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불문(禮佛文) 예불문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戒香 定香 慧香 解脫香 解脫知見香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불법승 光名雲臺 周邊法界 供養十方 無量佛法僧 헌향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3번) 獻香眞言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至心歸命禮 三界導師 四生慈父 是我本師 석가모니..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10.22
百八 大懺悔文 百八 大懺悔文 시방삼세 제불보살님과 역대 조사님들께 지극한 마음으로 이 몸 다 던져 참회하고 발원합니다. 지난 세월 지은 공덕이 적어 부처님 참된 진리 등지고 살아 왔음을 참회합니다. 작은 인연이지만 오늘부터 크게 키워 참된 불자가 되고자 발심하여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오며 정성으로 절을..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9.28
우리말 지장경 (全文) 우리말 지장경 제 1품 도리천궁에서 신통을 나투다. 이와같이 내가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 도리천에 계시면서 어머님을 위하여 법을 설하시었다. 그때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서 오신 말로 할래야 할수도 없는 그 모든 부처님과 큰 보살 마하살이 모두 다 법회에 모여 오셔서 찬탄하셨다. 석가모니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9.05
화엄시식(2) (華 嚴 施 食 ) 화엄시식(2) 【원문】 {변식진언}變食眞言 「나막 살바 다타아다 바로기데 옴 삼바라 삼바라훔」 (3번) {시감로수진언}施甘露水眞言 「나모 소로바야 다타아다야 다냐타옴 소로소로 바라소로 바라소로 스바하」 (3번) {일자수륜관진언}一字水輪觀眞言 「옴 밤 밤 밤 밤」 (3번) {유해진언}乳海眞言 「나..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9.03
화엄시식(1) (華 嚴 施 食 ) 화엄시식(1) {화 엄 시 식}華 嚴 施 食 화엄이란 온 우주를 일컫는 말이다. 우리가 사는 어느 곳 하나 화엄법계가 아닌 곳이 없다. 그러므로 모든 세계는 부처님의 법을 펴는 도량이며, 의식을 집전하고 천도재를 할 수 있는 도량이 되는 것이다. 화엄시식은 법계 곳곳의 수많은 영가들이 본래로 돌아가..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9.03
관음시식(觀音施食) 1. 천도.시식 천도(遷度)란 천혼(薦魂),천령(薦靈)이라 하며 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불보살님께 재(齋)를 올리고 영혼들로 하여금 정토 극 락 세계나 천상에 태어나도록 기원하여 좋은 길로 천거하는 법식이 다. 시식(施食)이란 널리 베풀어 먹임이니 천도재를 올릴 때 천도하 려는 천속 뿐만 아..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9.03
염불의 열가지 공덕(高聲念佛十種功德) 염불의 열가지 공덕(高聲念佛十種功德) (1)일자공덕능배수면 (一者功德能排睡眠 :졸음을 없애준다. (2)이자공덕천마경포 (二者功德天魔驚怖 :하늘 마구니가 두려워하고 놀라서 도망간다. (3)삼자공덕성편시방 (三者功德聲編十方 :염불소리가 시방(十方)에 두루 퍼진다. (4)사자공덕삼도식고 (四者功德..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8.01
구병시식 구병시식 구병시식은 환자를 병으로부터 건져내는 의식이다. 병원에서 여러가지 의학적인 방법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더라도 원인을 알 수 없거나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는 대개 병의 원인이 바이러스나 병원균이 아니고 다른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럴 경우에 환자의 몸에 귀신이 붙어 병을 않고 있..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7.29
보현보살의 대원(大願) *보현보살의 대원(大願)* 자기는 아주 잊어버리고 오직 일체중생을 위하여서만 산다. 영원에서 영원이 다하도록, 법성/法性 이 무진/無盡 하므로 법계/法界 가 무한하며 법계가 무한하므로 시분/時分이 무량하다. 시분이 무량하므로 중생이 무변하며 중생이 무변하므로 자비/慈悲 가 무궁하다. 이렇듯,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4.07
고 려 대 장 경 웹 서 비 스 고려 대장경 가리저모법(訶?底母法)(1) 가리제모법(訶利帝母法)(1) 가리제모진언법(訶利帝母眞言法)(1) 가야산정경론(伽耶山頂經論)(1) 가야정경론(伽耶頂經論)(2) 가전연설법몰진경(迦?延說法沒盡經)(1) 가전연아비담(迦?延阿毘曇)(1) 가전연아비담론(迦?延阿毘曇論)(1) 가홍음의(可洪音義)(1) 감로고경(甘..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