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지식관련글

5. 生活 관련 故事成語

淸潭 2018. 1. 28. 15:21

5. 생활 관련 고사성어

 

결혼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120)

 

三生佳約

삼생가약

삼생(三生)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言約). 곧 약혼(約婚)을 이르는 말

三生緣分

삼생연분

삼생(三生)을 두고 끊을 수 없는 가장 깊은 연분. 즉 부부(夫婦) 사이를 일컬음

下嫁

하가

지체가 낮은 데로 시집 간다는 뜻으로,  공주나 옹주(翁主)가 귀족(貴族)이나 신하(臣下)에게로 시집감

之子于歸

지자우귀

딸이 시집가는 일

二姓之合

이성지합

성이 다른 남자(男子)와 여자(女子)가 혼인(婚姻)을 하는 일

二姓之樂

이성지락

부부(夫婦) 사이의 정

仰望終身

앙망종신

일생(一生)을 존경(尊敬)하고 사모(思慕)하여 내 몸을 의탁(依託)하는 일. , 아내가 남편(男便)에 대()하여 하는 말

倡隨

창수

☞ 창수(唱隨)

偕老

해로

부부(夫婦)가 일생(一生)을 함께 지내며 함께 늙어감

偕老同穴

해로동혈

부부(夫婦)가 한평생(-平生)을 같이 지내며 같이 늙고, 죽어서는 같이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①부부(夫婦) 사랑의 굳은 맹세(盟誓)를 뜻함  ②부부(夫婦)의 금실이 좋아서 함께 늙고 함께 묻힘

儷皮

여피

자웅(雌雄) 한 쌍의 사슴의 가죽. 혼례(婚禮)의 납폐(納幣)로 쓰임

內外之間

내외지간

☞ 내외간(內外間)

叩盆之痛

고분지통

☞ 고분지통(鼓盆之痛)

同苦同樂

동고동락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  같이 고생(苦生)하고 같이 즐김

唱隨

창수

부창부수(夫唱婦隨)의 준말

回婚式

회혼식

☞ 회혼례(回婚禮)

回婚禮

회혼례

회혼(回婚)을 축하(祝賀)하는 잔치. , 결혼 60주년을 맞은 부부(夫婦)가 자손들앞에서 혼례복을 입고 기념(紀念記念)하는 의례식(儀禮式). 다이아몬드 혼식. 다이아몬드 식()

天作之合

천작지합

하늘이 맺어준 배필(配匹)

天定緣分

천정연분

☞ 천생연분(天生緣分)

天定配匹

천정배필

하늘에서 정()해진 배필(配匹)

天生因緣

천생인연

☞ 천생연분(天生緣分)

天生緣分

천생연분

하늘에서 정()해 준 연분

天生配匹

천생배필

하늘에서 미리 전()해 준 배필(配匹)

夫唱婦隨

부창부수

남편(男便)이 주장(主將)하고 아내가 이에 따름. 가정(家庭)에서의 부부(夫婦) 화합(和合)의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임

夫婦之情

부부지정

부부(夫婦) 사이의 애정(愛情)

如鼓琴瑟

여고금슬

「거문고와 비파(琵琶)를 타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夫婦) ()에 화락(和樂)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媒子

매자

중매(仲媒)하는 사람

孤雌寡鶴

고자과학

짝을 잃은 새라는 뜻으로,  곧, 남편(男便)이나 아내를 잃은 사람의 비유(比喩譬喩)

室家之樂

실가지락

부부(夫婦) 사이의 화락(和樂)

崩城之痛

붕성지통

「성()이 무너질 만큼 큰 슬픔」이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指腹之盟

지복지맹

☞ 지복지약(指腹之約)

指腹之約

지복지약

뱃속의 태아(胎兒)를 가리켜 결혼(結婚) 약속(約束)을 하는 것

指腹婚

지복혼

☞ 지복위혼(指腹爲婚)

指腹爲婚

지복위혼

「배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한다」는 뜻으로,  임산부(姙産婦)가 있는 두 집안에서 아이들을 낳기 전에 배 속의 아이들끼리 약혼(約婚)을 맺는 일을 이르는 말

指腹裁襟

지복재금

☞ 지복위혼(指腹爲婚)

指腹連姻

지복연인

☞ 지복위혼(指腹爲婚)

月下氷人

월하빙인

월하로(月下老)와 빙상인(氷上人)을 합친 말로,  혼인(婚姻)은 천생연분(天生緣分)이 있다는 고사(故事)에서 비롯됨. 남녀(男女)의 인연(因緣)을 맺어주는 사람

月下老人

월하노인

혼인(婚姻)을 중매(仲媒)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木婚式

목혼식

서양(西洋) 풍속(風俗)에서, 결혼(結婚) 다섯 돌을 기념(紀念記念)하는 의식(儀式). 부부(夫婦)가 나무로 된 선물(膳物)을 주고받음

未亡人

미망인

남편(男便)과 함께 죽어야 할 것을,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란 뜻으로,  과부(寡婦)가 스스로를 겸손(謙遜)하며 일컫는 말

柏舟之操

백주지조

☞ 백주지조(栢舟之操)

栢舟之操

백주지조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節介)를 지킨다는 뜻으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節介)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比翼

비익

①두 마리의 새가 서로 날개를 가지런히 맞댐  ②비익조(比翼鳥)

比翼鳥

비익조

암컷과 수컷이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라서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한다는 새로서,  남녀(男女) 사이 혹은 부부애(夫婦愛)가 두터움을 이르는 말

比翼連理

비익연리

암수가 각각(各各) 눈 하나에 날개가 하나씩이라서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한다는 비익조(比翼鳥)와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가지와 맞붙어서 서로 결이 통()한 연리지(連理枝)라는 뜻으로,  부부(夫婦)의 사이가 깊고 화목(和睦)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毛織婚式

모직혼식

서양(西洋) 풍속(風俗)에서, 결혼(結婚) 마흔 돌을 기념(紀念記念)하는 의식(儀式). 부부(夫婦)가 모직물(毛織物) 선물(膳物)을 주고 받음

水魚之交

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이란 뜻으로,  ①임금과 신하(臣下) 또는 부부(夫婦) 사이처럼 매우 친밀(親密)한 관계(關係)를 이르는 말 ②서로 떨어질 수 없는 친()한 사이를 일컫는 말

洞房華燭

동방화촉

「부인(婦人)의 방에 촛불이 아름답게 비친다」는 뜻으로,  신랑이 신부(新婦)의 방에서 첫날밤을 지내는 일. 결혼식(結婚式)날 밤 또는 혼례(婚禮)를 이르는 말

猶魚有水

유어유수

물고기와 물과의 관계(關係)처럼 임금과 신하(臣下) 또는 부부(夫婦) 사이가 친밀(親密)함을 이르는 말

珊瑚婚式

산호혼식

결혼(結婚) 35주년(周年週年)

琴心

금심

「마음을 거문고 소리에 부침」이라는 뜻으로,  부인(婦人)에 대()한 애모의 마음을 나타냄

琴瑟

금슬

①거문고와 비파(琵琶)  ②부부(夫婦) 사이의 정

琴瑟之樂

금슬지락

「거문고와 비파(琵琶)의 조화로운 소리」라는 뜻으로,  부부(夫婦) 사이의 다정(多情)하고 화목(和睦)한 즐거움

琴瑟相和

금슬상화

「거문고와 비파(琵琶) 소리가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부부(夫婦) 사이가 다정하고 화목함을 이르는 말

男唱女隨

남창여수

남자(男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여자(女子)는 따라만 함

男欣女悅

남흔여열

「남녀(男女)가 좋아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화락(和樂)함을 이르는 말

百年之約

백년지약

☞ 백년가약(百年佳約)

百年之苦樂

백년지고락

남편(男便)과 아내로서 함께 지내는 일생(一生) 동안의 괴로움과 즐거움

百年佳期

백년가기

남편(男便)과 아내가 되어 한평생(-平生) 같이 지내자는 아름다운 언약(言約)

百年佳約

백년가약

백년을 두고 하는 아름다운 언약(言約)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되겠다는 약속(約束)

百年偕老

백년해로

부부(夫婦)가 서로 사이좋고 화락(和樂)하게 같이 늙음을 이르는 말

百年偕樂

백년해락

부부(夫婦)가 되어 한평생(-平生)을 같이 즐겁게 지냄

百年同樂

백년동락

부부(夫婦)가 되어 한평생(-平生)을 같이 살며 함께 즐거워함

眞珠婚式

진주혼식

결혼(結婚) 30주년(周年週年)

破鏡之歎

파경지탄

부부(夫婦) 사이의 영원(永遠)한 이별(離別)을 서러워 하는 탄식(歎息)

碧玉婚式

벽옥혼식

결혼(結婚) 40주년(周年週年)

磁器婚式

자기혼식

결혼(結婚) 20주년(周年週年)

祝盛典

축성전

성대(盛大)한 의식(儀式)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結婚

축결혼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聖婚

축성혼

()스러운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華婚

축화혼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秦晉之好

진진지호

()나라와 진()나라의 좋은 관계(關係)라는 뜻으로,  혼인(婚姻)을 한, 두 집 사이의 아주 가까운 정의(情誼)를 말함

秦晉之緣

진진지연

☞ 진진지호(秦晉之好)

秦晉之誼

진진지의

☞ 진진지호(秦晉之好)

秦歡晉愛

진환진애

☞ 진진지호(秦晉之好)

種玉

종옥

구슬을 심는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女人)을 아내로 맞이하는 것을 말함

種玉之緣

종옥지연

혼인(婚姻)의 인연(因緣)

糖菓婚式

당과혼식

결혼(結婚) 3주년(周年週年)

糟糠之妻

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苦生)을 같이 해온 아내란 뜻으로,  곤궁(困窮)할 때부터 간고(艱苦)를 함께 겪은 본처(本妻)를 흔히 일컬음

約婚式

약혼식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하는 의식(儀式)

紅玉婚式

홍옥혼식

결혼(結婚) 45주년(周年週年)

納幣

납폐

전통(傳統) 혼례(婚禮)에서, 신랑(新郞) 집에서 신부(新婦) 집으로 혼서지와 폐백(幣帛)을 함에 담아 보내는 일

紙婚式

지혼식

결혼(結婚) 1주년(周年週年)

結婚式

결혼식

결혼(結婚)의 예를 올리는 의식(儀式)

結髮夫妻

결발부처

「귀밑머리를 풀어 쪽을 찌고 상투를 튼 부부(夫婦)」라는 뜻으로,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結髮夫婦

결발부부

총각(總角)과 처녀(處女)끼리 혼인(婚姻)한 부부(夫婦)

繡婚式

수혼식

결혼(結婚) 13주년(周年週年)

舟梁回甲

주량회갑

혼인(婚姻)한 지 61년 되는 날

花婚式

화혼식

결혼(結婚) 7주년(周年週年)

