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역사의기록

光化門上樑文

淸潭 2017. 12. 25. 11:13

光化門上樑文

 

이유원(李裕元) <1814(순조 14)- 1888(고종 25) >

<자 경춘(景春) 호 귤산(橘山), 묵농(墨農) 본관 경주(慶州) 시호 충문(忠文) >

 

伏以若作室肯堂拊丕基而圖永迺立門有伉旋化樞而嚮明于時也天閶上開其方則帝車南指顧玆法宮聽政之所粤自神京定都之初背嵩面河王業奠中黃之宅軆國經野宸居近上紫之垣猗殿宇正位辨方而楣扁顧名思義禹勤堯思敷盛德於春生秋成羲泰箕康迓景祿於日升月恒寶扆御當陽之位金門闢正南之維瑤躔候極宿之禪昇平有象璿籙兆亭午之運文明出治比若前代之承光宣光四方之所共仰有如兩闕之敦化興化百僚之所必趍自中古未遑重修在聖朝思述先志恭惟主上殿下升聞潛邸泰運興邦承文考之顯謨在厥初

엎드려 생각건대 을 만들고 을 짓는 것은 큰 기초로 영원을 도모하기 위함이라. 이에 짝을 이루는 문을 세웠도다. 돌쩌귀를 돌리면 향명(嚮明門)이고, 이때 하늘 문이 위로 열리도다. 그 방향은 곧 황제의 수레가 가리키는 남쪽일지니. (옛날부터 왕은 북쪽에 앉아 남쪽을 향해 백성을 다스리고, 백성은 북쪽을 향해 왕을 배알한다고 함) 뒤는 법궁이라 정사를 돌보는 장소일세. ! 신령께서 서울을 정하시고 천도하시던 초부터 뒤에는 높은 산, 앞에는 강으로 왕업은 중황(中黃)의 택지에 정해졌나니. 나라의 땅이 들판 따라 늘어서서 집들은 상자(上紫)의 담 근처에서 사노라. ! 전우(殿宇)가 방향 따라 제 자리에 앉았고, 현판의 이름도 다 의()롭네. 우임금의 근면과 요임금의 사려로 봄에 뿌리고 가을에 거두는 성덕(盛德)을 펼치도다. 복희(伏羲)의 태안(泰安)과 기자(箕子)의 강녕(康寧)으로 해와 달이 영원하듯 밝은 복록을 누리소서. 보의어(寶扆御)는 마땅히 양지에 위치하고 금문벽(金門闢)은 정남쪽에 위치하고 요전후(瑤躔候)는 극숙(極宿)의 선()이로다. 승평유상(昇平有象)이라. 선록조(璿籙兆)는 한낮의 운수로다. 문명출치(文明出治)로 지난 시대의 승광(承光) 선광(宣光)으로 사방에서 함께 우러러 보네. 돈화(敦化)와 흥화(興化)의 양 대궐이 있어 백관(百官)이 함께 주창하여 중고(中古)부터 중수(重修)를 서둘렀으나 성조(聖朝 = 지금의 조정)에 있어서 전대의 뜻을 다시 생각하고 살펴 오직 주상전하를 공경하며 잠저(潛邸 = 임금의 私家)에서부터 들으시고 큰 운을 나라에 일으키사 글을 계승하며 고찰하여 드러내려는 계획이 그 처음에 있었다.

 

命哲命吉奉太母之懿訓率由章不愆不忘仁孝英明之夙彰令聞八域咸頌政敎施措之動合盛典百度鼎新爰攷玉帶之舊圖載營華盖之重搆肆宸衷之先定又廷議之僉同家國共休顯乎上者顯乎下者朝野相慶咸曰一哉咸曰大哉縱軫毋奪民時擧皆如趨父事非謂公儲私蓄有裕於昔年抑以地利人和若待乎今日司徒按考工之記太史占定中之星鼛皷弗勝梓材惟丹雘垣墉惟塗墍棟宇協吉軆象乎天地經緯乎陰陽一礎一砌之無改前䂓寓精義於法祖不侈不陋之皆合中道垂遠圖於裕昆迨輪奐之奏新工迺棖闑之仿古制漢建章之千門萬戶豈取觀美而壯居周明堂之右个左扉亶爲懸灋而布令碧瓦鱗動負神武而將將畫檐翼齊對冠岳而屹屹揭舊號於寶額銀鉤重新護佳氣於丹闈金鑰增固週帀如彩虹飮月之狀盤紆若赤螭奉日之形玉佩朝儀排雙扇而蹌濟靑繩御路方二軌而坦平烏㙜風生宛是城上所舊址黃閣地近依然門下省遺橅軒豁之政如我心閌閬乎無遠天室閽人司警沈沈高閣漏聲閤吏引班蒼蒼禁城曉色臨朱鳥而正晷景聳金爵而凌雲霄被四著明俊之功一家氣象成萬推存神之竗八荒庭衢敢頌川至之休庸助霞擧之役

拋樑東駱峯初日照新宮林䓗匝域含生類自在吾王大化中拋樑西煌煌奎壁耀金題喜聽門卒平安報鞍峴烽光夜夜低拋樑南漢水環之碧似藍郡國舟車都會地恩波洋溢頌遐覃拋樑北毋嶽參天瞻峻極援斗爲巵躋彼堂聖人請祝於千億拋樑上對越天心迓景貺筵臣退食每遲遲日是猶勤治道訪拋樑下大庇羣生居廣廈臨殿時聞擊壤聲黃雲處處滿田野伏願上樑之後日月光華之無私照雨露化育之所均霑闢之乾闔之坤宣闓澤於家家戶戶仁爲關義爲鍵納景祥於子子孫孫建不拔洪基措諸泰山磐石開太平萬世躋之壽域春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