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肝) 세포의 손상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인 간기능 수치가 높으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내분비내과 임 수 교수와 아주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조남한 교수 연구팀이 2001년부터 공동으로 진행 중인 대규모 지역사회 연구(Community-based prospective study)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간기능 수치가 높을 경우 낮은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생위험이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왔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1년부터 40-70세의 당뇨 병력이 없는 8천750명(남 4천75명, 여 4천675명)을 대상으로 2년간 간 기능 수치와 당뇨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추적검사를 했다.
그 결과 남자의 경우 간기능 수치의 하나인 GPT가 낮게 나왔던 집단에서의 당뇨병 발생률은 2.4%(1천10명 중 24명)이었던 반면 GPT가 높게 나왔던 집단은 당뇨병 발생률이 5.1%(1천16명 중 52명)로 배 이상 높았다.
여자의 경우도 GPT가 낮은 집단의 당뇨병 발생률은 1.2%(1천133명 중 14명)였으나 GPT가 높았던 집단은 3.4%(1천133명 중 38명)으로 역시 높게 나왔다.
이를 연령.혈압.운동량.혈당수치.가족력.비만도.음주여부 등 변수를 보정해 분석한 결과 GPT가 높은 사람(남자 35 이상, 여 24 이상)이 낮은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생비율이 남자는 1.2배, 여자는 1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특히 간 기능 수치가 정상 범위 이내라도 수치가 높을 경우 당뇨병 발생이 증가하며 술을 많이 마시지 않더라도 GPT 수치가 높은 비알콜성 지방간이라도 그 상태가 지속될 경우 당뇨병 발생위험이 높다고 분석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임 수 교수는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는 원인으로 간 기능 수치 상승이 앞으로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는 장년층의 지방 및 칼로리가 높은 식사습관과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간 기능 수치 상승이 당뇨병 발생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밝혀진 이상간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더라도 밤참 및 음주 자제, 저지방.저칼로리 식단, 가벼운운동 등 간 기능 수치를 낮추려는 노력이 당뇨병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 당뇨병 학술지(Diabetes Care) 10월호에 게재됐다.
(성남=연합뉴스)
'당뇨조절 > 당뇨 합병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폐기능 떨어뜨려 (0) | 2008.09.03 |
---|---|
망막 정맥 폐쇄 당뇨병의 미세혈관 합병증 관리 (0) | 2008.09.03 |
리피토, 뇌졸중 예방효과 추가 승인 (0) | 2008.09.02 |
콩팥, 튼튼하려면 혈당·혈압 관리를 [중앙일보] (0) | 2008.08.31 |
당뇨병-혈당 낮춘다고 합병증 줄까 (0) | 2008.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