華燭

화촉

①빛깔 들인 밀초  ②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밀초  ③혼인식(婚姻式) 따위에서 좌상의 등화(燈火). 뜻이 바뀌어 혼례(婚禮)를 달리 일컫는 말이 되었음

華燭洞房

화촉동방

신혼(新婚) 부부(夫婦)가 첫날밤을 지내는 방()

藁婚式

고혼식

결혼(結婚) 2주년(周年週年)

親不因媒

친불인매

부부(夫婦)의 의가 좋은 것은 중매(仲媒)에 의함이 아님

角枕粲錦禽爛

각침찬금금란

「각침(角枕)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新婚)의 금침(衾枕)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象牙婚式

상아혼식

결혼(結婚) 14주년(周年週年)

銀婚式

은혼식

결혼(結婚) 25주년(周年週年)의 기념식(記念式) 또는 잔치

銅婚式

동혼식

결혼(結婚) 기념식(記念式)의 하나. 혼인(婚姻)한 지 15주년(周年週年)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여, 부부(夫婦)가 구리로 된 선물(膳物)을 주고받아 기념(紀念記念)

鋼鐵婚式

강철혼식

결혼(結婚) 11주년(周年週年)

錫婚式

석혼식

결혼(結婚) 10주년(周年週年)

門當戶對

문당호대

①문벌(門閥)이 서로 어슷비슷함  ②결혼(結婚) 조건(條件)이 갖추어진 상대(相對)

陶器婚式

도기혼식

결혼(結婚) 9주년(周年週年)

陶婚式

도혼식

결혼(結婚) 기념식(記念式)의 하나. 혼인(婚姻)한 지 20주년(周年週年)이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여 부부(夫婦)가 사기(沙器) 제품(製品)을 선물(膳物)로 주고받아 기념(紀念記念)

雙宿雙飛

쌍숙쌍비

함께 잠자고 함께 날아간다는 뜻으로,  '부부(夫婦)'를 일컫는 말

雙飛

쌍비

한 쌍의 새가 나란히 날아간다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화합(和合)함'을 이르는 말

電氣器具婚式

전기기구혼식

결혼(結婚) 8주년(周年週年)

革婚式

혁혼식

결혼(結婚) 4주년(周年週年)

魚水之親

어수지친

물고기와 물처럼 친()한 사이라는 뜻으로,  ①임금과 신하(臣下)의 친밀(親密)한 사이  ②서로 사랑하는 부부(夫婦) 사이

鴛鴦之契

원앙지계

금슬(琴瑟)이 좋은 부부(夫婦) 사이

鴛鴦契

원앙계

금슬이 좋은 부부(夫婦)의 사이

鷄鳴之助

계명지조

닭 울음의 도움이란 뜻으로,  어진 아내의 내조(內助)를 이르는 말

麻婚式

마혼식

결혼(結婚) 12주년(周年週年)

鼓盆

고분

「분()은 중국(中國)에서 술이나 물을 담는 와기(瓦器)이며, ()는 쳐서 울리게 한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뜻하는 말

鼓盆之痛

고분지통

「술그릇을 두드리는 아픔」이라는 뜻으로,  아내 상()을 당()함 또는 상처(喪妻)한 슬픔

齊眉

제미

「음식(飮食)을 눈썹 있는 데까지 받들어 올린다」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서로 깊이 경애(敬愛)함을 일컫는 말

金剛石婚式

금강석혼식

결혼(結婚) 75주년(周年週年)

金婚式

금혼식

결혼(結婚)한지 만 50년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는 일

女必從夫

여필종부

아내는 반드시 남편(男便)의 뜻을 좇아야 한다는 말

連理

연리

①여러 가지 이치(理致)를 논함 ②두 나무의 가지가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③화목(和睦)한 부부(夫婦) 또는 남녀(男女) 사이를 비유(比喩譬喩)하여 이르는 말

連理枝

연리지

두 나무의 가지가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의 뜻으로,  화목(和睦)한 부부(夫婦) 또는 남녀(男女) 사이를 비유(比喩譬喩)하여 이르는 말

連理比翼

연리비익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의 뜻으로,  '부부(夫婦)의 사이가 썩 화목(和睦)함'의 비유(比喩譬喩)

…………………………………………………

 



편지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124)

 

下念

하념

①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염려(念慮)  ②또는 그 '염려(念慮)'를 아랫사람이 높여 일컫는 말. ()로 편지(便紙)에 씀

下誠

하성

주로 편지(便紙)에서, 웃어른께 '자기(自己)의 정성(精誠)'을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乞神

걸신

(「빌어먹는 귀신(鬼神)」의 뜻으로)굶주리어 염치(廉恥)를 돌아보지 않고 음식(飮食)을 지나치게 탐내는 욕심(慾心)  ②걸신장이

伏審

복심

편지(便紙)글에서, '엎드려 살핀다'는 뜻으로,  '삼가 살핌'을 이르는 말

伏幸

복행

'자기(自己)의 다행(多幸)함'의 낮춤말. 한문(漢文) 투의 편지(便紙)에서 씀

伏悵

복창

마음에 섭섭하고 궁금하다는 뜻으로,  웃어른에 대()하여 한문투(漢文-)의 편지(便紙)에 쓰는 말

伏慕區區

복모구구

주로 편지(便紙)글에서, '삼가 사모(思慕)하는 마음 그지 없습니다'의 뜻으로 쓰는 말

伏白

복백

엎드려서 사룀. 받을 이를 높여 한문(漢文) 편지(便紙)에 씀

伏頌

복송

엎드려 기림. 한문(漢文) 편지(便紙)에 쓰는 말임

伏願

복원

주로 편지(便紙)에서 엎드려 원한다는 뜻으로,  상대방(相對方)을 높이어 공손(恭遜)히 원()함을 이르는 말

侍史

시사

①옆에 모시어 문서(文書)를 맡는 사람  ②(시사(侍史)를 통()하여 올린다는 뜻)편지(便紙) 겉봉에 받는 이를 공경(恭敬)하는 뜻으로, 그 이름 아래에 쓰는 말  ③감찰(監察) 시사(侍史)  ④사헌(司憲) 시사(侍史)  ⑤조선(朝鮮) 시대(時代) ()에 사헌부(司憲府)의 정4(正四品) 벼슬. 태종(太宗) 원년(元年, 1401)에 장령(掌令)으로 고침

侍奉體候

시봉체후

어버이를 모시는 몸. 편지(便紙)에 부모(父母)를 모시고 있는 사람에게 쓰는 말

侍體

시체

부모(父母)를 모시고 있는 몸이란 뜻으로,  편지(便紙) 받을 사람의 안부(安否)를 묻는 말

允友

윤우

웃어른에게 편지(便紙)할 때에, 그의 「장성한 아들」을 이르는 말

允君

윤군

웃어른에게 편지(便紙)할 때에, 그의 「장성한 아들」을 이르는 말

允玉

윤옥

「남의 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入納

입납

(편지(便紙))삼가 드림의 뜻으로 편지(便紙) 겉봉에 쓰는 말

內舅

내구

외숙(外叔)의 뜻으로,  편지(便紙) 따위에 씀

再啓

재계

편지(便紙)의 사연(辭緣)을 다 적은 뒤에 또 적어야 할 일이 생겼을 경우(境遇)에 다시 이야기한다는 뜻으로 쓰는 말

冠省

관생

편지(便紙)나 소개장(紹介狀) ()의 첫머리에 쓰는 말로, 일기(日氣)와 문안을 생략한다는 뜻. 사연 줄임

刪蔓

산만

「인사는 빼고 바로 할 말로 들어가겠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升啓

승계

편지(便紙) 겉봉에 받는 이의 이름 밑에 '앞'이란 뜻으로 쓰는 말

升鑑

승감

'드리니 보아주시오'의 뜻으로,  조금 높이는 자리에, 편지(便紙) 겉봉 받는 이의 이름 아래에 쓰는 말

卽見

즉견

(편지(便紙)를 받아 볼 사람(손아랫사람에 한하여)의 이름 아래 쓰이어) 이내 받아 보라의 뜻

原諒

원량

용서(容恕)의 뜻으로,  편지(便紙) ()에 쓰는 말

可呵

가가

「스스로 생각해도 우습다」는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에 쓰이는 말

右記之件

우기지건

☞ 수제지건(首題之件)

右題之件

우제지건

☞ 수제지건(首題之件)

吾兄

오형

「나의 형()」이라는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便紙)에서 쓰는 말

回鯉

회리

물음이나 편지(便紙) 따위에 대답함을 이르는 말

外舅

외구

(주로 편지(便紙)에서)장인(丈人)을 이르는 말

大安

대안

「제반(諸般)이 평안(平安)하다」는 뜻으로,  평교간(平交間)의 편지(便紙)에서 상대방(相對方)의 안부(安否)를 물을 때에 쓰는 말.

妄言多謝

망언다사

편지(便紙) 따위의 글 끝에 자신(自身)의 말을 겸손(謙遜)히 낮추는 뜻으로 쓰는 말

姻末

인말

이질(痢疾)이나 처질(妻姪)에게 자기(自己)를 낮추어 편지(便紙)에 쓰는 말

婦弟

부제

처남인 자기자신(自己自身). ()로 편지(便紙)에서 매부에게 자기(自己)를 가리킬 때 씀

婦翁

부옹

장인(丈人)인 나. 편지(便紙)글 따위에서 사위에 대()하여 스스로를 가리킬 때 씀

左右

좌우

①왼쪽과 오른쪽  ②존장에 대()한 경칭(敬稱)(어르신네의 뜻으로 편지(便紙)에 씀)  ③좌지우지  ④옆, 측근(側近)  ⑤좌익(左翼)과 우익(右翼). 좌파(左派)와 우파(右派)

復啓

복계

'공경(恭敬)하여 답장(答狀)함'이란 뜻으로,  회답(回答) 편지(便紙)의 첫머리에 쓰는 말

情弟

정제

다정(多情)한 아우라는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便紙)에서 자기(自己)를 일컫는 말

惠諒

혜량

살펴서 이해(理解)함의 뜻으로,  편지(便紙)에서 쓰는 말. 겸손(謙遜)한 표현(表現). 부디 저의 간청(懇請)을 혜량(惠諒)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의 뜻

慈主

자주

흔히 편지(便紙) 따위에서 어머님이란 뜻으로 쓰는 말

慈兄

자형

자애(慈愛)가 깊은 형. 편지(便紙) 쓸 때에 씀

手書

수서

'손수 쓴 편지(便紙)'라는 뜻으로,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보내는 자기(自己)의 '편지(便紙)'를 일컫는 말

拜上

배상

'절하고 올림'의 뜻으로,  편지(便紙) 끝의 자기(自己) 이름 밑에 쓰는 말

拜具

배구

'삼가 글월을 갖춘다'는 뜻으로,  편지(便紙)의 끝에 써서 받을이에게 경의(敬意)를 표()하는 말

拜啓

배계

'절하고 아뢴다'는 뜻으로,  한문(漢文) 편지(便紙) 첫머리에 의례적(儀禮的)으로 쓰는 말

拜復

배복

☞ 배복(拜覆)

拜白

배백

'엎디어 사뢴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끝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拜覆

배복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損弟

손제

친구(親舊)끼리의 편지(便紙)에서 '자기(自己)를 모든 면이 부족(不足)한 아우'라는 뜻으로,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敬啓

경계

편지(便紙)에 첫머리에 쓰는 말로써 삼가 사뢴다는 뜻으로 쓰임

敬啓者

경계자

'삼가 아룀'의 뜻으로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敬復

경복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敬復者

경복자

「공경(恭敬)하여 답장(答狀)함」이란 뜻으로,  회답(回答) 편지(便紙)의 첫머리에 쓰는 말

敬扑

경복

☞ 경복(敬復)

敬扑者

경복자

☞ 경복자(敬復者)

敬覆

경복

☞ 경복(敬復)

敬覆者

경복자

☞ 경복자(敬復者)

時下

시하

「이때」, 「요즈음」의 뜻으로,  편지(便紙)에서 쓰는 말.

