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의 순국 한달 전 글씨 안중근 의사의 순국 한달 전 글씨 경매 나와 안중근(1879~1910) 의사가 순국하기 한달 전쯤인 1910년 2월 중국 여순 감옥에서 먹으로 쓴 글씨 ‘모사재인 성사재천(謀事在人成事在天·사진)’이 국내에 처음 공개됐다. 일을 도모하는 것은 사람이지만 일의 성패는 하늘의 뜻에 달렸다는 뜻으로, 일본의 이.. 문화,예술/서예실 2006.11.24
추사 김정희 친필 추사 김정희 친필 ▲ 기양제첩(寄兩弟帖)이라는 제목의 간찰집으로 1827-28년에 추사 김정희가 두 동생에게 보낸 편지 13통을 묶은것이다. 이 간찰집은 최근 일본에서 한국 과천시로 기증됐다. ▲ 추사 김정희가 아낀 제자 중 한 명인 이상적이 송대의 문인 신기질의 사(詞) 축영대근(祝英臺近)을 작품 형.. 문화,예술/서예실 2006.11.23
[스크랩] 추사 김정희의 서화 積雪滿山 江氷欄干 指下春風 乃見天心 눈이 쌓여 산을 뒤덮고 강의 얼음은 난간을 이루었는데 손가락 끝에 봄바람 이니 이내 천심을 알겠구나 大烹豆腐瓜薑菜 高會夫妻兒女孫 가장 좋은 음식은 두부 오이 생강 나물 가장 좋은 모임은 부부 아들 딸 손자 春風大雅能容物 秋水文章不染塵 봄바람같은 .. 문화,예술/서예실 2006.11.22
일중 김충현 선생 별세 한문·한글 모두 능통 … 서예계 `큰 획` 일중 김충현 선생의 작품 '정읍사'(1960). 한자와 한글의 다양한 서체를 하나의 작품에 융합했다. 한국 서예계의 큰 별이 졌다. 일중(一中) 김충현 선생은 소전 손재형(1981년 작고) 선생과 더불어 한국 서예의 양대 산맥을 이뤄왔다. 손재형 선생이 전서를 중심으.. 문화,예술/서예실 2006.11.22
[스크랩] 한국미의 발견 / 近園 김양동 현대서예展 ** 한국미의 발견 / 近園 김양동 현대서예展 ** 생명력은 아름다움 이전의 원초적인 미의식이다.선사시대 암각화는 생명력으로 가득 차 있다. 이들은 붓으로 쓴 조형이 아니라 쪼고 갈고 새긴 조형이다. 모필 의 필획 이전에는 돌과 칼의 새김(刻)이 표현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김양동은 이러한 새김의 .. 문화,예술/서예실 2006.11.19
김생 글씨` 진품 가능성 김생 글씨` 진품 가능성 [중앙일보] 종이 탄소연대 측정 720~840년대 것 확인 통일신라시대의 명필 김생(金生.711~790)이 쓴 것이란 논란이 일었던 글씨가 진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화여대 중문과 정재서 교수 집안에서 '김생의 글씨(사진)'라며 9대째 전해지는 가보다. 이를 정 교수의 부친.. 문화,예술/서예실 2006.11.18
일본에서 건너온 이순신장군의 친필 일본에서 건너온 이순신장군의 친필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일본군 장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개인사찰에서 보관해왔던 이순신장군의 친필이 6일 공개됐다.(충주=연합뉴스)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일본군 장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개인사찰에서 보관.. 문화,예술/서예실 2006.11.11
퇴계 이황의 글씨 이황의「성리군서(性理群書)」발문(跋文)은 이황이 1553년 4월 명종으로부터 하사받은 「性理群書」(원명은 新編音點性理群書句解) 6冊을 후학을 위해 포은 정몽주를 제향하는 경북 永川의 임고서원에 기증하면서 쓴 것이다. 이황의 필적은 거의 楷, 行, 草로 隸書는 매우 드물다. 이 발문은 유일한 예.. 문화,예술/서예실 2006.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