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날(음력1월15일)의 풍습 정월 대보름날(음력1월15일)의 풍습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지내야 한다"는 속담(俗談)이 있어 객지(客地)에 나가 있던 사람도 보름달에는 제 집에서 지낸다. "설은 짙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좋다"는 풍속으로 보름달 보기를 소망하여 새벽에 일어나 긴 장대를 가지고 울타리를 때리면서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9
일진(日辰)에 관한 풍습 날짜와 일진(日辰)에 관한 풍습 정초(正初)에는 간지(干支)에 따라 일진(日辰)을 지키는속신(俗信)이있는데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등 십간十干, 즉 천간(天干)에 대하여는 별로 의식하지 않고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9
立春大吉 立 春 大 吉 정초의 세시풍속들 우리의 선조들은 정월(음력1월)초에는 여려가지 세시풍속들이 있었고 정초에는 점을쳐서 바쁜기운은 막고생활했다.기타지역에도 만은 정초의 품속들이 있겠지만 감초의 고향인 밀양을 기준으로 기술한다 밀양(密陽) 지역의 정초(正初)풍속으로서 아직도 그 유습이 남..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9
우리의 전통적인 세시풍속 (歲時風俗) 우리의 전통적인 세시풍속 (歲時風俗) 세시풍속이란 일정한 시기가 되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관습(慣習)으로 시계성(時季性)을 가지고 있는 연중행사이다. 즉, 관습적으로 반복되는 생활양식을 말한다. '세시(歲時)'란 '무시(無時)'의 대칭적인 의미로 쓰이는데 특정한 날, 즉 명절 중심의 행사로 구성..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9
우리나라의 24 절기(節期) 우리나라의 24 절기(節期) 계 절 절 기 특 징 음 력 봄 春 입춘(立春) 우수(雨水) 봄의 문턱 봄비가 내림 정월 경칩(驚蟄) 춘분(春分)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깸 낮이 길어지기 시작함 이월 청명(淸明) 곡우(穀雨) 봄 농사의 준비 농삿비가 내림 삼월 여름 夏 입하(立夏) 소만(小滿) 여름의 문턱 본격적인 농사..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9
귀한자료들 육혈포 유성기 잡화접엽서 1920년대엽서 남대문엽서 경성엽서 평양시장엽서 독립문엽서 팔달문엽서 방화수류정 화홍문엽서 서호천엽서 축만제엽서 지지대비각 수원고등농림 수원신사 경성지방법원 창룡문엽서 화서문엽서 연무대엽서 수원역사 천도교회월보 입공희보 제국신문 선교기념사진 전우..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7
우리의 자연과 문화 세계인의 유산 될까 우리의 자연과 문화 세계인의 유산 될까 2007년 우리 문화재 관련 주요 이슈는 무엇일까? 문화재 전문가들은 “6월 뉴질랜드에서 열리는 제31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될 ‘제주도 화산 유적과 용암동굴’의 세계유산(World Heritage) 등재 여부가 최고 관심사 중 하나”라고 입을 모은다. 등재가 결정되..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1.05
우리의 옛날 부엌 풍경 **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부엌 풍경 ** [ 양양 송천리 김순덕 씨와 탁영재 씨가 부엌 앞에 안반을 놓고 떡메를 치고 있다. ] 그 옛날 우리네 어머니께서는 새벽에 일어나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였다. 사랑방에 곁달린 쇠죽솥에는 겻섬에서 퍼온 겻가루와 콩깍지.. 참고실/우리의옛것 2006.12.27
100년전의 우리조상들 마당 연자방아 도공문양 장례식 조대비 장례식 장면 수레차 돌리기 낚시질 군문효수 마을장승 결혼식 장면 결혼식 장면 다듬이질 기녀 술대접 칼을 쓴 죄수 외국인 안내원 건축자재 운반 맷돌 참고실/우리의옛것 2006.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