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洋畵家:蒼暈 李烈模님의 산수화를 배경으로 조선조 여인들의
운치 있고 멋스러운 서정의 세계를 감상해 보자.

江陵郊外 (48×69㎝)
梨花雨 흩뿌릴 제
―계랑-
이화우 흩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는가?
千里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도다
지은이 : 계랑(桂娘). 여류시인. 부안의 기생. 성은 이(李) 본명은 향금(香今), 호는 매창(梅窓), 계생(桂生). 시조 및 한시 70여 수가 전해 진다. 황진이와 비견될 만한 시인으로서 여성다운 정서를 노래한 우수한 시편이 많다. 참 고 : 梨花雨―비처럼 휘날리는 배꽃
乾川里 (46×68㎝)
送人 -양양 기생-
사랑을 나눈 시냇가에서 임을 보내고 외로이 잔을 들어 하소연할 때 피고 지는 저 꽃 내 뜻 모르니 오지 않는 임만 원망하도다
弄珠灘上魂欲消 獨把離懷寄酒樽 無限烟花不留意 忍敎芳草怨王孫
지은이 : 양양 기생 참 고 : 농주(弄珠)―연인과 함께 사랑을 속삭임.

桂林近郊 (47×68㎝)
傷春 -계생-
이는 봄이 감을 슬퍼하는 것 아니요 다만 임을 그리워한 탓이네 티끌같은 세상 괴로움도 많아 외로운 몸 마음 둘 곳 없어라
不是傷春病 只因憶玉郞 塵豈多苦累 孤鶴未歸情
지은이 : 계생(桂生), 혹은 매창(梅窓). 부안 기생. 『매창집(梅窓集)』이 전한다.

孤石亭 (53×97㎝)
春愁 -금원-
시냇가의 실버들 색색이 푸르러 봄시름을 못 이겨 휘휘 늘어지고 꾀꼬리 울음을 그치지 않음은 임을 보내는 슬픔 이기지 못함인가
池邊楊柳綠垂垂 蠟曙春愁若自知 上有黃麗啼未己 不堪趣紂送人時
지은이 : 금원(錦園). 원주 사람. 김시랑, 덕희(金侍郞 德熙)의 소실. 참 고 : 황려(黃麗鳥)―꾀꼬리

孤石 竹亭里雪景 (47×68㎝)
매화 옛등걸에 -매화-
매화 옛등걸에 봄철이 돌아오니 옛 피던 가지에 피음직도 하다마는 춘설이 하 분분하니 필동말동 하여라
지은이 : 매화(梅花). 연대 미상, 조선시대 평양 기생. 애절한 연정을 읊은 시조 8수(그중 2수는 불확실함)가 『청구영언』에 전한다.

公州 문동골 (47×69㎝)
待郞 -능운-
임 가실 제 달 뜨면 오마시더니 달은 떠도 그 임은 왜 안 오실까 생각해 보니 아마도 님 게신 곳은 산이 높아 뜨는 달도 늦은가 보다
郞去月出來 月出郞不來 相應君在處 山高月出遲
지은이 : 능운(凌雲). 참 고 : 상응(相應)―생각해 보니
<> 
內山里의 겨울 (52×97㎝)
玉屛(옥병) -취선-
마을 하늘은 물인듯 맑고 달빛은 푸르구나 지다 남은 잎에 서리가 내릴 때 긴 주렴 드리우고 혼자서 잠을 청하니 병풍의 원앙새가 부럽기만 하네
洞天如水月蒼蒼 樹葉蕭蕭夜有霜 十二擴簾人獨宿 玉屛還羨繡鴛鴦
지은이 : 취선(翠仙). 호는 설죽(雪竹) 김철손(金哲孫)의 소실. 참 고 : 십이상렴(十二擴簾)―긴 발을 뜻함
<> 
魯家村 (57×88㎝)
離別 -일지홍-
말이 다락 아래 매어 있기에 이제 가면 언제 다시오나 은근히 묻네 임 보내려는데 마침 술도 떨어지고 꽃 지고 새들도 슬피 우는구나
駐馬仙樓下 慇懃問後期 離筵樽酒盡 花落鳥啼時
지은이 : 일지홍(一枝紅). 성천(成川)의 기생. 참 고 : 선루(仙樓)―신선이 산다는 다락.

