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서예실

추사 김정희 (秋史 金正喜)

淸潭 2007. 11. 18. 17:49

 

추사 김정희 (秋史 金正喜) 

 

1786~1856  자:元春.  호:추사 외 200~300課의 관지로 추정.
추사(秋史) ·완당 ·노완(老阮). 金正喜印,소봉래학인(小蓬萊學人),염(髥,丙午老人,

추사심정(秋史審正),예당(禮堂),천보재(天寶齋),대한천상(大閒天上), 추사진장(秋史珍藏).

완당(阮堂).승련노인(勝蓮老人).즉과(卽果).과노(果老).노과(老果).병과(病果.노완(老阮) 등. 

 

1786년 1세(정조 10년)   6월 3일 충남 예산 향저에서 김노경(金魯敬)의 장남으로 출생, 
1815년 30세(순조 15년)   초의(草衣)스님과 금난지교(金蘭之交)를 맺음 
1816년 31세(순조 16년)   김경연(金敬淵)과 함께 〈북한산순수비(北漢山巡狩碑)〉를 발견함. 
1836년 51세(헌종 2년)   추사 4월에는 성균관 대사성(成均館 大司成)이 되고, 7월에는 병조참판(兵曹參判)이 됨. 
1840년 55세(헌종 6년)   제주(濟州)에 유배(9월). 생부 노경 관작 추탈(官爵追奪).
                        6월 동지부사에 임명되었으나 7월 윤상도 옥사가 다시 일어나서, 9월에 추사는 제주도에 유배됨.
                        생부 김노경은 추탈 삭직.  대흥사의 〈무량수각〉을 씀.
     
1841년 56세(헌종 7년)   2월에 소치가 대둔사 경유하여 제주도 대정(大靜)으로 추사를 찾아 뵘.
                        6월 소치는 중부(仲父) 부음으로 제주도에서 나옴. 대흥사의 〈일로향실〉을 씀. 
1846년 61세(헌종 12년)    추사 회갑(6월 3일). 〈무량수각〉·〈시경루〉를 써서 예산 화암사에 보냄 
1848년 63세(헌종 14년)   제주 유배에서 풀려남(12월 6일). 
1849년 64세(헌종 15년)   서울로 돌아옴. 1월 소치가 위당 신관호(申觀浩)의 인도로 헌종을 알현함.
                         헌종이 안부를 묻자 추사의 제주도 유배 생활을 본대로 아룀. 
1850년 65세(철종 원년)   은해사의 〈은해사〉·〈대웅전〉·〈불광〉·〈보화루〉 현판을 쓴 것으로 추정. 
1855년 70세(철종 6년)   선운사 〈백파비〉
1856년 71세(철종 7년)   돌아가기 3일 전에 봉은사 장경을 보관한 곳에 〈판전(板殿)〉을 씀. 10월 10일 별세.

서울 봉은사의 대웅전. 양평 용문사 편액

 

    해남 두륜산 대흥사

 

    순천 조게산 선암사

 

    부산 금정산 원효암

 

    양산 영축산 통도사 극락암

     영천 팔공산 은해사

 

    용문산 용문사

 

    고창 선운사 백파대율사비

 

    예산 화엄사 ↕

 

      영천 팔공산 은해사

 

    대구 남평문씨세거지 광거당

 

    양산 영축산 극락암

 

       대구 남평문씨세거지  수봉정사

 

 

 

<출처;blog.daum./sws8007신기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