晬身

수신

생신(生辰)을 달리 이르는 말. ()로 글에 씀

本家入納

본가입납

☞ 본제입납(本第入納)

本第入納

본제입납

자기(自己) 집에 편지(便紙)할 때에 겉봉 표면(表面)에 자기(自己) 이름을 쓰고 그 밑에 쓰는 말

査弟

사제

(편지(便紙) ()에서) 친사돈(親査頓) 사이에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案下

안하

'책상(冊床) 아래'라는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 겉봉에 상대자(相對者)를 높이어 그 이름 아래 쓰는 말

梧右

오우

책상(冊床) 오른쪽 이란 뜻으로,  편지(便紙)에서 수신인(受信人)의 이름 밑에 쓰는 말

標記之件

표기지건

☞ 수제지건(首題之件)

母書

모서

어머니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便紙)의 맨 끝에 쓰는 말

氣候

기후

①지상(地上)과 수륙(水陸)의 형세(形勢)에 의()해 생기는 날씨의 현상(現象)  ②이십 사 기()와 칠십 이 후()의 총칭(總稱)  ③기체(氣體)와 같은 뜻으로 편지(便紙)에 씀

海諒

해량

바다처럼 넓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편지(便紙) 따위에서 상대방(相對方)에게 용서(容恕)를 구()할 때 쓰는 말

滿紙長書

만지장서

사연(辭緣)을 많이 적은 편지(便紙)

無似

무사

①아버지나 할아버지만 못한 자식(子息)  ②스스로 낮추어 못난 사람이라는 뜻으로 글에서 씀

父主前

부주전

「아버님께」라는 뜻으로,  편지(便紙)에 쓰는 말.

父書

부서

아버지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便紙)의 맨 끝에 쓰는 말

猶子

유자

조카. 편지(便紙)에서, 나이 많은 삼촌(三寸)에게 자기(自己)를 일컫는 말

獻芹

헌근

변변치 못한 미나리를 바친다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물건(物件)을 선사(膳賜)할 때나 자기(自己) 의견(意見)을 적어 보낼 때에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玉書

옥서

①신선(神仙)이 전한다고 하는 글  ②편지(便紙)의 높임말

直坡

직파

손아래 사람에게 보내는 경우, 남에게 보이지 않고 직접(直接) 전달(傳達) 받음을 나타냄

硏北

연북

☞ 연북(硯北)

硯北

연북

편지(便紙) 봉투(封套)에 「벼루에 북쪽, 곧 「앞에」」의 뜻으로,  받는 사람의 이름 밑에 쓰는 말

笑納

소납

주로 편지(便紙) 따위에 쓰는 것으로, 변변치 않은 물건(物件)이지만 웃고 받아 달라는 뜻으로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肅呈

숙정

삼가 받들어 올린다는 뜻으로,  한문투(漢文-) 편지(便紙)의 첫머리에 쓰는 인사말

肅啓

숙계

삼가 아뢴다는 뜻으로,  편지(便紙)의 첫 머리에 쓰는 말

肅拜

숙배

'삼가 정숙(靜肅)하게 절합니다'의 뜻으로,  ①경의(敬意)를 표()하여 편지(便紙)의 끝에 쓰는 말  ②서울을 떠나는 벼슬아치가 임금께 작별(作別)을 아룀

舌代

설대

'말의 대신(代身)'이란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 쓸 때 첫머리에 쓰는 말

表題之件

표제지건

☞ 수제지건(首題之件)

視生

시생

당신을 모시는 몸이란 뜻으로,  한문투(漢文-) 편지(便紙)에서 웃어른에게 대()하여 자기(自己)를 낮추어 이르는 말

親候

친후

주로 편지글(便紙-)에서, 부모의 기거나 건강 상태(狀態) 따위를 이르는 말

親展

친전

편지(便紙)에서, 받는 사람이 직접(直接) 펴 보아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겉봉의 받는 사람의 이름 옆이나 아래에 쓰는 말

誤付洪喬

오부홍교

「홍교(洪喬)에게 잘못 부탁(付託)하다」라는 뜻으로,  편지(便紙)가 유실(遺失)된 것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諺簡

언간

언문(諺文) 편지(便紙)라는 뜻으로,  우리 한글로 쓴 편지(便紙)를 낮잡아 이르던 말

謹上

근상

삼가 올림. 편지(便紙)의 맨 끝에 쓰는 말

謹啓

근계

편지(便紙)의 서두에 쓰는 말로,  「삼가 아룁니다」의 뜻

謹審

근심

글에서 상대자(相對者)의 사정(事情)이나 의견(意見) 따위를 삼가 살핌의 뜻으로 일컫는 말

謹封

근봉

①봉치 싼 보자기에 끼우는 근봉이라는 두 글자를 쓴 종이  ②「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나 소포(小包)의 겉을 봉한 자리에 쓰는 말

謹悉

근실

(글에서 남의 의견(意見)이나 형편(形便)ㆍ소식(消息) 따위를)「삼가 앎」의 뜻으로 상대편(相對便)을 높이어 이르는 말

謹拜

근배

「삼가 절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끝의 이름 아래 쓰는 말

謹緘

근함

「삼가 글월을 올립니다」의 뜻으로,  편지(便紙) 겉봉의 뒤쪽 봉한 자리에 흔히 쓰는 말

謹言

근언

「삼가 말씀을 드림」이란 뜻으로,  편지(便紙) 끝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貴中

귀중

편지(便紙)나 물품(物品)을 받는 단체(團體)의 이름 밑에 쓰는 말

貴命

귀명

남의 명령(命令)의 높임말. 흔히 편지(便紙) ()에서 쓰임

轉交

전교

①서류(書類) 따위를 다른 사람의 손을 거쳐서 교부(交付)함  ②다른 사람의 손을 거쳐서 받게 함의 뜻으로 편지(便紙) 겉봉에 쓰는 말

追伸

추신

뒤에 추가(追加)하여 말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에서 글을 덧붙여 쓸 때 글 머리에 쓰는 말

追申

추신

☞ 추신(追伸)

開坼

개탁

봉한 편지(便紙)나 서류(書類)를 「뜯어 보라」는 뜻으로,  주로 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편지(便紙) 겉봉에 쓰는 말

閣筆

각필

「글 쓰는 붓을 깍지에 꽂는다」는 뜻으로,  ①(글을 지을 때 남의 글이 뛰어나므로)쓰던 글을 멈추고 붓을 놓음  ②(편지(便紙) 따위에서)쓰던 글을 다 끝내고 붓을 놓음

除煩

제번

잡다(雜多)한 인사말(人事-)을 덜어 버리고 할 말만 적는다는 뜻으로,  한문(漢文) 편지(便紙)의 첫머리에 쓰는 말

除禮

제례

한문(漢文) 투의 편지(便紙) 첫머리에, 갖추어야 할 예의(禮儀)를 다 갖추지 못함의 뜻으로 쓰는 말

雁信

안신

기러기가 전()해 주는 편지(便紙)란 뜻으로,  지금은 단순(單純)히 편지(便紙)라는 뜻으로 사용(使用). 편지(便紙), 소식(消息), 안서(雁書), 안백(雁帛)이라고도 함

雁書

안서

철따라 이동(移動)하는 기러기가 먼 곳에 소식(消息)을 전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를 일컫는 말

雁札

안찰

기러기가 전()해 주는 편지(便紙)란 뜻으로,  지금은 단순(單純)히 편지(便紙)라는 뜻으로 사용(使用). 편지(便紙), 소식(消息), 안서(雁書), 안백(雁帛)이라고도 함

雅鑑

아감

'보아주십시오' 라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쓰거나 그린 서화(書畫)들을 남에게 증정(贈呈)할 때에 쓰는 말

雅鑒

아감

☞ 아감(雅鑑)

頓首再拜

돈수재배

①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을 함  ②또는, 그렇게 하는 절

題目之件

제목지건

☞ 수제지건(首題之件)

題記之件

제기지건

☞ 수제지건(首題之件)

餘不備禮

여불비례

'나머지는 예()를 갖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끝에 쓰는 말

首題之件

수제지건

공문(公文)을 작성(作成)할 때 '수제(首題)에 관()하여'란 뜻으로,  본문(本文)의 첫머리에 쓰던 낡은 투

鯉素

이소

편지(便紙), 서찰(書札). 잉어의 뱃속에 편지(便紙)가 있었다는 고사(故事)에 유래(由來)

不一

불일

①불일치(不一致)  ②같지 아니함. 한결같이 고르지 않음  ③「다 갖추어 말하지 못함」이라는 뜻으로, 편지(便紙) 끝에 쓰는 「불비」의 낮은말

不備禮

불비례

()를 갖추지 못했음. 한문(漢文) 투의 편지(便紙) 끝에 씀

不宣

불선

'아직 쓸 말은 많으나 다 쓰지 못했음'의 뜻으로,  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한문(漢文) 투의 편지(便紙) 끝에 쓰는 말

省禮

생례

예절(禮節)을 덜고 쓴다는 뜻으로,  상제(喪制)나 중복인에게 보내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이는 말

旅次

여차

여행(旅行) ()에 머무르고 있는 곳. 여행(旅行) ()인 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편지(便紙)에 쓰임

旅體

여체

'객지(客地)에 있는 몸'이란 뜻으로,  편지(便紙)에서 상대(相對)를 높이어 안부(安否)를 물을 때 쓰는 말

…………………………………………………….

