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님의 지혜 - 단동십훈(檀童十訓) 단군십계명 (檀君十誡命) 우리의 옛 조상들은 단군시대부터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면서 이지적이며, 진보적이고, 활동적이면서 낙천적인 요소가 깃든 어린이 十訓을 통해 天心을 고스란히 간직한 어린이들에게 동작으로 재롱을 부리게 하는 독특한 교육을 전수해 왔습니다. 한국인의 오랜 생활 역..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9.07
사라진 옛것들 님의 향기 조상님들의 얼 | 사라져간 옛것 부억 아궁이에 불 지필때 쓰던 풍로... 할머니 어머님이 쓰시던 다리미와 인두... 엿장수들이 메고 다니던 엿판.옛날 엿치기 많이 했죠... 되(곡식을 사고 팔때쓰던 되와 말)... 양은 도시락과 목 도시락... 다식판(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 다식판(떡.다식..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9.01
남평문씨 세거지 토석 담장 남평문씨 세거지 토석 담장 본리 인흥마을 토석흙담장길. 다음 답사때는 100m 줄자를 가지고가서 길이를 재어 봐야겠다. 광거당으로 가는길의 수봉정사 뒷 담장 광거당 초입에서 바라본 수봉정사 담장과 수령 300여년의 文敬鎬 나무(회화나무) 광거당의 헛담 광거당 담장 남평문씨 본리(인흥)세거지 토..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8.31
남평문씨 세거지 광거당 남평문씨 세거지 광거당 광거당 편액 석촌 윤용구書 (1853~1939) 남평문씨 세거지중 가장깊은곳에 위치한 광거당 담장너머 광거당의 지붕모습 광거당 대문채의 방화담과 굴뚝 대문을 활짝열면 흙과 숫기와로 쌓은 헛담이 본채의 직접적인 노출을 막고 있다. 기와로 만든 한송이의 꽃잎이... 헛담에서본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8.31
민속생활자료모음 호패/戶牌 Identity Tags.조선/9.3 x 3 x 0.7cm∼10.3 x 2.8 x 1.8cm 일종의 신분증으로 조선시대 16세 이상의 남자가 패용하였다. 앞에는 이름, 생년월일의 간지와 입사년(入仕年)의 간지를 새겼고 이면에는 이를 발행한 관아의 낙인을 찍었다. 호패는 신분에 따라 아패(牙牌), 각패(角牌), 황양목패(黃楊木牌), 대방..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7.23
저승길’ 곱게 장식한 목각인형 저승길’ 곱게 장식한 목각인형 한국의 전통문화 2007/07/16 14:58 http://blog.naver.com/poomasi88/50019739116 블로그 > kimcg3519님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kimcg3519/150007357182 장례식이라면 대형 승합버스, 검은 리무진을 떠올리는 요즘이지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죽은 이가 경험하는 가장 화려한 이동수단은 상여..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7.23
종 묘 제 례 악 ( 宗廟祭禮樂 )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종 묘 제 례 악 ( 宗廟祭禮樂 ) <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 헌가 등가 일무(문무) 일무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사당(종묘)에서 제사(종묘제례)를 지낼 때 무용과 노래와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을 가리키며, "종묘악..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7.16
경주지방의 성주풀이 경주지방의 성주풀이 李 鎭 杰 採錄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성주 본향 어드메뇨/ 경상도 안동 땅 제비원에 솔씨받아/ 운문산천에 던졌드니 낮이면 햇볕 받고 /밤이면 이슬 받아 일구 월장 자라나서/ 황장목이 되었구나 앞집의 김 대목아/ 뒷집의 박 대목아 성주목을 내러가자/ 운문 산천 올라가니 만..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