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년만에 복원한 고려 초조대장경 봉정 1천년만에 복원한 고려 초조대장경 봉정(종합) 연합뉴스 | 홍창진 | 입력 2011.03.19 17:15 (대구=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 1232년 몽골 침략 때 소실됐던 고려 초조대장경이 1천년 만에 복원돼 19일 봉정됐다.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는 이날 오후 경내 통일대불전에서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을 비롯..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1.03.19
明心寶鑑(명심보감) 明心寶鑑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 고려 충렬왕 때 추적(秋適)이 엮은 책 繼善篇 (선행을 이어받는 글) 子曰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공자가 말하기를, 착한 일을 한 사람은 하늘이 복으로써 보답하고, 착하지 않은 일을 한 사람은 재앙으로써 보답하느니라. 漢昭烈..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1.02.20
법정스님 저서 공공시설에 기증 법정스님 저서 공공시설에 기증 ‘맑고 향기롭게’ 출판사와 협의키로 오는 28일 법정스님 입적 1주기 다례재를 앞두고 스님의 남은 저서들이 공공시설에 기증된다. 법정스님의 유지를 받드는 ‘맑고 향기롭게’(이사장 덕현스님)는 지난 1월30일 “스님의 책 가운데 팔고 남은 것들을 군부대와 교도..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1.02.11
보이지 않는 /폴 오스터 지음 살인·근친상간… 40년간 감춰온 사건의 진실은? 김태훈 기자 scoop87@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범죄 목격한 시인 지망생, 어두운 비밀이 있는 남매… '보이지 않는' 사실로부터 인간의 욕망을 밝혀내다 보이지 않는 폴 오스터 지음|이종인 옮김|열린책들 | 336쪽|1만800원 살인사건 현장에 있다가..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1.02.06
어디서 와사 무엇이되어 어디로 가는가 책 - '어디서 와서 무엇이되어 어디로 가는가'를 읽고 * 지은이 - 정휴스님 * 발행 - 1999년 12월 15일 초판 * 펴낸 곳 - 우리출판사 * 총 쪽수 - 291쪽 이번에도 도서관에서 우연히 만난 책이 스님이 쓰신 글인데... 정휴스님 전집 중 처음 책이라고, 항상 읽을 때마다 마음에 많은 평안을 안겨주는 것이 스님들..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1.01.30
국내외 동화, 신화, 위인전 모음 국내외 동화, 신화, 위인전 모음 뜻있는 일 닭과어린소녀 높이뛰기선수들 어린도둑과어머니 바늘이야기 인어공주 벌거벗은임금님 장미요정 미운아기오리 나이팅게일(새) 백조왕자 돼지저금통 바보한스 영광의가시밭길 엄지공주 후추총각 침묵하는책 못된왕 아이들의잡담 깃털팬과잉크병 그림자 꼬..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1.01.23
붓다브레인> 출간 7일만에 상위권 <붓다브레인> 출간 7일만에 상위권 ▲ <붓다 브레인> ⓒ불광출판사 제공 '행복한 뇌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교과서'로 불리는 <붓다 브레인>이 불광출판사에서 펴낸지 7일만에 국내 주요서점에서 상위권에 올라 베스트셀러를 예고하고 있다. 24일 불광출판사(사장 지홍 스님)에 따르면 최..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0.08.24
불교적 시각으로 읽어낸 건축의 지혜 불교적 시각으로 읽어낸 건축의 지혜 『절집을 물고 물고기 떠 있네』/원철 스님 지음/뜰 기사등록일 [2010년 08월 09일 15:52 월요일] “토굴이란 말 자체에서 주는 어감은 때론 팽팽한 긴장감으로 다가오고 때론 느긋함이 함께하는 이중성을 가진다. 그것으로 인하여 대중 생활을 하는 출가자들은 누구..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0.08.15
”…DJ 자서전 출간 “역사와 국민을 믿었다”…DJ 자서전 출간 ▲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가 29일 서울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김대중 자서전’ 출판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자서전은 ‘출생에서 정치 입문까지’를 엮은 1권과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퇴임 후 서거 직전까지..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0.07.29
一心으로 염불기도하면 반드시 왕생할 수 있다 “一心으로 염불기도하면 반드시 왕생할 수 있다” 정각스님 ‘무룡산 법음’(1,2 권) 출간 무룡산 법음 (1,2 권) - 정각스님/ 두배의 느낌 누구나 일상생활서 염불 일심삼매가 곧 기도성취 원효대사가 극락왕생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신라 문무왕 때 설화에서 간편하게 찾아진다. 광덕과 엄장이란 두 인.. 글,문학/책 속의 향기 201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