 


절기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42)

 

一陽來復

일양내복

동지(冬至)를 고비로 음기(陰氣)가 사라지고, 양기(陽氣)가 다시 온다는 뜻으로,  ①나쁜 일이나 괴로운 일이 계속(繼續)되다가 간신히 행운(幸運)이 옴을 이르는 말 ②동짓달(冬至-)이나 동지(冬至)를 이르는 말  ③겨울이 가고 봄이 돌아옴

仲秋節

중추절

☞ 추석(秋夕)

冬將軍

동장군

'겨울'의 딴이름. 인간(人間)이 대항(對抗)할 수 없을 만한 겨울의 위력(威力)을 인격화(人格化)하여 일컫는 말임

冬至

동지

24절후(節侯)의 하나. 스물둘째의 절후(節侯)로서 대설(大雪)의 다음임. 12 22-23일 무렵에 해당(該當)하고 음력(陰曆)으로는 동짓달에 듦. 태양(太陽)이 남() 회귀선(回歸線), 곧 적도(赤道) 이남(以南)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인데, 이때 북반구(北半球)에서는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南半球)에서는 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음

夏月飛霜

하월비상

여름철에도 서리가 내림

夏至

하지

24절기(節氣)의 하나.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6 21일이나 22일이 됨. 해가 하지선(夏至線)에 이르면, 북반구(北半球)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음

大寒

대한

①지독(至毒)한 추위  ②24절후(節侯)의 마지막 절후(節侯). 소한(小寒)의 다음, 양력(陽曆) 1 21일 무렵으로, 태양(太陽)의 황경(黃經) 300°인 때

大暑

대서

①몹시 심한 더위. 혹서(酷暑)  ②24절후(節侯)의 하나. 태양(太陽)의 황경(黃經) 120°에 달한 때로서 양력(陽曆) 724일 무렵에 해당(該當)

大雪

대설

24 절후(節侯)의 하나. 태양(太陽)의 황경(黃經) 255°에 달한 때로서 양력(陽曆) 12 8일 무렵에 해당(該當)함  ②많이 오는 눈. 이 날 눈이 많이 오면 다음 해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을 난다고 전()해짐

天高馬肥

천고마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가을이 썩 좋은 절기(節氣)임을 일컫는 말. 가을이 좋은 계절(季節)임을 나타낼 때 흔히 쓰는 말이나 원래(原來)는 옛날 중국(中國)에서 흉노족의 침입(侵入)을 경계(警戒)하고자 나온 말임

寒露

한로

24절기(節氣)의 열일곱 째. 추분(秋分)과 상강의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10 8일이나 9일 무렵.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찬 이슬이 맺히는 때로 농촌에서는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秋收)를 끝내려고 타작(打作)이 한창임

小寒

소한

24절기(節氣)의 하나. 1 6일 무렵으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음. 연중(年中) 가장 추운 때임

小暑

소서

24절기(節氣)의 열한 번째. 7 7일 무렵으로,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있음

小滿

소만

24절기(節氣)의 하나. 만물(萬物)이 점차 성장(成長)하여 가득찬다는 의미(意味)

小雪

소설

①적게 오는 눈  ②24절기(節氣)의 스무 번째.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로, 양력(陽曆) 11 22일 무렵. 이 무렵부터 눈이 내리기 시작(始作)한다고 함

建陽多慶

건양다경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旣望

기망

음력(陰曆)으로 매달 16,  이미 망월(望月:15)이 지났다는 뜻에서 16

日暖風和

일난풍화

일기(日氣)가 따뜻하고 바람이 온화(溫和)

春分

춘분

24절기(節氣)의 넷째.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로 양력(陽曆) 3 21일 무렵, 주야(晝夜)의 길이가 같음

春夏秋冬

춘하추동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季節)

晩秋佳景

만추가경

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景致)

木旺之節

목왕지절

오행(五行)의 목기(木氣)가 성()하는 때. 곧 봄철을 달리 이르는 말

歲寒孤節

세한고절

①추운 계절(季節)에도 혼자 푸르른 대나무  ②겨울

淸明

청명

①날씨가 맑고 밝음  ②24절기(節氣)의 하나, 춘분(春分)과 곡우(穀雨)의 사이로, 양력(陽曆) 4 56일께

火旺之節

화왕지절

오행(五行)에서 화기(火氣)가 왕성(旺盛)한 절기(節氣)라는 뜻으로,  '여름'을 이르는 말

炎節

염절

여름철. 몹시 더운 계절(季節)이라는 뜻으로, 여름을 달리 이르는 말

白露

백로

24절기(節氣)의 열다섯째. 처서와 추분(秋分) 사이에 듦  ②흰 이슬

秋分

추분

24절기(節氣) 16번째. 白露(백로)寒露(한로) 사이의 절기(節氣), 양력(陽曆) 9 20일 무렵,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음

穀雨

곡우

24절기(節氣)의 여섯째.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4 20일이나 21 일이 됨

芒種

망종

24절기(節氣)의 하나. 양력(陽曆) 6 5일 무렵으로, 보리가 익고 모를 심기 좋은 때

處暑

처서

스물 네 절기(節氣)의 하나. 입추(立秋)와 백로(白露)의 사이에 있는 절기(節氣). 양력(陽曆) 8 22일쯤에 듦. 태양(太陽)이 황경(黃經) 150°에 달하는 시각(時刻)

送舊迎新

송구영신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는 뜻으로,  ①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  ②구관(舊官)을 보내고, 신관(新官)을 맞이함

雨水

우수

①빗물  ②24절기(節氣)의 하나. 양력(陽曆) 219일 무렵으로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음. 날씨가 많이 풀려 초목이 싹트는 시기(時期)

霜降

상강

24절기(節氣) 가운데 열여덟째 절기(節氣), 양력(陽曆) 10 24일 무렵, 가을 마지막 절기(節氣)

餘寒

여한

(겨울이 지난 뒤에도)아직 사라지지 않고 남은 추위. 입춘(立春)이 지난 후의 추위

驚蟄

경칩

24절기(節氣)의 하나. 양력(陽曆) 3 5일 무렵으로, 벌레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때라고 함

綠陰芳草

녹음방초

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그늘과 꽃다운 풀이라는 뜻으로,  여름의 아름다운 경치(景致)

立冬

입동

24절기(節氣)의 열아홉째. 상강과 소설(小雪)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11 7일이나 8일이 됨

立夏

입하

24절기(節氣)의 일곱째.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5 5일이나 6일이 됨.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始作)된다는 뜻임

立春

입춘

24절기(節氣)의 첫째. 대한과 우수(雨水)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2 4일이나 5일이 됨. 이때부터 봄이 시작(始作)된다는 뜻임

立春大吉

입춘대길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立秋

입추

24절기(節氣)의 열셋째. 대서와 처서 사이에 드는데, 양력(陽曆) 8 8일이나 9일이 됨. 이때부터 가을이 시작(始作)된다는 뜻임

…………………………………………………

 

 

호칭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401)

 

七寸

칠촌

①일곱 치  ②아버지의 육촌(六寸), 또는 자기(自己) 육촌(六寸)의 자녀(子女)

丈人

장인

아내의 친정(親庭) 아버지

丈母

장모

아내의 친정(親庭) 어머니

丈祖

장조

☞ 처조부(妻祖父)

丈祖父

장조부

아내의 할아버지

三嚴

삼엄

세 사람의 엄한 사람이란 뜻으로,  임금과 아버지와 스승을 일컬음

三堂叔

삼당숙

아버지의 팔촌(八寸) 형제(兄弟)

三堂叔母

삼당숙모

아버지의 팔촌(八寸) 형제(兄弟)의 아내

三寸

삼촌

①한 자의 10분의 3, 즉 세 치  ②아버지의 친형제(親兄弟). 백부(伯父)나 숙부(叔父)  ③직계(直系)로는 자기(自己)나 배우자(配偶者)로부터 3대를 격한 존속친(尊屬親)이나 비속친(卑屬親)

三從兄

삼종형

팔촌(八寸) ()

三從兄弟

삼종형제

고조(高祖)가 같고 증조(曾祖)가 다른 형제(兄弟). 재종숙(再從叔)의 자녀(子女)

三從叔

삼종숙

아버지의 팔촌(八寸) 형제(兄弟). 구촌(九寸) 아저씨

三從叔母

삼종숙모

구촌(九寸) 아저씨의 부인(夫人)

三從妹

삼종매

팔촌(八寸) 누이

三從妹夫

삼종매부

팔촌(八寸) 누이의 남편(男便)

三從姪

삼종질

팔촌(八寸) 형제(兄弟)의 아들. 구촌(九寸) 조카

三從嫂

삼종수

팔촌(八寸) 형제(兄弟)의 아내

三從孫

삼종손

칠촌(七寸) 조카의 아들

三從弟

삼종제

팔촌(八寸) 동생

三從祖

삼종조

할아버지의 육촌(六寸) 형제(兄弟)

世父

세부

아버지의 맏형

乃公

내공

임금이 신하(臣下)에게 또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자기(自己)를 일컫는 말. 그 사람

乃父

내부

①그 아버지  ②아버지가 아들에게 '네 아비', 또는 '이 아비'라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가리켜 일컫는 말

乃祖

내조

그이의 할아버지. 할아버지가 손자(孫子)에게 '네할아비' 또는 '이 할아비'라는 뜻으로 자기자신(自己自身)을 일컫는 말

乃翁

내옹

①그 아버지  ②아버지가 아들에게 '네 아비', 또는 '이 아비'라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가리켜 일컫는 말

五大祖

오대조

고조(高祖)의 어버이. 곧 현조(玄祖)

五寸

오촌

①다섯 치  ②아버지의 사촌(四寸)이나 아들의 사촌(四寸). , 종숙(從叔) 또는 종질(從姪)

五寸戚

오촌척

오촌(五寸)이 되는 친척(親戚)

亞父

아부

「아버지 다음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흔히 임금이 공신(功臣)을 존경(尊敬)하여 부르던 말. ()나라의 항우가 범증을 존경(尊敬)하여 부른 말에서 왔음

亡兒

망아

죽은 아이

亡夫

망부

죽은 남편(男便)

亡父

망부

죽은 아버지

仁兄

인형

벗에 대()한 높임말, 친구(親舊)끼리 상대편(相對便)을 대접(待接)하여 부르는 인칭(人稱) 대명사(代名詞)

仍孫

잉손

곤손(昆孫)의 아들. 곧 칠대손(七代孫)

仲父

중부

둘째 아버지

伯仲叔季

백중숙계

형제(兄弟)의 차례(次例)를 나타내는 말. ()은 맏이, ()은 둘째, ()은 셋째, ()는 막내

伯從祖

백종조

큰할아버지

伯母

백모

큰어머니. 아버지 맏형의 아내를 이르는 말

伯父

백부

큰아버지. 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

伯祖

백조

큰할아버지

伯組父

백조부

큰할아버지

使孫

사손

자녀(子女)가 없이 죽은 이의 재산(財産)을 그의 가까운 친척(親戚)으로서 이어받는 사람. 조카, 증손(曾孫), 삼촌(三寸), 사촌(四寸) ()

假母

가모

핏줄이 다른 어머니. 양모, 계모(繼母) 또는 아버지의 첩()

偏母

편모

(아버지가 죽거나 하여) 홀로 있는 어머니

兄郞

형랑

언니의 남편(男便)

