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승니(僧尼)란 무엇인가? 7. 승니(僧尼)란 무엇인가? 1. 중이라 함은 일체 명상법(名相法)이 생기기 이전의 사람을 가리켜 중이라 하니, 萬有의 주인이요, 天上인간의 스승이 바로 중인 것이다. 2. 수행인(修行人)인 중은 부모 처자와 일체 소유(一切所有)를 다 버림은 물론 자신까지도 버려야 하나니라. 3. 중은 운명의 지배도 아..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불교(佛敎) 6. 불교 1. 불교(佛敎)라고 주장할 때 벌써 불교 교리와는 어긋난 것이니, 불교 교리는 아집(我執)을 떠난 교리이기 때문이다. 2. 불교의 종지(宗旨)가 악(惡)을 징계하고 선(善)을 장려하는 종교가 아니라,선악이 다 불법인 까닭에 천당·극락의 즐거움이나, 반대로 지옥의 극고(極苦)한 세계가 다 나의 ..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불법(佛法) 5. 불법(佛法) 1. 불법(佛法)이라고 할 때, 벌써 불법은 아니니라. 2. 일체의 것이 그대로 불법인지라 불법이라고 따로 내세울 때에 벌써 잃어버리는 말이니라. 3. 물질(物質)은 쓰는 것이요, 정신(精神)은 바탕인데, 물질과 정신의 일단화(一單化)를 불법이라 하나니라. 불법엔 완전을 이루지 못하면, 인생..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現世 人生에 대하여 4.現世 人生에 대하여 1. 인간의 인생은 짧은 한 막의 연극에 지나지 않는데, 이 연극의 한 장면이 종막이 되면 희로애락(喜怒哀樂)을 연출하던 그 의식은 그만 자취 없이 사라져 버리고 육체는 부글부글 썩어버리니, 이 얼마나 허망한 일인가? 이 허망하기 짝이 없는 그 동안인들 一분의 자유가 있었던..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나를 찾는 법--<참선법(參禪法)>~1 2. 나를 찾는 법--<참선법(參禪法)>~1 1. 세상에는 나를 찾는 법을 가르쳐 주는 선생도 없고, 장소도 없소. 다만 불교 안에 있는 선방(禪房)에서만 나를 찾는 유일한 정로(正路)를 가르쳐 주나니라. 2. 수도(修道: 參禪)한다는 것은 각자가 자기 정신을 수습해 가는 그 공부를 한다는 말인데, 누구에게나..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나를 찾는 법--<참선법(參禪法)>~2 3.나를 찾는 법--<참선법(參禪法)>~2 41. 말이 입에서 나오기 전에 그르쳤다 함은 물건 이전의 마음을 지적한 것이니라. 42. 공부가 잘 된다고 느낄 때 공부와는 벌써 어긋난 것이니라. 43. 꿈속에서 공부해 가는 것을 증험(證驗)하여 선생으로 삼을 것이니라. 44. 꿈도 없고 생시도 없이 잠이 푹 들었을 ..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나를 찾아야 할 필요와 나 1. 나를 찾아야 할 필요와 나 1. 사람이 만물 가운데 가장 귀하다는 뜻은 나를 찾아 얻는 데 있나니라. 2. 나라는 의의가 절대 자유(絶對 自由)로운 데 있는 것으로 모든 것은 내 마음대로 자재(自在)할 수 있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인간은 어느 때, 어느 곳에도 자유가 없고, 무엇 하나 임..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법훈 (法訓) 만공선사 법훈(滿空禪師法訓) 세간의 인연도 따라가지 말고 출세간의 법에도 머물지 말라. 막축유연 물주공인 莫逐有緣하고 勿住空忍하라 '있음의 인연(有緣)'이란 세간법과 같은 말로서 인연으로 이루어진 세상 일이라는 뜻입니다. 공의 지혜(空忍)란 곧 출세간법 이라는 뜻입니다. 인연이 있는 ..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경솔한? 시작 시작 했으니 반은 했다고 자랑스런(?) 인사말까지 했는데... 문밖에서 기웃거리며 서성이다 회원 가입해야 구경할 수 있다기에 그만. 그런데 들어와 보니 어른들 계신 곳에 철없이 뛰어든 애처럼 어리둥절 하기도 하고, 아니면 애들끼리 노는데 들어온 영감처럼 머쓱하기도 하니 스스로 당혹감을 감출 .. 불교이야기/수사모 2006.09.17
[스크랩] 3000 불 명호 (漢文) <과거1000불> 過去莊嚴劫千佛名經 三劫三千佛緣起 爾時釋迦牟尼佛告大&#30526;言:「我曾往昔無數劫時,於妙光佛末法之中,出家學道, 聞是五十三佛名,聞已合掌,心生歡喜,復&#25945;他人,令得聞持 ,他人聞已, 展轉相&#25945;,乃至三千人。此三千人,異口同音,稱諸佛名 ,一心敬.. 불교이야기/불교관련 2006.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