머트 교수에게 이번 논문 저자들과 친분이 있느냐고 질문했으나 답변은 받지 못했다. 윌머트 교수는 영국 에든버러 로슬린 연구소에 재직하던 1996년 과학 권위지 `네이처'에 세계 최초의 포유동물 복제 사례 `복제양(羊) 돌리(Dolly)'를 보고해 명성을 얻었다. 당시 연구책임자로서 논문의 교신저자였던 그는 `윌머트 박사는 실험을 전혀 하지 않았으며 실제 실험을 한 사람들은 따로 있다'는 시비에 휘말렸으며 스스로도 이점을 재판 과정에서 인정하며 본인이 복제양 돌리를 만들었다는 말은 적합하지 않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
'줄기세포의 진실 > 황우석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우석 사단' 연거푸 고배…수의대 '어쩌나' (0) | 2007.06.29 |
---|---|
황우석 그는 지금 어디에.... (0) | 2007.06.13 |
서울대 ‘늑대복제’ 논문 조사 착수 (0) | 2007.04.09 |
서울대 황우석 특허권 고심 (0) | 2007.04.09 |
배아 복제는 인간 존엄성 거슬러 (0) | 2007.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