先人

선인

①돌아가신 아버지  ②전대(前代)의 사람

先伯父

선백부

돌아가신 큰 아버지

先叔父

선숙부

돌아가신 작은 아버지

先嚴

선엄

돌아가신 아버지

先堂

선당

①남의 어머니의 경칭(敬稱). 모당(母堂). 모부인(母夫人)  ②천자(天子)를 낳은 부인(夫人)

先大人

선대인

남의 돌아가신 아버지를 일컫는 말

先大夫人

선대부인

남의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컫는 말

先夫人

선부인

남의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컫는 말

先妣

선비

세상(世上)을 떠난 어머니

先慈

선자

세상(世上)을 떠난 어머니

先父

선부

돌아가신 아버지

先父君

선부군

선고(先考)의 높임말

先王大夫人

선왕대부인

돌아가신 남의 할머니에 대()한 높임말

先生

선생

①학생(學生)을 가르치는 사람. 학예(學藝), 기예(技藝) ()을 남에게 가르치는 사람  ②자기(自己)보다 학식(學識)이 높은 사람을 높이어 일컫는 말  ③남을 존대(尊待)하여 부르는 말. 흔히 성이나 직명(職名) 다음에 붙이어 씀  ④어떤일에 경험(經驗)이 많거나 학예(學藝)가 뛰어난 사람을 비유(比喩譬喩)하여 일컫는 말  ⑤남을 비웃어 일컫는 말

先考

선고

돌아가신 아버지

先考丈

선고장

남의 돌아가신 아버지를 높이어 일컫는 말

先親

선친

자기(自己)의 돌아가신 아버지를 남에게 대()하여 일컫는 말

兒子

아자

①어린 사람  ②아들의 낮춤말

內兄弟

내형제

①외사촌(外四寸) 형제(兄弟)  ②아내의 형제(兄弟)

內外兄弟

내외형제

내종사촌(內從四寸)과 외종사촌(外從四寸)을 아울러 이르는 말

內外從

내외종

내종사촌(內從四寸)과 외종사촌(外從四寸)

內子

내자

남에게 대()하여 「자기(自己)의 아내」를 일컫는 말. 옛날 중국(中國)에서 「경대부의 정실」을 일컫던 말.

內從

내종

고종사촌(姑從四寸)을 외종사촌(外從四寸)에 상대(相對)하여 일컫는 말

內從兄

내종형

내종사촌(內從四寸) ()

內從兄弟

내종형제

내종사촌(內從四寸) 형제(兄弟)

內從四寸

내종사촌

고종사촌(姑從四寸)을 외종사촌(外從四寸)에 상대(相對)하여 일컫는 말

內從妹

내종매

내종사촌(內從四寸)인 누이동생

內從妹夫

내종매부

내종사촌(內從四寸) 누이의 남편(男便)

內從弟

내종제

내종사촌(內從四寸) 아우

內從氏

내종씨

내종사촌(內從四寸) ()

內相

내상

①내무성(內務省)의 최고(最高) 직위(職位)  ②또는, 그 직위(職位)에 있는 사람. 내무대신(大臣)이나 내부(內部) 대신(大臣)의 다른 이름  ③고려(高麗) 때의 지신사와 승선의 다른 이름  ④남의 아내를 높임말

再堂叔

재당숙

아버지의 육촌(六寸) 형제(兄弟)

再堂姪

재당질

육촌(六寸) 형제(兄弟)의 아들

再堂姪女

재당질녀

육촌(六寸) 형제(兄弟)의 딸

再從

재종

육촌(六寸)의 형제(兄弟)

再從兄

재종형

육촌(六寸) ()

再從兄弟

재종형제

육촌(六寸)인 형제(兄弟)

再從叔

재종숙

아버지의 재종(再從) 형제(兄弟)

再從妹

재종매

육촌(六寸) 누이

再從妹夫

재종매부

육촌(六寸) 누이의 남편(男便)

再從姑母

재종고모

아버지의 육촌(六寸) 누이

再從姪女

재종질녀

육촌(六寸) 형제(兄弟)의 딸

再從嫂

재종수

육촌(六寸) 형제(兄弟)의 아내

再從弟

재종제

육촌(六寸) 아우

再從祖

재종조

할아버지의 종형제(從兄弟)

再從間

재종간

육촌(六寸) 형제(兄弟)인 사이

北堂

북당

①주부가 있는 곳  ②어머니  ③'남의 어머니'의 높임말

叔母

숙모

작은아버지의 아내. 작은어머니

叔父

숙부

아버지의 아우. 작은아버지

叔父母

숙부모

작은아버지와 작은어머니

叔祖父

숙조부

할아버지의 아우. 작은할아버지

同堂兄弟

동당형제

☞ 당형제(堂兄弟)

同母兄

동모형

동복(同腹)에서 난 형()

同腹兄

동복형

동복(同腹)에서 난 형()

君姑

군고

아내가 남편(男便)의 어머니를 부르는 말

君母

군모

아버지의 정실(正室)

哥哥

가가

①형을 부르는 말  ②옛날에, 아들이 아버지를 말할 때에 쓰던 말

嚴君

엄군

'엄하게 길러 주는 어버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일컫는 말

嚴父

엄부

엄한 아버지

嚴祖

엄조

엄한 할아버지

嚴親

엄친

①엄하게 길러 주는 어버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일컫는 말  ②주로 밖의 일을 보는 어버이란 뜻으로,  아버지를 일컫는 말

四寸

사촌

①네 치. 곧 한 자의 10분의 4  ②어버이의 친형제(親兄弟) 자매()의 아들이나 딸. 친사촌(親四寸)과 외사촌(外四寸), 고종(姑從), 이종(姨從) 사촌(四寸) ()이 있음  ③촌수(寸數)의 하나. 민법(民法)의 친족(親族) 규정(規定)에서 고조(高祖) 부모(父母), 조부의 형제(兄弟), 자매(), 형제(兄弟), 자매()의 손자(孫子) ()과 같이 4대를 격한 사람과의 관계(關係)

四寸妹夫

사촌매부

사촌(四寸) 누이의 남편(男便)

國胄

국주

「임금의 장자(長子)」라는 뜻으로,  태자(太子) 또는 세자(世子)를 이르는 말

國舅

국구

왕비(王妃)의 친정(親庭)아버지. 곧 임금의 장인(丈人)

堂兄弟

당형제

☞ 종형제(從兄弟)

堂內至親

당내지친

①팔촌(八寸) 이내(以內)의 친척(親戚)  ②가장 가까운 일가(一家)

堂姑母

당고모

「종고모(從姑母)」의 친근(親近)한 일컬음

堂姪

당질

사촌(四寸)의 아들. 오촌(五寸) 조카, 종질(從姪)을 친근(親近)하게 일컫는 말

外三寸

외삼촌

외숙(外叔)을 친근(親近)히 일컫는 말

外兄弟

외형제

①고모(姑母)의 아들. 고종(姑從) 형제(兄弟)  ②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형제(兄弟)

外叔

외숙

어머니의 남자(男子) 형제(兄弟)

外叔父

외숙부

☞ 외숙(外叔)

外弟

외제

①손아래 처남  ②이종제(姨從弟)  ③아버지가 다른 동생

外從

외종

☞ 외종사촌(外從四寸)

外從兄

외종형

외종사촌(外從四寸) 뻘 되는 형()

外從兄弟

외종형제

외종사촌(外從四寸) 뻘 되는 형()이나 아우

外從叔

외종숙

어머니의 사촌(四寸) ()이나 아우

外從祖父

외종조부

외할아버지의 형이나 아우

外祖母

외조모

외할머니

外祖父

외조부

외할아버지

外翁

외옹

외할아버지. 자기 어머니의 친정(親庭)아버지

大人

대인

①거인(巨人), 성인(成人), 대인 군자(君子). 높은 신분(身分)ㆍ지위(地位)ㆍ관직(官職)에 있는 사람  ②남의 아버지의 존칭(尊稱). 남에게 대()한 경칭(敬稱)  ③고구려(高句麗) 때의 벼슬이름. 오부(五部)의 으뜸 벼슬임

大兄

대형

①친구(親舊) ()에 편지(便紙)할 때에, 벗을 높이어 쓰는 말  ②고구려(高句麗) 후기(後期) 직제(職制) 5(五品)쯤 되는 벼슬, 교지(敎旨), 사교(司敎)ㆍ정교(正敎)의 교직(敎職)을 가진 사람을 높이는 말

大夫人

대부인

①남의 어머니의 경칭(敬稱). 모당(母堂). 모부인(母夫人)  ②천자(天子)를 낳은 부인(夫人)

大姑母

대고모

아버지의 고모(姑母). , 할아버지의 누이

大姑母夫

대고모부

대고모(大姑母)의 남편(男便)

大王大妃

대왕대비

왕의, 살아 있는 할머니를 지칭하는 말

太太

태태

'어머니'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太皇太后

태황태후

「황제의 할머니」를 그가 살아 있을 동안에 이르는 말. 실가의 항렬(行列)은 치지 않고 황통만 침

奴輩

노배

「자식(子息)들」, 「놈들」의 뜻으로,  남을 얕잡는 말

妹兄

매형

손윗누이의 남편(男便)

妻五寸

처오촌

아내의 친정(親庭) 오촌(五寸)

妻四寸

처사촌

아내의 친정(親庭) 사촌(四寸)

妻祖父

처조부

아내의 할아버지

妾丈人

첩장인

첩의 친정(親庭) 아버지

妾丈母

첩장모

첩의 친정(親庭) 어머니

姉兄

자형

☞ 자형()

자형

손위누이의 남편(男便)

자서

☞ 매형(妹兄)

자부

☞ 자형()

婿

자서

☞ 매형(妹兄)

姑公

고공

①시아버지와 시어머니  ②왕고모부(王姑母夫). 할아버지의 자형이나 매제

고자

아버지의 손윗누이

고자매

아버지의 누이

姑從

고종

고종사촌(姑從四寸)의 준말

姑從兄

고종형

자기(自己)보다 나이가 위인 고종사촌(姑從四寸)

姑從四寸

고종사촌

고모(姑母)의 아들과 딸

姑從弟

고종제

자기(自己)보다 나이가 아래인 고종사촌(姑從四寸)

姑從氏

고종씨

남을 높이어, 그의 고종사촌(姑從四寸)을 이르는 말

姑母

고모

아버지의 누이, 아버지의 여형제(女兄弟)

姑舅

고구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남편(男便)의 아버지와 어머니

姨兄弟

이형제

이종사촌(姨從四寸) 형제(兄弟)

姨叔

이숙

이모(姨母)의 남편(男便)

姨叔丈

이숙장

남의 이모부(姨母夫)를 이르는 말

姨子

이자

이종사촌(姨從四寸). 어머니의 여자(女子) 형제(兄弟)의 자녀(子女)

姨從

이종

☞ 이종사촌(姨從四寸)

