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寒食)
냉절(冷節), 숙식(熟食), 고초일(苦草日), 금연일(禁煙日)
요약
전통 4대 명절의 하나.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이며, 4월 5일이나 6일이다. 청명절(淸明)과 다음날이거나 같은 날이다. 산에 올라가 불에 타 죽었던 중국 개자추의 전설에서 비롯된 명절로, 한식에는 불을 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있다. 설이나 추석과 같이 절기 제사를 지내며, 조상 무덤을 보수하고 성묘하는 시기이다.
개요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청명(淸明) 다음날이거나 같은 날이다.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전통 4대 명절에 해당한다. 계절적으로는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철이며 조상의 무덤을 보수하는 시기로 여겨진다. 한식은 원래 중국에서 들어온 절기였으나 한국에 토착화되었다. 지역적으로는 한반도 북쪽지역이 남쪽지역에 비해 한식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사람들은 한식을 냉절 또는 숙식이라고도 불렀다.
유래
한식은 중국 옛 풍속에 "이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왔다"고 전해지는 〈개자추전설(介子推傳說)〉에서 유래했다. 중국 춘추시대에 공자 중이가 망명·유랑하다가 진나라 문공이 되어 전날의 충신들을 포상했다. 이때 과거 문공이 굶주렸을 때 자기 넓적다리 살을 베어서 바쳤던 충신 개자추가 이 포상자들 중에 들지 못하자 개자추는 부끄럽게 여기고 산중에 들어가 숨어버렸다.
문공이 뒤에 잘못을 뉘우치고 그를 찾았으나 산중에서 나오지 않으므로 불을 놓으면 나올 것이라는 생각에서 불을 질렀다. 그러나 끝내 나오지 않고 홀어머니와 함께 서로 껴안고 버드나무 밑에서 불에 타 죽었다. 이에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문공이 이날은 불을 쓰지 않도록 한 것에서 유래하여, 이날은 불을 지피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한식'이라는 말은 '찬 음식'이라는 뜻이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에서는 한식을 '냉절(冷節)', 또는 '숙식(熟食)'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풍습
중국에서는 한식이 큰 명절이어서 잔치를 벌이고 투계나 공치기, 그네뛰기 같이 옥외에서 하는 놀이를 즐겼다. 고려 시대에도 한식이 대표적인 명절 가운데 하나여서, 한식날이면 나라에서 종묘와 각 능원에 제향을 지내고 관공리들에게 공가를 주어 성묘하도록 했으며, 죄수에게 형을 집행하지 않도록 했다. 여기에서 유래해 이날 민간에서는 산소를 돌보고 추석이나 설과 같이 술, 과일, 포, 떡, 탕 등을 마련해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절사(節祀)라고 했다. 농가에서는 이날 논밭을 갈고 이른 농작물의 씨를 뿌리기도 한다.
조선시대 내병조에서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 구멍을 뚫고 삼으로 꼰 줄을 꿰어 양쪽에서 톱질하듯이 잡아당겨 불을 만들어 임금께 올린다. 임금은 그 불을 홰에 붙여 관아와 대신들의 집에 나누어주었는데, 이는 불의 주력을 이용하기 위해 불을 소중히 여기는 숭배사상의 전승이기도 하다. 수령들은 이 불을 받아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 때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사이에 불이 없는 날을 한식이라 보기도 했다. 이 풍속은 흔히 청명의 풍속과 혼동된다.
한식에 비가 오면 개자추의 혼을 기리는 것이라고 하여 기껍게 여기기도 했다. 이날을 전후해서 나무 심기가 좋은 날씨가 이어지기 때문에 산이나 묘소 근처에 나무를 심기도 한다. 한식 날 진달래꽃을 거두어 술을 담그어 먹으면 기침에 효험이 있다고 생각했으며, 약밥이나 찬밥을 지어 먹었고, 쑥을 뜯어 쑥떡을 만들거나 쑥국을 끓여 먹었다. 이날 먹는 메일국수를 '한식면(寒食麵)'이라고 하여 별미로 여겼다.
'글,문학 > 野談,傳說,說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을 강물에 던지다 (0) | 2020.04.23 |
---|---|
萬波息笛 (0) | 2020.04.13 |
남사고와 十勝地 (0) | 2020.04.02 |
歷史 Essay (0) | 2020.03.28 |
오늘은 경칩(驚蟄)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