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한국불교최초] 52. 포교당 [이것이 한국불교최초] 52. 포교당 [크게][작게] 1910년 10월 창건 각황사가 도심포교당 효시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29일 01:01 수요일] 법회•강연 등 불법홍포…일요학교도 개설 1912년 만해 주도 임제종 중앙포교당 개소 1927년 제주불교포교당에서 치러진 불교식 결혼식 사진으로, 이 사진은 현재 볼 수 ..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7.31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51. 신문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51. 신문 [크게][작게] 1935년 8월 1일 김태흡이 창간한 ‘불교시보’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20일 18:20 월요일] ‘뉴스·논설을 비롯해 지식·오락·광고 등 여러 정보들을 특정 또는 불특정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정기간행물’로서의 신문(新聞) 역사는 우리에게 있어서 그리 길..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7.21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50. 학교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50. 학교 [크게][작게] 1906년 5월 8일 개교한 동국대 전신 ‘명진학교’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14일 10:26 화요일] 자비·수선 교훈 … 한용운·권상로 등 배출 불교학은 물론 종교학·농업·생물도 교육 명진학교가 문을 연 동대문 밖 원흥사 전경. 현재 창신초등학교가 자리하고 ..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7.17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9.친일승려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9.친일승려 [크게][작게] 불교계 이완용으로 불린 원종 종정 이회광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07일 10:41 화요일] 왼쪽부터 원종과 일본 조동종의 연합을 꾀한 이회광, 황도불교 건설 찬양한 이종욱, 명고축출 당했던 강대련, 친일서적 ‘임전의 조선불교’ 발간 권상로. 역사가 단..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7.17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8. 잡지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8. 잡지 [크게][작게] 1910년 발간된 ‘원종’이 불교잡지 효시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29일 17:35 월요일] 실물이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잡지는 ‘조선불교월보’ 만해 스님의‘유심’은 1918년-‘불교’는 1924년 창간 1912년 창간된 조선불교월보. 사진제공=불교와 문화 시대의 단..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7.03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7. 독립운동가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7. 독립운동가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22일 16:56 월요일] 김연일의 제주 법정사 봉기가 불교계 첫 무력항쟁 비구니 상근은 자금조달 … 신상완은 日 회담 동행 왼쪽부터 불교계 독립운동의 핵심 만해 스님, 민족대표로 3·1운동 참여한 용성 스님, 한성임시정부 불교대표 한영 스..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6.29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6. 종정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6. 종정 [크게][작게] 한암,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 초대 종정 선출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16일 09:56 화요일] 불교 종단에서 최고의 정신적 지도자인 종정은 신성함을 상징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그러하기 때문에 종통을 계승하면서 최고의 권위를 지닌 어른으로 존중하고 있다. ..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6.18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5. 불교출판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 45. 불교출판 [크게][작게] 신라시대 제작 ‘무구정경’이 현존 최고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09일 15:23 화요일] 현재까지 남아있는 불교출판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복원된 모습. 제자들을 통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던 부처님의 가르침은 부처님이 입멸하..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6.11
조계종 사찰 2501곳…스님 1만3860명 조계종 사찰 2501곳…스님 1만3860명 ‘2008 통계자료집’ 발간 지난해 조계종의 사찰과 스님의 숫자가 전년에 비해 소폭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월26일 조계종(총무원장 지관스님)이 발간한 2008년 종단 통계자료집에 따르면 2008년 12월31일 현재 조계종 전체 사찰은 총 2501곳으로 전년 대비 57곳이 ..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5.30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44. 교단분열 (하) [이것이 한국불교 최초]44. 교단분열 (하) [크게][작게] 근현대 비구·대처 절 뺏기서 종권분쟁까지 치열 기사등록일 [2009년 05월 25일 17:18 월요일] 1994년 서의현 총무원장의 3선 강행에 맞서 불교개혁을 기치로 내세운 개혁회의는 종교문제에 간섭하는 공권력과 대치하기도 했다. 근현대 한국불교는 진리.. 불교이야기/조계종 200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