姨從兄

이종형

이종사촌(姨從四寸)인 형()을 이르는 말

姨從妹

이종매

이종사촌(姨從四寸)의 누이동생

姨母

이모

어머니의 자매()

姻兄

인형

☞ 매형(妹兄)

婦公

부공

아내의 아버지

媤兄

시형

남편(男便)의 형. 시아주버니

媤外祖父

시외조부

남편(男便)의 외할아버지

媤姑母夫

시고모부

남편(男便)의 고모부. 시고모의 남편(男便)

媤姨母父

시이모부

시이모(媤姨母)의 남편(男便). 남편(男便)의 이모부(姨母夫)

媤母

시모

시어머니

媤父

시부

시아버지

媤父母

시부모

남편(男便)의 부모(父母). 곧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媤祖父

시조부

시할아버지

媤菽

시숙

시아주버니. 남편(男便)의 형제(兄弟)

嫡兄

적형

서자(庶子)가 자기(自己) 아버지의 정실에서 난 형을 이르는 말

嫡弟

적제

서자(庶子)가 자기(自己) 아버지의 정실에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嫡母

적모

서자(庶子)가 아버지의 정실을 이르는 말. 큰어머니

季妹

계매

손아래 누이의 남편을 이르는 말

季父

계부

아버지의 막내 아우, 막내 삼촌(三寸)

孤女

고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만 있는, 상중(喪中)에 있는 여자(女子)가 자기(自己)를 일컫는 말

孤子

고자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만 모시고 있는 사람이 상중(喪中)에 있을 때 자기(自己)를 일컫는 말

孫兒

손아

아들의 아들

孫子

손자

①아들이 낳은 아들  ②중국(中國) 춘추(春秋)ㆍ전국시대(戰國時代)의 전략가(戰略家). 손무(孫武)의 존칭(尊稱)  ③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손무(孫武)가 저술(著述)한 병서(兵書). 전략(戰略) 전술(戰術)의 법칙(法則), 준거(準據)의 상세(詳細)한 내용(內容)을 설명(說明).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전쟁(戰爭) 체험(體驗)의 집대성(集大成)으로, 간결(簡潔) 경발(警拔)한 기술(記述)에 의()한 명문(名文)으로 알려짐. 후세(後世)의 병학(兵學)에의 영향(影響)이 큼. 1 3

家人

가인

①한집안 사람  ②「자기(自己) 집안 사람」을 이르는 말  ③아내  ④가인괘(家人卦)

家兒

가아

남에게 자기(自己) 아들을 이르는 말

家君

가군

①남에게 대()하여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돌아간 뒤에는 남에게 대()하여 선친(先親), 선인(先人)이라 이름  ②남에게 대()하여 자기(自己)의 남편(男便)을 이르는 말

家嚴

가엄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家大人

가대인

남에게 자기(自己) 아버지를 높이어 이르는 말. 자기(自己)에게 제일(第一) 소중(所重)한 어른이라는 뜻으로 씀

家尊

가존

①남의 아버지를 높이어 이르는 말  ②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높이어 이르는 말

家慈

가자

자기(自己)의 어머니를 남에게 이르는 말. 글에서 씀

家母

가모

①남 앞에서 자기(自己) 어머니를 일컫는 말  ②한 집안의 주부

家父

가부

①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②고대(古代) 로마에서 가장권(家長權)의 주체(主體)가 된 사람. 반드시 아버지만은 아니며 가족(家族)에 대()해서 절대적(絶對的)인 권력(權力)을 가졌음  ③남에게 대()하여 자기(自己)의 남편(男便)을 이르는 말

家祖

가조

①남에게 「자기(自己)의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②한 집안의 조상(祖上)

家親

가친

남에게 대()하여 자기(自己) 아버지를 이르는 말

家豚

가돈

「미련한 아들」이란 뜻으로,  남에게 대()하여 자기(自己)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寡母

과모

홀로 된 어머니

實母

실모

친어머니

實父

실부

친아버지

…………………………………………………………

 


나이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68)

 

七旬

칠순

나이 70. 일흔 살까지 산다는 것은 옛날에는 드문 일이다는 뜻

七秩

칠질

(한 질() 10년 동안) 61세부터 70세까지

三十而立

삼십이립

서른 살이 되어 자립(自立)한다는 뜻으로,  학문(學問)이나 견식(見識)이 일가(一家)를 이루어 도덕(道德) ()으로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上壽

상수

①보통(普通) 사람보다 아주 많은 나이. 또는 그 사람  ②사람의 수명(壽命)을 상(), (), 하로 나눌 때, 가장 많은 나이로서, 100세를 말함, 또는 100세 이상(以上)된 노인(老人)  ③120세  ④헌수(獻壽)

九秩

구질

아흔 살. 90

二八靑春

이팔청춘

열여섯 살 전후(前後)의 젊은이, 젊은 나이

二毛

이모

①검은 털과 흰 털  ②이모지년(二毛之年)

二毛之年

이모지년

센 털이 나기 시작(始作)하는 나이라는 뜻으로,  32살을 이르는 말

五十天命

오십천명

「오십(五十)이 되어 천명(天命)을 안다」라는 뜻으로,  쉰 살을 달리 이르는 말.

享年

향년

한평생(-平生) 살아 누린 나이라는 뜻으로,  죽은 사람의 나이를 말함

傘壽

산수

()자의 팔()과 십()을 팔십(八十)으로 간주(看做)하여 80세를 일컬음

八旬

팔순

80일  ②여든 살. 80

冠歲

관세

남자(男子) 나이 20

冠童之別

관동지별

어른과 아이와의 구별(區別)

半百

반백

백의 절반(折半), 또는 백 살의 절반(折半)

卒壽

졸수

()의 약자의 모양(模樣)에서 따와 졸수(卒壽)는 구십(九十), 90

古稀

고희

70세를 일컬음. 일흔 살까지 산다는 것은 옛날에는 드문 일이다는 뜻.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한 말

喜壽

희수

()자를 칠로도 썼기 때문에 희수(喜壽) + 세  즉, 77세를 일컬음

回甲

회갑

60세의 생일(生日). 나이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61)

壯年

장년

①기운(氣運)이 씩씩하여 한창 활동(活動)이 활발(活潑)한 시기(時期)  ②또는 그런 사람

壽宴

수연

장수(長壽)함을 축하(祝賀)하는 잔치. 보통 환갑잔치(還甲--)를 말함

壽筵

수연

☞ 수연(壽宴)

大椿之壽

대춘지수

☞ 장수(長壽)

弱冠

약관

남자(男子)가 스무 살에 관례(冠禮)를 한다는 데서,  남자(男子)의 스무 살 된 때를 일컫는 말

弱齡

약령

☞ 약년(弱年)

强壯之年

강장지년

원기왕성(旺盛)한 나이, 즉 삼사십대를 이르는 말

從心

종심

공자(孔子) 70세가 되어 뜻대로 행()하여도 도()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데서 나온 말. 70세를 일컬음

志學

지학

①학문(學問)에 뜻을 둠  ②15세를 일컬음

懸輿

현여

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①'늙어서 벼슬을 그만둠'  ②또는 '나이 일흔 살'을 이르는 말

成童

성동

열다섯 살 된 소년(少年)

春秋鼎盛

춘추정성

①혈기(血氣) 왕성(旺盛)한 나이를 이르는 말  ②제왕(帝王)의 나이가 젊음

望七

망칠

일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 한 살을 일컫는 말

望九

망구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여든 한 살'을 일컫는 말

望九旬

망구순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여든 한 살의 일컬음

望五

망오

①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 하나를 일컫는 말  ②궁중(宮中)에서 임금, 왕후(王后), 왕대비(王大妃)의 나이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푸는 경축연(慶祝宴)

望八

망팔

「여든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일흔 한 살을 일컫는 말

望六

망륙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쉰 한 살'을 일컫는 말

望百

망백

백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아흔 한 살'을 일컫는 말

기이

백 살의 나이. 사람의 수명(壽命) 100년으로써 기()로 하므로 '기'라 한 것임. ()는 양(), 곧 몹시 늙어서 음식(飮食)ㆍ기거(起居)가 모두 다른 사람에게 걸린다는 뜻

白壽

백수

「백()」에서 일()을 빼면「백()」즉 에서 하나를 빼면 99세가 됨

白首之年

백수지년

'늙은 나이'를 일컫는 말

白首殘年

백수잔년

머리가 세고 죽을 날이 가까운 늙바탕

眉壽

미수

「눈썹이 희고 길게 자라도록 오래 사는 수명(壽命)」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대()하여 축수(祝壽)할 때에 쓰는 말

知命

지명

공자(孔子) 50세가 되어 천명(天命)을 알았다고 한 데서 온 말. 50세를 일컬음

知命之年

지명지년

천명(天命)을 알 나이라는 뜻으로,  나이 오십을 이르는 말

知天命

지천명

나이 50세를 말함. 50세에 드디어 천명(天命)을 알게 된다는 나이

破瓜之年

파과지년

①여자(女子)의 나이 16세를 이르는 말,  곧 오이 과() 자를 파자(破字)하면 여덟 팔() ()가 둘이 되므로 이팔(二八)이 십육(十六)이 됨  ②남자(男子)의 나이 64세를 이르는 말,  곧 여덟 팔() ()가 두 개이므로 팔팔(八八)이 육십사(六十四)가 됨, 줄여서 파과(破瓜)라고도 함

稀壽

희수

(사람 나이의) 일흔 살

米壽

미수

「미()」자를 분해(分解)하면 팔십팔(八十八)이 되기 때문에 미수(米壽)는 '여든 여덟 살(88)'의 다른 이름

而立

이립

30세를 일컬음  ②30살 쯤에 가정(家庭)과 사회(社會)에 모든 기반(基盤)을 닦는다는 나이

耳順

이순

나이 60세를 이르는 말로,  공자(孔子) 60세가 되어 천지(天地) 만물(萬物)의 이치(理致)에 통달(通達)하게 되고, 듣는 대로 모두 이해(理解)하게 된 데서 온 말

艾年

애년

쉰 살. 50. 머리털이 세어서 쑥 같으므로 이렇게 말함

艾老

애로

쉰 살 넘은 사람

芳年

방년

여자(女子) 20세 전후(前後)의 꽃다운 나이

華甲

화갑

61세를 일컬음. 「화()」자는 십()이 여섯 개에다 일()이 하나 있으므로 61세를 나타내며, 회갑(回甲) 또는 환갑(還甲)이라고도 함

賀壽宴

하수연

☞ 수연(壽宴)

賀壽筵

하수연

☞ 수연(壽筵)

進甲

진갑

환갑(還甲)보다 한 해 더 나아간 해란 뜻으로, 62세를 일컬음

還甲

환갑

①나이 만 60세를 가리키는 말 ②61세 때의 생신으로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干支)가 돌아왔다는 의미(意味)

靑春

청춘

만물(萬物)이 푸른 봄철이라는 뜻으로,  ①십 대 후반(後半)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人生)의 젊은 나이  ②또는, 그 시절(時節)

髫齔

초츤

다박 머리에 앞니를 갈 무렵의 어린아이란 뜻으로,  '일곱이나 여덟 살의 어린 때'를 이르는 말

鶴齡

학령

두루미의 나이. 곧 오래 산 늙은이의 연령(年齡)을 이르는 말

鷄皮鶴髮

계피학발

「살갗은 닭의 가죽처럼 야위고 머리칼은 학의 털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 사람을 이르는 말

龜齡

귀령

거북의 나이. 곧 '매우 긴 수명(壽命)'의 비유(比喩譬喩)

不惑

불혹

미혹(迷惑)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 살을 일컫는 말

不惑之年

불혹지년

세상일(世上-)에 미혹(迷惑)되지 않는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不惑之歲

불혹지세

불혹(不惑)의 나이. , 마흔 살

六旬

육순

  1. 순 날  ②예순 살(60일 또는 60)

……………………………………………………

 



가난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49)

 

三旬九食

삼순구식

「삼순, 곧 한 달에 아홉 번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린다는 말

三間草家

삼간초가

「세 칸짜리 초가(草家)」라는 뜻으로,  아주 보잘것없는 초가(草家)를 이르는 말.

