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갤러리

박수근화백의 작품들(1914~1965)

淸潭 2007. 1. 5. 18:59
 
박수근화백의 작품들(1914~1965)



 

  박수근 (朴壽根) / 1914.2.2~1965.5.6
고향인 강원도 양구郡 생가(生家) 터에 
200여평 규모로 건립된 양구郡立 박수근미술관
 
2003년 1백12만 7천달러에 팔린 閑日(한일)
 
2004년 3월 24일(한국시간) 뉴욕에서 열린 크리스티경매에서
예정가(40만~50만달러)보다 3배나 높은 1백23만9천5백달러(14억 6천만원)에 낙찰돼
국내.외 경매에서 거래된 한국 근.현대 미술품 중 최고가에 팔린
"앉아있는 여인과 항아리(64.8x52.7cm)"
 
2005년 12월14일 열린 99회 근현대 고미술 경매에서
9억원(수수료별도)에 팔린 "시장의 여인"
"시장의 여인"은 30×29㎝ 크기의 소품.
특유의 화강암질 화면 위에 길에 쪼그린 채 노점을 벌이는
여인을 묘사한 1960년대 작품이다.

  2003년 1백12만 7천달러에 팔린 閑日(한일)




  2004년


  2005년

  장남(박성남)


  마을풍경

  빨래터




  빨래터


  빨래터

  마을
  복숭아

 



  감자

  강변


  강변

  굴비

  굴비

  귀로

  기름장수
 
 
  모란
  나무
  나무와 두여인
  나무와 두여인
  나물케는 소녀들
  나물케는 소녀들
  노상
  노상
  노상
  노상
  노상의 여인들

  노인과 
소녀


  독서

  두 여인


 


  석류

시장

  시장
  시장
  시장의 사람들
  아기 보는 소녀
  아기 업은 소녀
  아기 업은 소녀
  아기 업은 아이들
  앉아있는 여인
  앉아있는 여인
  여인들
  여인들
  우물가(집)
  우물가(집)
  절구질하는 여인
  절구질하는 여인
  창신동 집
  판자 집
  판자 집
  풍경
  풍경/산
  풍경/산
  遊童(유동)
  坐女(좌녀)
  春日(춘일)
  春日(춘일)
  春日(춘일)
화가 박수근의 삶과 예술은 "서민의 화가"라고 한마디로 요약된다.
그는 곤궁한 시절에 힘겹게 살아갔던 서민화가 그 자체였다.

1914년 강원도 양구 산골에서 태어난 박수근은 가난 때문에
국민학교밖에 다닐 수 없었다.
6.25동란 중 월남한 그는 부두 노동자,
미군부대 PX에서 초상화 그려주는 일 따위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 힘들고 고단한 삶 속에서도 그는 삶의 힘겨움을 탓하지 않고 
그렇게 살아가고 있는 서민들의 무던한 마음을 그렸다.
절구질하는 여인, 광주리를 이고 가는 여인, 길가의 행상들, 
아기를 업은 소녀, 할아버지와 손자 그리고 김장철 마른 가지의 고목들...
그는 예술에 대하여 거의 언급한 일이 없고 또 그럴 처지도 아니었지만 
그의 부인 김복순 여사가 쓴 "아내의 일기"를 보면
"나는 가난한 사람들의 어진 마음을 그려야 한다는
극히 평범한 예술관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화가의 이러한 마음은 곧 그의 예술의지가 되어 서민의 모습을
단순히 인상적으로 담아 내는 것이 아니라 전문용어로 말해서
철저한 평면화작업을 추구하게 되었다.
주관적 감정으로 파악한 대상으로서의 서민 모습이 아니라 
모든 개인의 감정에서 독립된 완전한 객체로서의 서민이다.
거기 그렇게 존재하고 있다는 "존재론적 사실주의"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박수근의 그림은 부동의 기념비적 형식이 되었으며
유럽 중세의 기독교 이론과 비슷한 성서의 분위기가 감지되고
화강암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처럼 움직일 수 없는
뜻과 따뜻한 정이 동시에 느껴진다.

그리하여 박수근은
가장 서민적이면서 가장 거룩한 세계를 보여준 화가가 되었고
가장 한국적이면서 가장 현대적인 화가로 평가되고 있다.
" 1985. 열화당"에서 발췌.
 
출처;반야심

'문화,예술 > 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gall, Marll'의 예술세계  (0) 2007.01.05
[ 아트 그룹 해모리展 ]  (0) 2007.01.05
대가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초상화 20여 점  (0) 2007.01.05
수묵화 감상  (0) 2007.01.05
박항율의 여인상  (0) 2007.01.04