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漢詩
출처;음악정원
글쓴이;사맛디
- 그리움 - 청학(淸學),懷人 山川重隔更堪悲 回首天涯十二時 산천중격갱감비 회수천애십이시 寂寞山牕明月夜 一相思了一相思 적막산창명월야 일상사료일상사 산천은 가로막혀 다시 슬픔 견디며 열 두 때 하루 종일 하늘 가 바라보네 적막한 산창에 달빛도 밝은 밤 한 그리움 가시자 밀려드는 그리움 스님이 토로한 그리움이라 좀 뜻밖이다. 하기야 깊은 산 속 적막한 산사에서 사람이 그리운 것이야 스님이라 다르겠는가? 보고 싶은 그 사람은 산 넘고 물 건너 아득한 저편에 있다. 하루 열 두 때 어느 때고 그대 생각 지우지 못해 허물어진 가슴 한 켠을 가누지 못한다. 적막한 밤, 산 창에 달 떠오면 그리운 맘 더 간절하다. 겨우 한 생각 잠재우고 나면 다시 한 생각이 물밀 듯 밀려온다. 파도처럼 덮쳐온다. 보고 싶은 사람아! 이왕에 시작했으니 스님의 시 한 편을 더 보자. "거짓은 무슨 모양인가"라는 시다. 眞何形狀妄何容 二物猶如空裡風 진하형장망하용 이물유여공리풍 出門不見絲豪虛 百鳥爭啼花亂紅 출문부견사호허 백조쟁제화난홍 참은 무슨 모습이며 거짓은 무슨 모양인가 이 두 가지 허공의 저 바람과 같네 문 나서자 한 티끌도 볼 수 없으니 온갖 새들 우짖는 속에 꽃은 붉게 피어 있네 한 줄 한 줄 짚어 읽으니 눈에 잡힐 듯 마음이 맑아오는 선시(禪詩)다. 다시 한 번 짚어본다. "문 나서자 한 티끌도 볼 수 없으니.." 헛헛(虛虛)한 마음이 바람소리에 귀를 모운다. 따뜻한 햇살 한줄기 나목 가지끝에 그네를 탄다. 이제 봄이다. * 청학(淸學1570~1654):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 성은 홍씨(洪氏). 자 현주(玄珠). 호 영월(詠月). 장흥 출신. 13세에 출가 가지산 보림사(寶林寺)에서 승려가 되었다. 지리산 부휴선사(浮休禪師)를 찾아 도를 묻고, 다시 묘향산 청허선사(淸虛禪師)를 찾아 깨달음을 얻어 전법제자(傳法弟子)가 되었다. 만년에는 금강산에서 좌선, 지리산에서 후학들을 지도하였고, 나이 94세로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앉은 채 입적하였다. 사리를 거두어 보림사에 탑을 세웠다. 법맥을 이은 제자로는 무하자(無何子), 학순(學淳) 등 10여인이 있으며 저서로는 문집인 영월집(詠月集)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