三間草屋

삼간초옥

썩 작은 초가(草家)

上漏下濕

상루하습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濕氣)가 차 오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上雨傍風

상우방풍

☞ 상우방풍(上雨旁風)

上雨旁風

상우방풍

「위로부터 비가 새고, 옆으로부터는 바람이 들이친다」는 뜻으로,  비바람에 시달리는 낡은 집을 말함

傷哉之嘆

상재지탄

☞ 상재지탄(傷哉之歎)

傷哉之歎

상재지탄

살림이 군색(窘塞)하고 가난함에 대()한 한탄(恨歎)

區區生活

구구생활

겨우겨우 지내는 생활(生活)

安分知足

안분지족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만족(滿足)하여 다른 데 마음을 두지 아니함

安貧樂道

안빈낙도

①구차(苟且)하고 궁색(窮塞)하면서도 그것에 구속(拘束)되지 않고 평안(平安)하게 즐기는 마음으로 살아감  ②가난에 구애(拘礙)받지 않고 도()를 즐김

家徒四壁

가도사벽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家徒壁立

가도벽립

「빈한(貧寒)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히 구차(苟且)함을 이르는 말

家無擔石

가무담석

「석()은 한 항아리, ()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家貧落魄

가빈낙탁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寒烟

한연

☞ 한연(寒煙)

寒煙

한연

「쓸쓸하게 올라오는 연기(煙氣)」라는 뜻으로,  「집이 가난함」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擊鐘鼎食

격종정식

「종을 쳐서 식솔(食率)을 모아 솥을 걸어 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敝衣破冠

폐의파관

「해어진 옷과 부서진 갓」이라는 뜻으로,  너절하고 구차(苟且)한 차림새를 이르는 말

敝衣破笠

폐의파립

☞ 폐포파립(敝袍破笠)

敝袍破笠

폐포파립

「해진 옷과 부러진 갓」이란 뜻으로,  너절하고 구차(苟且)한 차림새를 말함

朝秦暮楚

조진모초

「아침에는 북쪽의 진()나라로, 저녁에는 남쪽의 초()나라로 간다」는 뜻으로,  ①일정(一定)한 주거지(住居址)가 없이 유랑함  ②이 편에 붙었다 저 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枯魚之肆

고어지사

「목마른 고기의 어물전(魚物廛)」이라는 뜻으로,  매우 곤궁(困窮)한 처지를 비유(比喩譬喩)

桂玉之嘆

계옥지탄

식량(食糧) ()하기가 계수나무(桂樹--) ()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하기가 옥을 구()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桂玉之愁

계옥지수

「땔나무는 계수나무(桂樹--)와 같고 쌀은 옥과 같이 귀해서 근심」이라는 뜻으로,  양식(糧食)과 땔감이 매우 귀()하여 생활(生活)이 빈곤(貧困)함을 두고 이르는 말

桑戶

상호

「뽕나무로 만든 지겟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

櫛雨

즐우

☞ 즐풍목우(櫛風沐雨)

櫛風

즐풍

☞ 즐풍목우(櫛風沐雨)

櫛風沐雨

즐풍목우

「바람에 머리를 빗고, 비에 몸을 씻는다」는 뜻으로,  긴 세월(歲月)을 이리저리 떠돌며 갖은 고생(苦生)을 다함을 이르는 말

淸貧樂道

청빈낙도

청렴결백(淸廉潔白)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김

甕牖繩樞

옹유승추

「깨진 항아리의 주둥이로 창을 하고, 새끼로 문을 단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男負女戴

남부여대

「남자(男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女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災難)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것을 이르는 말

疏食菜羹

소사채갱

「거친 음식(飮食)과 나물국」이란 뜻으로,  청빈(淸貧)하고 소박(素朴)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窮途之哭

궁도지곡

가난으로 겪는 슬픔을 이르는 말

簞瓢陋巷

단표누항

「도시락과 표주박과 누추(陋醜)한 거리」라는 뜻으로,  소박(素朴)한 시골 생활(生活)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簞食瓢飮

단사표음

「대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좋지 못한 적은 음식(飮食)

米珠薪桂

미주신계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桂樹--)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生活)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糊口

호구

「입에 풀 칠이나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가는 일」을 이르는 말

糟糠不飽

조강불포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草家三間

초가삼간

「세 칸짜리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보잘것없는 초가를 이르는 말

衣履弊穿

의리폐천

「옷은 헤어지고, 신발은 구멍이 났다」는 뜻으로,  빈천한 차림을 이르는 말

貧廚

빈주

「음식(飮食)이 넉넉하지 못한 부엌」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釜中生魚

부중생어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밥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鐘鳴鼎食

종명정식

「종을 울려 식구(食口)를 모아 솥을 벌여 놓고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門前乞食

문전걸식

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며 빌어 먹음

風餐露宿

풍찬노숙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고생(苦生)스러운 생활(生活)을 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食玉炊桂

식옥취계

「식량으로 옥을 먹고, 계수나무(桂樹--)로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물가가 비싸 생활(生活)이 어려움을 이르는 말

餬口

호구

☞ 호구(糊口)

陋巷簞瓢

누항단표

「누항(陋巷)에서 사는 사람의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生活) 형편(形便)을 이르는 말

………………………………………….

 

 

고향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13)

 

丘首

구수

여우는 죽을 때에 자기(自己)가 본디 살던 산 쪽으로 머리를 둔다는 뜻으로,  ①근본(根本)을 잊지 않음  ②고향(故鄕)을 생각함

家書抵萬金

가서저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家書萬金

가서만금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의 준말

望雲之情

망운지정

구름을 바라보며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①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②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望雲之懷

망운지회

구름을 바라보며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①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②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桑梓之鄕

상재지향

여러 대()의 조상(祖上)의 무덤이 있는 고향(故鄕)

狐死首丘

호사수구

여우는 죽을 때가 되면 제가 살던 굴 있는 언덕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뜻으로,  ①근본(根本)을 잊지 않음  ②고향(故鄕)을 그리워함

白雲孤飛

백운고비

①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②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竝州之情

병주지정

①오래 살던 타향(他鄕)을 고향(故鄕)에 견주어 이르는 말  ②제2의 고향(故鄕)

竝州故鄕

병주고향

①오래 살던 타향(他鄕)을 고향(故鄕)에 견주어 이르는 말  ②제2의 고향(故鄕)

胡馬依北風

호마의북풍

「북쪽의 말은 북풍이 불 때마다 머리를 들어 북쪽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몹시 고향(故鄕)을 그리워함」의 비유(比喩譬喩)

胡馬望北

호마망북

☞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首丘初心

수구초심

여우는 죽을 때 구릉을 향()해 머리를 두고 초심으로 돌아간다라는 뜻으로,  ①근본(根本)을 잊지 않음  ②또는 죽어서라도 고향(故鄕) 땅에 묻히고 싶어하는 마음

………………………………………………..

 

 

경조사http://dicimg.naver.com/hanja/img/ico_rsquo.gif () 주제로 한 고사성어·숙어 (131)

 

乾左濕右

건좌습우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음

亞獻

아헌

제사(祭祀) 지낼 때 두 번째 잔을 올리고, 네 번 절함

人間大事

인간대사

인간(人間)의 일생(一生) () 중대(重大)한 일. 곧 결혼(結婚)과 장례(葬禮)를 이름

厚問

후문

남의 슬픈 일이나 기쁜 일에 인사(人事)의 뜻으로 물건(物件)을 많이 부조(扶助)

原稿在中

원고재중

원고(原稿)를 첨부(添附)할 때

哀慕

애모

돌아간 어버이를 슬퍼하며 사모(思慕)

回婚式

회혼식

☞ 회혼례(回婚禮)

回婚禮

회혼례

회혼(回婚)을 축하(祝賀)하는 잔치. , 결혼 60주년을 맞은 부부(夫婦)가 자손들앞에서 혼례복을 입고 기념(紀念記念)하는 의례식(儀禮式). 다이아몬드 혼식. 다이아몬드 식()

壽儀

수의

생일(生日) 예물(禮物)을 일컫음.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壽宴

수연

장수(長壽)함을 축하(祝賀)하는 잔치. 보통 환갑잔치(還甲--)를 말함

壽筵

수연

☞ 수연(壽宴)

天崩

천붕

「하늘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임금이나 부모(父母)가 돌아가시는 것을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이라 하여 이르는 말

天崩之痛

천붕지통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고통(苦痛)」이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아버지를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

奠儀

전의

부의(賻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孤女

고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만 있는, 상중(喪中)에 있는 여자(女子)가 자기(自己)를 일컫는 말

崩城之痛

붕성지통

「성()이 무너질 만큼 큰 슬픔」이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崩天之痛

붕천지통

「하늘이 무너지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버지가 돌아가신 슬픔을 이르는 말

左脯右醢

좌포우해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육포(肉脯)는 왼쪽에, 식해(食醢)는 오른쪽에 차리는 격식(格式)

左脯右醯

좌포우혜

제사상(祭祀床)을 차릴 때에 육포(肉包)는 왼쪽에, 식혜(食醯)는 오른쪽에 놓는 일

弔儀

조의

조문(弔問)하는 의식(儀式)

弔意

조의

죽은이를 슬퍼하는 마음

弔意金

조의금

조의를 나타내기 위()한 돈

恭賀新年

공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祝賀)

恭賀新禧

공하신희

☞ 근하신년(謹賀新年)

慰靈

위령

죽은 이의 영혼(靈魂)을 위로(慰勞)

摺東盞西

접동잔서

접시는 동쪽에 차리고 잔은 서쪽에 차림

敬慕

경모

존경(尊敬)하고 사모(思慕)

