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사 일주문 현판 쓴 서예가 송천 정 하 건 씨 조계사 현판에 60년 서예 혼 담았죠 조계사 일주문 현판 쓴 서예가 송천 정 하 건 씨 기사등록일 [2006년 10월 30일 월요일] “웅혼한 서체에 맑고 깨끗한 정신이 스며 있는 글씨를 쓰겠다는 60여년 서예에 대한 지론을 담아 조계사가 한국불교의 총본산으로서 거듭날 수 있기를 염원했습니다.” 최근 조계.. 문화,예술/서예실 2006.11.02
김양동의 현대서예 ** 한국미의 발견 / 近園 김양동 현대서예展 ** 생명력은 아름다움 이전의 원초적인 미의식이다.선사시대 암각화는 생명력으로 가득 차 있다. 이들은 붓으로 쓴 조형이 아니라 쪼고 갈고 새긴 조형이다. 모필 의 필획 이전에는 돌과 칼의 새김(刻)이 표현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김양동은 이러한 새김의 .. 문화,예술/서예실 2006.10.30
이용(매월당 시) 김시습 시 이용 梅月堂 金時習의 詩를 篆意를 가미하여 예서로 쓴 작품이다. 松風輕拂煮茶烟 裊裊斜橫落澗邊 月上東窓猶未睡 挈甁歸去汲寒泉 솔바람 솔솔 불어 차 끓이는 연기 몰아 하늘 하늘 가로 풍겨 시냇가에 떨어지네. 동창에 달 떠올라도 잠 아직 못 이루고 병 들고 돌아가..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윤영석(무학) 무학 윤영석 "무(無)자와 학(學)자를 갑골문에서 형식을 따서 각을 해서 위 상단에 탁본을 했고, 붓 작업으로 무자와 학자를 조형적으로 매치를 시켰으며 빨간색 종이 위에 글씨를 써서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넣었다"라고 작가는 얘기한다.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최민열(채근담) 채근담 최민열 착한 일을 하여 그 당장에 무슨 보답이 오는 것도 아니고 악한 일을 한다하여 그 당장에 무슨 재앙이 내리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착한 일을 하면 그 복이 풀 속에 숨어서 모르는 사이에 자라나는 동과(東瓜)와 같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라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은 뜰 앞에 쌓인 봄눈..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채순홍(중용장구) 중용장구 채순홍 사서의 하나인 중용의 제일장의 내용으로 작품한 것이다. 중용은 예기의 31번째로 들어 있는 편명중 하나이며 특히 중용은 한대로부터 중시되어 사마천은 <<공자세가>>에서 이를 공자의 손자인 자사의 소작이라 하였으니 자사가 지어 맹자에게 물려준 유가의 중요한 경전이..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장용순(진중음) 진중음 장용순 시제(詩題)는 ‘진중에서 읊다’ 라는 뜻의 오언율시(五言律詩)로 분류되는 정형시로서, 전8구, 4연으로 이루어졌다.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임진왜란이며, 주제는 우국충정(憂國衷情)이라고 할 수 있다. 왜적의 침입으로 어려워진 조국의 앞날을 걱정하며, 죽음을 불사하고 조국을 구하..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이곤순(룡호) 용호 이곤순 예로부터 상서롭고 자유자재한 신비불멸의 본성으로 천하만물에 생기를 불어넣고 우리 인간에게는 이상적 꿈 실현의 힘을 갖게 한다는 12간지의 하나인 용(龍)자와 용맹스럽고 지혜로우며 모든 사람에게 용기와 신령스러운 힘을 가져다 준다는 우리 민족의 수호동물인 호랑이(虎)를 역동..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
윤학상(사랑) 사랑 윤학상 성경의 말씀이면서도 익숙한 내용으로 대중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있는 고린도전서 13장 4~7절을 한글고체와 한문행서를 혼합하여 작품화 한다. 특히 전서로 사랑애(愛)자를 보라색으로 처리하여 단순함을 피하고 감상자에게 신선함을 주려고 노력한다. 한글 고체는 탄탄한 필력으로 .. 문화,예술/서예실 2006.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