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서예가 2. 중국의 서예가 1) 왕희지(王羲之)307 - 365 중국 동진(東晋)의 서예가. 자는 일소(逸少)이다. 우군장군의 벼슬을 하였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왕우군이라고도 불렀다. 오늘날의 산뚱성 린이현[臨沂縣]인 낭야 출신이며,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 도의 조카이고, 왕 광의 아들이다. 중 국 고금의 첫..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2
우리나라의 서예가 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예가 1) 김생(金生)711-791( 성덕왕 10 - 원성왕 7 ) 신라의 명필. 자는 지서(知瑞), 별명은 구(玖).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글씨에 매우 뛰어났으며, 평생동안 다른 재주는 배우지 않았다.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隸書) 행서(行書) 초서(草書)에 능하여 <..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2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金正喜 김정희 (金正喜) / 19세기 종이 / 24.0×14.0㎝ 보물 547호 호암미술관 소장 이 자료는 조선후기의 국보전에서 발췌하였슴니다.조선전기 200여년간의 서단(書壇)은 조맹부의 '송설체(松雪體)'가 풍미하였지만, 외형미에 치중한 나약한 서체에 싫증을 느낀 성리학자들은 왕희지의 서법으로 돌아간다. 석봉(石..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2
송준길필첩[동춘필첩] 송준길필첩[동춘필첩] (宋浚吉筆帖[同春筆帖]) (顯宗年間), 1帖, 紙本墨書, 44.5×31cm 동춘당 송준길의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글씨를 수록한 필첩. 모두 58면인데 해서는 대자(大字)로 한 면에 한자씩 20면, 행서는 중자(中字)로 한 면에 두자씩 24면, 초서는 소자(小字)로 3행 10면으로 성첩(成帖) ..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2
탄연필첩 (坦然筆帖) 탄연필첩 (坦然筆帖) 1125 ·1130((仁宗 3) (仁宗 8)), 1帖(33張), 榻本, 14×17.5cm 한국 4대명필의 한 사람인 坦然의 필첩.「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1130년)와 「祭淸平山居士眞樂公之文」(1125년)이 수록되어 있다.「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는 文殊院의 중수기로 撰者는 金富轍이다. 탄연이 중수기..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2
선조어필 (宣祖御筆) 선조어필 (宣祖御筆) 1630(仁祖 8), 1帖(42面), 木刻本, 45×30.5cm 선조의 아들 의창군(義昌君) 광(珖, 1589-1645)이 판각한 선조의 어필첩. 의창군의 발문(跋文)이 수록되어 있는데, 선조의 글씨가 세월이 오래되어 사라질 것을 두려하여 새기게 하였다는 편찬 동기와 판각연대를 밝히고 있다. 필첩의 내용은 권..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2
고승유묵 자유분방한 내공이 뿜어내는 거침없는 필력 불교문화와 한국문화 불교는 한국문화에서 1천 6백년 동안 굳건한 자리를 지켜 왔다. 특히 신라와 고려시대의 정신사를 이끌어왔기 때문에 불교 교단의 수행자인 승려의 위상은 컸다. 조선시대에는 승려의 위상이 전에 비해 크게 약화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문화,예술/서예실 2006.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