木婚式

목혼식

서양(西洋) 풍속(風俗)에서, 결혼(結婚) 다섯 돌을 기념(紀念記念)하는 의식(儀式). 부부(夫婦)가 나무로 된 선물(膳物)을 주고받음

棗栗梨枾

조율이시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동편에서부터 대추, , , 감 순으로 놓으며 그 외의 과일은 순서(順序)가 없음

毛織婚式

모직혼식

서양(西洋) 풍속(風俗)에서, 결혼(結婚) 마흔 돌을 기념(紀念記念)하는 의식(儀式). 부부(夫婦)가 모직물(毛織物) 선물(膳物)을 주고 받음

無祝單盞

무축단잔

기제사(忌祭祀)와 달리 차례(茶禮)는 약식(略式) 제사(祭祀)이기 때문에 잔() 드리기를 한 번만 하고 축문(祝文)을 읽지 않음

獻壽

헌수

환갑잔치(還甲--) 같은 때 오래 살기를 비는 뜻으로 잔에 술을 부어서 드림

珊瑚婚式

산호혼식

결혼(結婚) 35주년(周年週年)

生東熟西

생동숙서

생채(生菜)(김치)는 동쪽, 숙채(熟菜)(나물)은 서쪽에 차리는 격식(格式)을 뜻함

男左女右

남좌여우

음양설(陰陽說), 왼쪽이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男子)는 왼쪽이 중()하고, 여자(女子)는 오른쪽이 중()하다는 말로,  이런 뜻에서 맥ㆍ손금ㆍ자리 등도 여자(女子)는 오른쪽을, 남자(男子)는 왼쪽을 취()

直坡

직파

손아래 사람에게 보내는 경우, 남에게 보이지 않고 직접(直接) 전달(傳達) 받음을 나타냄

眞珠婚式

진주혼식

결혼(結婚) 30주년(周年週年)

碧玉婚式

벽옥혼식

결혼(結婚) 40주년(周年週年)

磁器婚式

자기혼식

결혼(結婚) 20주년(周年週年)

祈完快

기완쾌

완쾌(完快)를 기원(祈願)

祈快癒

기쾌유

쾌유(快癒)를 기원(祈願)

祝傘壽

축산수

산수연(傘壽宴)을 축하(祝賀). 80세의 생신(生辰)을 축하(祝賀)

祝優勝

축우승

(운동 경기 등의)우승(優勝)을 축하(祝賀)

祝入住

축입주

입주(入住)를 축하(祝賀)

祝入選

축입선

(공모전 등의)입선(入選)을 축하(祝賀)

祝入宅

축입택

입택(入宅)을 축하(祝賀)

祝創刊

축창간

(신문이나 잡지 등의)창간(創刊)을 축하(祝賀)

祝創立

축창립

(회사 등의)설립(設立)을 축하(祝賀)

祝創設

축창설

(회사 등의)창설(創設)을 축하(祝賀)

祝古稀

축고희

고희연(古稀宴)을 축하(祝賀). 70세의 생신(生辰)을 축하(祝賀)

祝喜壽

축희수

희수연(喜壽宴)을 축하(祝賀). 77세의 생신(生辰)을 축하(祝賀)

祝回甲

축회갑

회갑(回甲)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壽宴

축수연

회갑연(回甲宴)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完工

축완공

공사(工事)의 완공(完工)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家和萬事成

축가화만사성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을 축하(祝賀). 이사(移徙) 등의 경우

祝就任

축취임

(회사 등 조직의 장으로의)취임(就任)을 축하(祝賀)

祝榮轉

축영전

(더 나은 지위나 곳으로)영전(榮轉)을 축하(祝賀)

祝生日

축생일

생일(生日)을 축하(祝賀)

祝生辰

축생신

생신(生辰)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當選

축당선

당선(當選)을 축하(祝賀)

祝發展

축발전

발전(發展)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白壽

축백수

백수연(白壽宴)을 축하(祝賀). 99세의 생신(生辰)을 축하(祝賀)

祝盛典

축성전

성대(盛大)한 의식(儀式)을 축하(祝賀)한다는 뜻으로,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盛業

축성업

사업(事業)의 번창(繁昌)을 축하(祝賀)

祝禧宴

축희연

회갑연(回甲宴)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移任

축이임

(새로운 업무나 곳으로)이임(移任)을 축하(祝賀)

祝移轉

축이전

(회사 등의)이전(移轉)을 축하(祝賀)

祝竣工

축준공

공사(工事)를 다 마침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竣役

축준역

☞ 축준공(祝竣工)

祝米壽

축미수

미수연(米壽宴)을 축하(祝賀). 88세의 생신(生辰)을 축하(祝賀)

祝結婚

축결혼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繁榮

축번영

번영(繁榮)을 축하(祝賀)

祝聖婚

축성혼

()스러운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華婚

축화혼

결혼(結婚)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華甲

축화갑

회갑(回甲)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起工

축기공

(건물 등의)기공(起工)을 축하(祝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轉任

축전임

(새로운 보직이나 장소로의)전임(轉任)을 축하(祝賀)

祝遷任

축천임

다른 관직(官職)이나 임지(任地)로 옮길 때

祝開業

축개업

개업(開業)을 축하(祝賀)

祝開院

축개원

(병원, 학원 등의)개원(開院)을 축하(祝賀)

祝開館

축개관

(도서관, 박물관 등의)개관(開館)을 축하(祝賀)

稽顙拜言

계상배언

「머리를 조아려 사뢴다」는 뜻으로,  상제(喪制)가 편지(便紙) 첫머리나 자기 이름 다음에 쓰는 한문 투의 말

糖菓婚式

당과혼식

결혼(結婚) 3주년(周年週年)

約婚式

약혼식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하는 의식(儀式)

約禮

약례

예법(禮法)에 따라 조심성 있게 몸가짐을 바로함

紅東白西

홍동백서

제사(祭祀) 때 제물(祭物)을 차려 놓는 차례(次例). 붉은 과실(果實)은 동쪽에 흰 과실(果實)은 서쪽에 차리는 격식(格式)을 뜻함

紅玉婚式

홍옥혼식

결혼(結婚) 45주년(周年週年)

納幣

납폐

전통(傳統) 혼례(婚禮)에서, 신랑(新郞) 집에서 신부(新婦) 집으로 혼서지와 폐백(幣帛)을 함에 담아 보내는 일

紙燭

지촉

(흔히 상가에 부의(賻儀)하는 경우(境遇))종이와 밀초

紙草

지초

(흔히 상가에 부의(賻儀)하는 경우(境遇))종이와 담배

結婚式

결혼식

결혼(結婚)의 예를 올리는 의식(儀式)

考西妣東

고서비동

제사(祭祀) 지낼 때, 아버지 신위(神位)는 서쪽, 어머니 신위(神位)는 동쪽에 모심

花婚式

화혼식

결혼(結婚) 7주년(周年週年)

菲儀

비의

부의(賻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菲品

비품

부의(賻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薄禮

박례

볼품없는 예물(禮物)이란 뜻으로, 사례(謝禮)로 주는 약간의 돈이나 물품(物品)

薄謝

박사

사례(謝禮)로 주는 약간의 돈이나 물품(物品)

藁婚式

고혼식

결혼(結婚) 2주년(周年週年)

謹弔

근조

삼가 조상(弔喪)

謹悼

근도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함

謹賀新年

근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祝賀)한다는 인사말(人事-)

象牙婚式

상아혼식

결혼(結婚) 14주년(周年週年)

賀儀

하의

축하(祝賀)하는 예식(禮式)

賀壽宴

하수연

☞ 수연(壽宴)

賀壽筵

하수연

☞ 수연(壽筵)

賻儀

부의

①초상집(初喪-)에 부조(扶助)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物品)  ②또는, 그 일

近火謝禮

근화사례

가까운 곳에서 불이 나 손해(損害)는 입지 않았으나 근심을 끼쳐 미안하다는 인사(人事)

追悼

추도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함

追悼式

추도식

추도(追悼)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거행(擧行)하는 의식(儀式)

追悼會

추도회

추도(追悼)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모임

追慕

추모

죽은 사람을 사모(思慕)

追慕會

추모회

추모(追慕)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모임

追慕祭

추모제

죽은 사람을 그리며 지내는 제()

銀婚式

은혼식

결혼(結婚) 25주년(周年週年)의 기념식(記念式) 또는 잔치

銅婚式

동혼식

결혼(結婚) 기념식(記念式)의 하나. 혼인(婚姻)한 지 15주년(周年週年)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여, 부부(夫婦)가 구리로 된 선물(膳物)을 주고받아 기념(紀念記念)

鋼鐵婚式

강철혼식

결혼(結婚) 11주년(周年週年)

錫婚式

석혼식

결혼(結婚) 10주년(周年週年)

降神

강신

「제사(祭祀) 지낼 때에 초헌(初獻)하기 전()에 먼저 신이 내리게 하는」 뜻으로,  ①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茅沙) 위에 붓는 일  ②주문(呪文)이나 또는 다른 술법(術法)으로 신()을 내리게 함

陶器婚式

도기혼식

결혼(結婚) 9주년(周年週年)

陶婚式

도혼식

결혼(結婚) 기념식(記念式)의 하나. 혼인(婚姻)한 지 20주년(周年週年)이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여 부부(夫婦)가 사기(沙器) 제품(製品)을 선물(膳物)로 주고받아 기념(紀念記念)

電氣器具婚式

전기기구혼식

결혼(結婚) 8주년(周年週年)

革婚式

혁혼식

결혼(結婚) 4주년(周年週年)

頭東尾西

두동미서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생선(生鮮)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음

願書在中

원서재중

지원서(志願書)를 첨부(添附)할 때.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飯西羹東

반서갱동

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음

香奠

향전

부의(賻儀).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香燭代

향촉대

상에 켜는 촛값 정도(程度)의 약소(略少)한 성의를 뜻하는 말로,  근조(謹弔), 부의(賻儀), 조의(弔儀), 전의(奠儀) ()과 함께 초상(初喪) 때 부의금(賻儀金)의 겉봉투(-封套)에 쓰이는 말

魚東肉西

어동육서

제사상(祭祀床)을 차릴 때에 어찬(魚饌)은 동쪽에, 육찬(肉饌)은 서쪽에 놓음

金剛石婚式

금강석혼식

결혼(結婚) 75주년(周年週年)

金婚式

금혼식

결혼(結婚)한지 만 50년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는 일

略禮

약례

간소(簡素)한 예물(禮物)이란 뜻으로, 사례(謝禮)로 주는 약간의 돈이나 물품(物品)

………………………………………………………….








'참고실 > 지식관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敎訓 관련 故事成語  (0) 2018.01.28
6. 倫理 관련 故事成語  (0) 2018.01.28
4. 政治.學問 관련 故事成語  (0) 2018.01.28
3. 言行/마음 관련 故事成語  (0) 2018.01.28
2. 關係 관련 故事成語  (0) 201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