大埠古刹 (47×69㎝)
묏버들 가려 꺾어 -홍랑-
묏버들 가려 것거 보내노라 임의 손대 자시는 창 밧긔 심거두고 보쇼셔
밤비에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 여기소서
지은이 : 홍랑(洪娘). 연대 미상. 조선 중기 때의 명기

台霞里 雪景 (53×97㎝)
청산은 내 뜻이오 -황진이-
靑山은 내 뜻이오 綠水는 임의 情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잊어 울어 울어 예노라
지은이 : 황진이(黃眞伊). 연대 미상. 조선 중종 때의 명기. 개성 출신.

大興寺 (48×70㎝)
黃昏 - 죽향-
실버들 가지가지 문 앞에 휘늘어져서 구름인 듯 인가를 볼 길 없더니 문득 목동이 피리불며 지나간다 강 위에 보슬비 내리고 날도 저무는구나
千絲萬縷柳垂門 綠暗如雲不見村 忽有牧童吹笛過 一江烟雨自黃昏
지은이 : 죽향(竹香). 호는 낭각(琅珏). 평양 기생. 참 고 : 연우(烟雨)― 아지랑이가 낀 것처럼 내리는 비

頭甸村 막다른 골목길 (57×88㎝)
秋月夜 -추향-
노를 저어 맑은 강 어귀에 이르니 인적에 해오라기 잠 깨어 날고 가을이 짙은 탓인가 산빛은 붉고 흰 모래사장에 달빛만 외롭구나
移棹淸江口 驚人宿驚飜 山紅秋有色 沙白月無痕
지은이 : 추향(秋香)

白沙村 (57×88㎝)
半月 -황진이-
누가 崑崙의 옥을 다듬어 織女의 얼레빗을 만들었는가 오마던 임은 한번 가고 소식 없으니 근심에 못 이겨 허공에 던진 거라오
誰斷崑崙玉 裁成織女梳 牽牛一去後 愁擲碧空虛
지은이 : 황진이(黃眞伊). 중종 때 기생.

寺谷 會鶴里 (47×69㎝)
秋雨 -혜정-
금강산에 가을비 처량도 한데 지는 나뭇잎마다 가을을 울리네 십년을 외로이 흐느낀 이 신세 헛된 시름에 매양 가사만 젖어라
九月金剛蕭瑟雨 雨中無葉不鳴秋 十年獨下無聲淚 淚濕袈衣空自愁
지은이 : 혜정(慧定). 여승(女僧). 참 고 : 가의(袈衣)―중이 입는 옷.
************************

西雙版納湖畔 (47×68㎝)
長霖(긴 장마) -취연-
열흘이나 이 장마 왜 안 개일까 고향을 오가는 꿈 끝이 없구나 고향은 눈 앞에 있으나 길은 먼 千里 근심에 싸여 난간을 기대 헤아려 보노라
十日長霖若未晴 鄕愁蠟蠟夢魂驚 中山在眼如千里 堞然危欄默數程
지은이 : 취연(翠蓮). 자는 일타홍(一朶紅). 기생 참 고 : 장림(長霖)―긴 장마 중산(中山)―지명. 사랑하는 임이 있는 곳, 또한 고향

水海子村 (47×68㎝)
晩春 -죽서-
꽃이 지는 봄은 첫 가을과 같아 밤이 되니 은하수도 맑게 흐르네 한 많은 몸은 기러기만도 못한 신세 해가 바뀌어도 임 계신 곳을 가지 못하네
落花天氣似新秋 夜靜銀河淡欲流 却恨此身不如雁 年年未得到原州
지은이 : 죽서(竹西). 철종 때 사람. 서기보(徐箕輔)의 소실

月影의 農家 (97×148㎝)
河橋 -연희-
은하수 다리에서 견우직녀 이 저녘 다시 만나 옥동에서 다시 슬프게 헤어지네 이 세상에 이 날이 없었더라면 백년을 즐기며 살아갈 것을
河橋牛女重逢夕 玉洞郞娘恨別時 若使人間無此日 百年相對不相移
지은이 : 연희(蓮喜) 참 고 : 하교(河橋)―은하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