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4 5

남편 시한부 판정받자, 그 충격에 3일만에 먼저 아내가…

남편 시한부 판정받자, 그 충격에 3일만에 먼저 아내가…문화일보입력 2024-06-14 01:25업데이트 2024-06-14 10:20프린트곽선미댓글1폰트공유섀런은 그녀의 남편 웨인의 시한부 판정에 충격받아 결국 남편이 사망하기 전 상심증후군으로 먼저 사망했다. 생전 섀런(54)과 웨인(57)의 모습. 더선 홈페이지 캡처시한부 판정을 받은 남편보다 3일 먼저 세상을 뜬 아내의 사연이 알려졌다. 아내는 남편이 시한부 판정을 받자 그 충격으로 ‘상심증후군’을 앓다가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심증후군의 공식 명칭은 ‘타코츠보 심근증’이다. 가까운 사람의 갑작스러운 죽음이나 이별, 불안과 같은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 처했을 때 나타나는 신체 증상이다. 이 증후군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히 폐경 이후 여성..

범죄에 사용할 물품을 구입했다고 ?

“디올백, 샤넬 화장품 제 돈으로 산 것” 서울의소리 기자 경찰 출석문화일보입력 2024-06-14 10:54업데이트 2024-06-14 13:20프린트박세영댓글65폰트공유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최재영 목사가 명품 가방을 건넨 사건과 관련해 가방을 준비하고 몰래 촬영한 전달 장면을 보도한 이명수 서울의소리 기자가 14일 오전 피고발인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영등포경찰서로 출석하기 앞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건네진 명품 가방을 직접 구매한 서울의소리 이명수 기자가 14일 경찰에 소환됐다.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이날 오전 건조물침입,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발된 이 기자를 피고발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이 기자는 최재영 목사가 김 여사..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서울의대 교수 들은 민주국가 가 좋은 줄 모르나?

집단휴진 불참 선언 의사단체 속출…서울의대 교수 '휴진 강행'김병규2024. 6. 14. 17:39뇌전증 교수들 "환자 먼저 살려야"…시민단체·병원노동자들 "명분없다" 비판서울의대교수들 "중증진료 차질없게 하겠다"면서도 '무기한 집단휴진' 방침 확인진료취소 제대로 안돼 '혼선', 의협 휴진일 휴진 신고 4%뿐…참여율 저조 관측의료계 집단휴진 계획...환자들 반응은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의정 갈등 속 대한의사협회와 의대 교수 단체가 오는 18일 집단휴진을 앞둔 가운데 10일 서울의 한 대학 병원에서 의료진이 한 환자 앞을 지나고 있다. 2024.6.10 ondol@yna.co.kr(서울=연합뉴스) 김병규 성서호 김잔디 기자 =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

쉼터/요즘소식 2024.06.14

의협회장이 아니고 악마집단 회장?

아동병원 휴진 불참에 분노?...의협회장 또 막말 [Y녹취록]YTN2024. 6. 14. 14:36아동병원 휴진 불참에…의협회장 또 막말의협회장 "멀쩡한 애 입원 시키는 사람들"임현택 "모든 구토 환자에 어떤 약도 쓰지 마라" ■ 진행 : 나경철 앵커, 이세나 앵커■ 출연 : 양지민 변호사*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2P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앵커> 그런데 대한의사협회의 임현택 회장이 특별히 아동병원협의회와 관련해서 비난을 했습니다. 어떤 내용으로 비난을 한 건가요? ◆양지민> 굉장히 수위가 높은 비난입니다. 왜냐하면 임현택 회장 역시도 소아과 의사잖아요.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전 세..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아버지 이런 사람이었어요?” 암 진단 뒤 딸에게 온 ‘현타’카드

관심진료실에서 환자분들이 흔히 이런 말을 한다. “저는 제 딸이 시집가는 것은 보고 죽었으면 좋겠어요. 그러니 잘 치료해 주세요.” 그러면 옆에 있는 따님은 쿨하게 대답한다. “아니요. 결혼 생각 없어요. 우리 엄마 말 무시하세요. 엄마, 또 시작이다. 주책스럽게….” 정말 결혼 생각이 없어 보였다. 그러면 나는 이런 질문을 한다. “가장 가까운 사이인 따님이 결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잘 아시나요?”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사람을 가장 모르는 경우가 있다. 내가 키웠고 가장 오랫동안 가까이서 봐왔기에, 부모들은 아무 노력을 하지 않아도 내 딸은 내가 세상에서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한다. 방귀 소리만 들어도 어제 저녁에 무얼 먹었는지 다 안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어느 순간부터는 나이 들며 변해 가는 딸과 ..

카테고리 없음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