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불교와 과학 초끈이론(4) 4. 불교와 과학 초끈이론(4) (4) 프랙탈과 인드라망의 우주 웰빙지 연재(정신 세계원 2004.7~12)/조현학 프래탈 구조는 그 개체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또 확대된 부분의 일부분을 다시 확대하더라도 원래의 형태가 되살아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성질을 자기 유사성(selfsimilallity)이라 한..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24
3.불교와 과학 초끈이론(3) 3.불교와 과학 초끈이론(3) (3) 카오스와 사상(map) 웰빙지 연재(정신 세계원 2004.7~12)/조현학 만댈브로트(Manndrlbrot)집합 y=z2+c 초기값을 z에 집어넣고 y값을 계산 그 값을 다시 z에 집어넣고 다시 y값을 계산 계속 반복 되먹임(feedback)…. 부분 속에 전체가 들어있는 집합 완성 眞性甚深極微妙..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23
2. 불교와 과학 초끈이론(2) 2. 불교와 과학 초끈이론(2) (2) 괴델의 불확정성의 원리를 넘어서 웰빙지 연재(정신 세계원 2004.7~12)/조현학 <괴델의 불확정성의 원리> “어떤 체계가 주어졌을 때 그 체계 내에서 증명될 수 없는 명제가 항상 존재한다.따라서, 어떤 정리가 참이라 해도 그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20
1. 불교와 과학 초끈이론(1) 1. 불교와 과학 초끈이론(1) (1)공간찧기(Conifold transition) 웰빙지 연재(정신 세계원 2004.7~12)/조현학 거북이는 물질계를 이루는 4대 원소 지수화풍(地水火風)을 의미하고 그 위의 뱀의 꼬리와 머리는 물질계의 대립상을 표현하고 있다. 뱀의 꼬리를 물고 순환하는 모습에서 대립되는 세계가..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19
16. 불교의 우주관 (우주의 팽창) 16. 불교의 우주관 (우주의 팽창)--끝 20. 우주의 탄생 1929년 허블은 후퇴 속도가 알려진 은하들의 거리를 측정하여 은하의 속도와 거리를 비교한 결과, 이들은 서로 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우주가 팽창한다는 관측 결과는 우주 원리에 바탕을 둔 우주 진화이론에 의해서 설명된다. ..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18
15. 불교의 우주관 (시간) 15. 불교의 우주관 (시간) 13. 시작도 끝도 없는 '시간' 과 학…최초 우주 대폭발과 함께 시간존재 불 교…사물 발생·소멸 따라 시간도 생멸 우주는 무한하다고 한다.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 같은 것이 4000억 개 이상이 모여 우리 은하계를 구성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은하계가 우주 지..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16
14. 불교의 우주관(초신성) 14. 불교의 우주관(초신성) 12. 빛도 흡입되는 초밀도 공간 태양 10배 초신성 폭발때 탄생 삼천대천세계도 하나의 우주 진공청소기는 압력차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강한 흡입력을 만들어 쓰레기를 청소기 안으로 빨아들인다. 비슷한 원리로, 중력에 의한 압력차가 있어서 지구상의 모든 물체..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10
13. 불교의 우주관 (카오스 이론) 13. 불교의 우주관 (카오스 이론) 11. 뉴턴, 불확정성 원리, 그리고 카오스 1. 들어가는 말 불교의 우주관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공(空)이다. 우주는 성주괴공을 반복하며, 무시(無始) 이래로 흐르고 있다. 이 우주의 그 어떤 것도 고정된 실체는 없으며, 무상이고 무아이고, 흐름의 과정일 뿐..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09
12. 불교의 우주관(불생불멸 부정불감) 12. 불교의 우주관(불생불멸 부정불감) 10. 불생불멸 부증불감을 입증 질량-에너지는 하나 모습 바뀔뿐 총합 일정 아인슈타인의 E = mc2 이라는 자연법칙의 공식이 있음을 많은 이들이 알고 있다. 그것은 단순한 물리 공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계의 물질과 에너지가 물리적으로 등가여..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06
11. 불교의 우주관 (불교를 통해 본 하나님) 11. 불교의 우주관 (불교를 통해 본 하나님) 9. 불교의 우주관을 통해 본 하느님 우리는 불교의 우주관인 空의 세계를 통해 우리가 믿는 하느님의 속성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불교의 우주관을 도식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여기서 각 그림의 사각형을 무한 영역으로 표시하도록 하..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1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